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현정은 왜 비호감 인물들뿐인 ‘너를 닮은 사람’을 선택했을까
‘너를 닮은 사람’, 공감 가는 인물이 하나도 없는 드라마라니!
[엔터미디어=정덕현] JTBC 수목드라마 <너를 닮은 사람>은 점점 치정복수극의 민낯을 드러내고 있다. 애초에는 무언가 실존적 문제를 드러내는 진중한 작품처럼 보였다. 하지만 드라마는 정희주(고현정)의 불륜과 구해원(신현빈)의 복수 그리고 서우재(김재영)의 기억 상실이 더해지면서 그런 무게감 대신 다소 뻔한 치정극의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구도는 익숙하다. 자매처럼 친했던 정희주(고현정)와 구해원(신현빈)의 관계가 서우재(김재영)의 등장으로 깨져버리는 전형적인 불륜의 구도. 결혼 후 자존감이 없던 정희주는 구해원의 남편이었던(결혼식은 올리지 않았지만 서류상으로) 서우재와 눈이 맞았고 그래서 유학을 빙자한 도피 동거까지 했으며 아이까지 가졌다. 하지만 새 삶을 꾸릴 용기가 없었던 정희주는 도망쳐 안정적인 남편 안현성(최원영)에게 돌아왔고, 이로 인해 배신과 상처를 입은 구해원은 사고로 기억을 잃은 서우재와 돌아와 정희주를 향한 복수를 시작한다.
결국 정희주와 구해원의 팽팽한 대결구도와, 구해원과 살고는 있지만 점점 정희주와의 기억이 떠오르며 혼돈에 빠지는 서우재, 아내의 불륜 사실을 알고도 이를 덮으면서까지 가정을 유지하려했지만 점점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게 되는 안현성... 이들이 만들어가는 파국이 <너를 닮은 사람>이 그리고 있는 세계다.
치정복수극이라면 적어도 피해자가 가해자들을 무너뜨리는 통쾌함 같은 것이 존재하거나, 적어도 피해자에 대한 공감이 있어야 이야기에 몰입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너를 닮은 사람>은 피해자라고 할 수 있는 구해원에 대한 공감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갑자기 정희주 앞에 다시 나타나 그 가정을 위협하고 파괴하려 드는 구해원의 모습은 공감가기보다는 신경질적인 괴물처럼 보인다.
당연히 구해원이 정희주의 아들 호수(김동하)까지 납치극을 꾸며가며 괴롭히는 그 과정들에 대한 통쾌함이 있을 수 없다. 여기에는 정희주라는 인물의 어정쩡함도 한 몫을 하고 있다. 차라리 분명한 악역으로 그려졌다면 구해원의 관점에서 정희주를 무너뜨리는 과정이 시청자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줬을 게다. 하지만 정희주는 이상하게도 이 드라마에서 피해자처럼 그려진다. 자기 욕망에 의해 불륜을 저지른 당사자고, 그래서 모두를 파탄으로 끌고 간 가해자지만 그는 애써 가정을 지켜내려는 엄마이자 아내처럼 그려진다.
물론 피해자와 가해자가 분명하게 그려지고, 그래서 선악구도가 만들어져 권선징악의 스토리를 담는다는 건 흔한 막장드라마의 공식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이것이 선악의 문제가 아닌 가녀릴 수밖에 없는 인간의 욕망이 부딪쳐 만들어낸 파열음에 대한 문제를 다루려 했다는 건 그 의도만큼은 존중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과연 그 의도가 성공했는지는 의문이다. 그런 의도였다면 ‘인간에 대한 연민’이 느껴져야 하는데, 여기 등장하는 그 어떤 인물도 연민의 감정이 들지 않기 때문이다.
제아무리 치정복수극이나 하다못해 막장드라마라고 해도 시청자들이 몰입해 따라갈 수 있는 공감 가는 인물 하나쯤은 존재해야 드라마를 보고픈 마음이 생길게다. 하지만 <너를 닮은 사람>에는 그런 인물을 찾기가 어렵다. 오랜만에 드라마로 복귀한 고현정이 어째서 이런 작품을 선택했는지가 미지수다. 엄청난 열연을 보인다고 해도 공감가지 않는 인물이 시청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없고, 그런 인물들이 만들어가는 드라마가 매력적일 수 없기 때문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