‘산후조리원’, 최연소 상무 엄지원이 최고령 산모가 된 상황만으로도

[엔터미디어=정덕현] 뭐 이렇게 신박한 드라마가 다 있나 싶다. 출산이라는 소재를 전면적으로 다룬 드라마라는 점도 그렇고 산후조리원이라는 공간도 신박하다. 지금껏 이런 소재와 공간을 다룬 드라마가 있었던가 싶다. 그래서 과연 tvN 새 월화드라마 <산후조리원>이 이런 낯선 소재와 공간으로 얼마나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풀어놓을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첫 회만에 이런 의구심은 날아가 버렸다. 출산 과정의 공감대만으로도 빵빵 터지고, 고개가 끄덕여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마음 한 구석이 저릿해지는 다양한 감정들이 강렬하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산후조리원>의 이야기가 사후세계로 넘어가는 저승사자와 저승길에 오른 오현진(엄지원)의 한탄으로 시작한다는 점은 다소 뻔해질 수도 있는 출산의 이야기를 더 극적으로 만들고 또 코미디의 웃음으로 풍자해낸다.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 엄마는 죽음을 경험한다는 그 웃픈 상황이라니. 오현진이 현재 마주하고 있는 출산과 육아라는 그 지점이 삶과 죽음이 교차되는 엄청난 삶의 변곡점이라는 걸 드라마는 시작점부터 보여준다.

게다가 오현진이 최연소 상무가 됐던 순간에 최고령 산모가 됐다는 상황은 이 인물이 앞으로 겪을 일과 육아 사이의 만만찮은 갈등을 예고한다. 성공하기 위해 시키는 일은 다하고 모두가 꺼려하는 일까지 도맡아 하면서 겨우겨우 오르게 된 최연소 상무자리. 그가 그렇게 억척이 된 이유에는 IMF 시절 기운 가계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 2002년 월드컵 때도 홀로 아르바이트를 하며 도서관을 전전했던 절박했던 세대의 시대적 공기가 드리워져 있다.

이 드라마가 출산의 과정을 굴욕기, 짐승기, 무통 천국기, 대환장 파티기, 반드시 기쁨기로 나누어 디테일하게 담아낸 건 단지 상황을 코미디로 풀어내기 위한 것만은 아니다. 그건 출산이 얼마나 힘겨운 과정인가를 제대로 담아내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 어려운 시간을 견뎌 출산하고 나면 속도 모르고 아이가 효자라며 하루 만에 순풍 순풍 나왔다는 어른들의 편하디 편한 말로 치부되기도 하는 출산. 그건 엄마에게는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고통의 연속이라는 것.

하지만 출산은 이 고통의 끝이 아니라 어쩌면 시작점이다. 그래서 드라마는 이를 사후세계에 빗대 산후세계라고 지칭한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 잔을 마시지 못해 숨어서 눈치를 봐야 하고 기침 한 번에도 저도 모르게 소변 실수를 하기도 하는 상황. 아이는 낳았는데 여전히 가라앉지 않은 산만한 배를 부여잡고 최첨단 시스템이 갖춰진 세레니티 산후조리원에 들어가게 되는 오현진이 겪게 될 일들이 앞으로도 만만찮다는 걸 예감하게 된다.

<산후조리원>은 그래서 앞으로 겉으로는 화려하고 편리해보이지만 어딘지 음산한 기운을 갖고 있는 세레니티 산후조리원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루지만, 거기 드리워진 가장 큰 갈등과 대립구도는 최연소 상무와 최고령 산모라는 어딘지 라임도 척척 맞아 떨어지는 두 상반된 역할이 만들어내는 파열음에서 만들어진다. 산후조리원이 엄마가 되는 과정들을 하나하나 가르쳐주는 일종의 교육 공간으로 기능한다면, 그 과정은 지금껏 일터에서 오현진 상무가 쌓아온 경력들과 갈등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격정 출산 느와르라고 다소 코믹하게 장르를 지칭했지만 <산후조리원>은 일과 출산, 육아 사이에서 만만찮은 갈등을 일으키는 현실 앞에 서 있는 여성들의 날카로운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어떤 면에서는 이런 갈등은 가족드라마라는 다소 평이한 틀 안에서 늘 상투적으로 다뤄지곤 했던 것들이지만, 그것을 산후조리원이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포착해낸 건 이 드라마의 신박한 시도라 칭찬하지 않을 수 없다. 과연 <산후조리원>은 첫 회가 그러했던 것처럼 꽉 찬 공감의 웃음과 눈물 속에 날카로운 현실 인식과 비판의 깊이까지 그려낼 수 있을까. 향후 행보가 사뭇 궁금해진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