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짜3’, 신출귀몰한 진짜 타짜들의 ‘밑장빼기’는 어디로 갔나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영화 <타짜:원 아이드 잭(이하 타짜3)>은 화투 대신 카드를 들고 나온다. 도박 종목(?)의 차이 때문일까. 화투가 가진 토종적인 맛은 없고, 대신 카드 게임이 갖는 ‘돈 놓고 돈 먹는’ 하드코어적 도박의 풍경이 전면에 나오는 느낌이다. 그래서인지 엄청난 판돈과 손목, 발목이 잘려나가는 살벌한 룰이 전편을 압도한다. 물론 복수극과 속고 속이는 사기와 반전의 묘미를 넣고 있지만, <타짜>를 원작만화로, 두 편의 영화로, 또 드라마 리메이크로 봐온 관객들로서는 그다지 짜릿한 새로움을 찾기는 어렵다.

본래 <타짜>는 제목에 담긴 것처럼 도박기술로 상대방을 속이는 그 묘미가 압권이었던 작품이다. 그래서 지금도 명절에 가족들이 모여 심심풀이로 화투를 치면 농담 삼아 나오는 말이 “밑장빼기”가 될 정도였다. 바로 그런 타짜라 불리는 이들의 신출귀몰한 도박기술이 이 작품의 중요한 요소였던 것.



게다가 빼놓을 수 없는 건 돈을 거는 도박판이 점점 커지면서 손목을 걸고 나아가 목숨을 거는 도박판으로 긴장감을 높이는 서사의 점층 구조다. 결국 도박의 긴장감은 ‘판돈’에 있기 마련인데, 그것이 목숨을 담보로 하거나 신체 일부를 담보로 할 때만큼 강렬한 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타짜>는 도박판 이야기처럼 시작되지만 마치 조폭 누아르 같은 색깔을 더한다.

하지만 <타짜3>에서는 카드로 바뀌어서인지 ‘밑장빼기’ 같은 기술이 등장하지 않는다. 그저 셔플링을 현란하게 하는 정도가 볼거리다. 이런 기술이 나오지 않는 이유로 제시되는 건 기술 자체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전제가 깔려 있어서다. <타짜>라는 작품에서 마치 이니셜처럼 등장하는 기술이 소개되거나 등장하지 않는다는 건 조금 아쉬운 대목이다.



이렇게 카드 게임 자체에 집중하기보다는 누군가를 속이는 데 집중하다 보니 영화는 도박 이야기라기보다는 여러 인물들이 모여 작당을 하는 ‘케이퍼 무비’ 같은 느낌을 준다. 오랜만에 류승범이 ‘원 아이드 잭’이라는 캐릭터로 등장해 강렬한 인상을 남길 수 있었던 건 이런 케이퍼 무비적 성격을 이 영화가 갖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토속적인 맛이 사라지고, 도박 자체에 좀 더 깊게 들어가기보다는 도박판을 둘러싼 속고 속이며 복수하고 복수당하는 이야기로 흐르면서 <타짜3>에서는 어딘가 카드게임 자체는 하나의 도구처럼 느껴진다. 따라서 남게 되는 건 보다 큰 판돈이나 걸게 되는 손목, 목숨 같은 도박의 결과가 만들어내는 긴장감이다.



그래서 영화를 보고 나면 끝없이 담배를 피우고 욕을 해대는 인물들 속에서 잘려나간 손목, 발목은 많은데 그다지 인상적이라는 느낌은 별로 없다. 다만 류승범의 아우라와 박정민의 안정적인 연기 정도가 인상적이랄까. <타짜3>는 그래서 원작 만화와 첫 번째로 영화화 된 <타짜1>의 후광효과 정도를 가진 작품처럼 보인다. 워낙 허영만 화백의 원작 만화와 최동훈 감독과 백윤식·조승우·김혜수 등 명배우들이 협업한 영화 <타짜1>이 완성도가 높았던 탓일까 아니면 후속 작품들이 너무 안이한 탓일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타짜: 원 아이드 잭>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