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공급확대 대책에 건설·시멘트업 수혜 예상”-NH투자
[엔터미디어 박재찬 기자] 주택 공급확대 대책이 정부와 여야에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가운데 과거 부동산 호황기인 2015년에서 2017년 평균을 상회하는 주택 공급이 이뤄질 수 있는 시장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19일 NH투자증권 이민재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시장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특단의 주택 공급대책을 설 연휴 전 발표하겠다고 언급했고, 김종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만큼 중대형 건설업체와 시멘트업체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보고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시장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특단의 공급대책을 설 연휴 전 발표하겠다고 언급했다.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주거지 등 저밀개발된 지역은 용적률 상향이나 관련 규제 완화 등을 통해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고밀개발로 아파트 공급을 확충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달 13일과 14일,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부동산 규제 완화와 주택 공급 확대 등이 담긴 대책을 발표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대책으로 용적률 기준 상향, 안전진단 기준 완화, 분양가 상한제 폐지 및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현실화 등 규제 완화로 재건축·재개발사업 활성화하고, 철도 차량기지 이전, 완충녹지 등을 활용한 대규모 도심 택지 확보와 양도세 중과제도 폐지 등을 언급했다.
또 안철수 대표도 5년 동안 정부 소유 유휴부지, 역세권, 중공업지역 개발 등 74만6000세대 확보와 조건부 합의를 통한 용적률과 임대주택 공급비율 상향 조정 등을 언급했다.
정부는 지난주 이미 군사시설 보호지역 해제, 공공재개발 확대 정책을 발표해 2015년(50만세대 이상) 이후 30만세대 초반에서 정체된 분양 물량은 다시 확대될 전망이다.
올해 4월 예정인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보궐선거 전 예비후보들의 부동산 대책 또한 지속적으로 발표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건설업에 대한 투자의견은 긍정적이다.
한편, 국토부는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흑석2(1310세대), 용두 1-6(919세대) 등을 포함해 후보지 8곳(4700세대)을 발표했다.
해당 지역들은 사업성 부족, 주민 간 갈등 등으로 재개발이 10년 이상 정체된 상태다. 용적률 상향, 분양가 상한제 적용 제외 등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며, 올해 3월 말까지 조건에 맞는 후보지를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다. 다만, 대치 은마 등 대형 단지들은 제외됐고, 4700세대로는 부족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