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 이보영·옥자연, 대립하던 그들의 연대가 흥미로운 건
새로 진용 갖춘 ‘마인’, 여성들의 연대와 이현욱의 대결
[엔터미디어=정덕현] tvN 토일드라마 <마인>이 새롭게 진영을 갖췄다. 서희수(이보영)와 정서현(김서형) 그리고 강자경(옥자연)이 연대했고, 의식이 없던 회장이 깨어나면서 후계자로 등극하게 된 한지용(이현욱)이 막강해질 권력으로 이들과 마주하게 됐다.
한지용이 후계자로 새롭게 지목된 건, 한수혁(차학연)이 그 자리를 고사했기 때문이었다. 피는 섞이지 않았지만 정서현은 엄마로서 한수혁에게 “후회하지 않겠냐”고 물었지만, 그는 후회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무언가를 얻으면 자신의 소중한 것을 내줘야 한다는 걸 일찍부터 깨달은 그였다.
정서현은 마침 자신이 사랑하지만 드러내지는 못하는 동성 연인을 통해 “행복 하냐”는 물음을 들었던 차였다. 효원가의 많은 걸 쥐고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 그였지만 사랑하는 사람 하나 선택할 수 없는 그는 행복할 리가 만무했다. 정서현은 그래서 메이드지만 김유연(정이서)을 만나 행복해 하고 그래서 후계자 또한 포기하겠다는 한수혁을 이해할 수 있었다.
<마인>의 새롭게 갖춰진 진용은 여러모로 의미심장한 메시지들을 담고 있다. 애초 이 드라마가 초반 갈등으로 내세웠던 건 서희수와 강자경의 대결구도였다. 효원가의 둘째 며느리로 들어와 피는 섞이지 않았지만 살뜰하게 아들 하준(정현준)을 키워낸 서희수는, 튜터로 들어와 점점 선을 넘으며 결국 아들을 데려가려 한 하준의 친모 강자경과 팽팽한 갈등을 만들었다.
하지만 사이코패스 같은 잔인한 면모들을 드러낸 한지용으로 인해 갈등하던 서희수와 강자경은 모종의 연대가 꾸려졌다. 과거 그 많은 드라마들이 ‘여성의 적은 여성’이라는 방식으로 갈등을 끄집어내고, 사실상 가부장제 같은 부조리한 시스템에서 여성들끼리의 대리전 양상을 그려왔던 것과는 사뭇 다른 선택이다. 물론 이들의 뒤에는 정서현이라는 든든한 버팀목 또한 존재한다.
<마인>이 흥미로운 건, 갈등하던 서희수와 강자경이 어떻게 연대하게 됐는가를 오히려 ‘엄마’라는 공통분모에서 찾아내고 있다는 점이다. ‘진짜 엄마’가 누구냐를 두고 싸우게 됐던 서희수와 강자경은 둘 다 하준을 위하는 ‘엄마’로서의 마음을 확인한다. 배로 낳은 건 아니지만 하준에게 진심인 서희수에게 강자경은 “고맙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이 그런 상황에 놓인 것이 결국은 저 한지용이라는 인물의 욕망과 이기심 때문이라는 걸 확인하게 된다. 그것이 이들을 연대하게 만든 것.
<마인>은 효원가라는 그 공간을 통해 비뚤어진 재벌가의 숨겨진 욕망들을 끄집어내지만, 거기에는 가부장적 사회의 부조리 또한 담겨져 있다. 한회장(정동환)은 그 부조리의 정점에 서 있는 인물이다. 양순혜(박원숙)의 분노조절장애는 그의 외도에서 비롯된 것이고, 효원가의 대표를 두고 벌어지는 암투 역시 거기에 근원이 존재한다. 자본주의의 위계와 가부장적 부조리가 번지르르해 보이는 저들의 삶 밑바닥에 숨겨져 있다.
서희수와 강자경은 그 피해자들이고, 효원가가 자신들을 가둔 감옥이었다는 걸 알게 된다. 그래서 저들과 싸워 효원가를 벗어나 자신의 삶을 되찾으려 한다. 훨훨 날아가려 한다. 그리고 그 피해자를 도와주면서 정서현 역시 조금씩 각성하게 된다. 모든 걸 다 쥔 채 감옥에서 살아갈 것인가, 아니면 손에 쥔 걸 놓고 훨훨 날아갈 것인가. 새롭게 진용을 갖춘 여성들의 연대가 흥미로워지는 이유다.
김서형과 이보영의 불꽃 튀는 열연 속에 강한 자극과 더불어 철학적 성찰을 던지는 수작 ‘마인’에 대해 엔터미디어 채널 '싸우나'에서 정덕현 평론가가 헐크지수를 매겼습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