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꽃 필 무렵’, 중간들에게 던지는 강하늘의 돈키호테식 위로

[엔터미디어=정덕현] “엄마는 오락기가 원래 없는 게 좋을 것 같아? 쓰다 뺐기는 게 좋을 것 같아? 나는 쓰다 뺐기면 미치고 팔짝 뛸 거 같아. 잠도 안 올 거 같아. 근데 원래 없다고 치면 마음이... 중간이야. 충재네집은 이혼해갖고 걔네 아빠 서울 갔대. 나는 충재보다 내가 나은 것 같기도 해.”

KBS 수목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서 동백(공효진)의 아들 필구(김강훈)는 엄마에게 그렇게 말한다. 아빠 없이 큰 아들에게 아빠가 궁금하지 않냐고 묻는 동백에게 하는 필구의 말이 꽤 설득력이 있다. 그 말에 위로를 얻는 동백은 말한다. “그래 우리 중간이야 그치? 중간.”

<동백꽃 필 무렵>은 그 중간의 위치에 있는, 아니 어쩌면 중간이라고 애써 우기는 사람들에게 건네는 위로 같은 드라마다. 미혼모에 술집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동네 여인들이 동백을 편견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때론 괴롭히는 이유다. 그건 동백의 아들 필구도 마찬가지다. 필구는 아빠가 없다는 사실과, 엄마가 술집을 한다는 이유로 친구들마저 마구 이야기하는 사실이 괴롭다.

그런 동백과 필구 앞에 편견이나 선입견과는 애초부터 거리가 멀 것 같은 순백의 영혼을 가진 황용식(강하늘)이 나타난다. 그는 앞뒤 재지 않고 부당하거나 잘못된 일들이 있으면 몸부터 뛰어드는 돈키호테 같은 인물이다. 그래서 경찰들보다 더 범인은 많이 잡아 순경이 된다. 그런 돈키호테 앞에 돌시네아처럼 동백이 나타난다.



엄마를 함부로 말하는 친구들과 한판 붙는 걸 도와주고 함께 오락실에 간 동백은 필구에게 이렇게 말한다. “세상 사람들이 다 아빠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나 네가 ‘나 아빠 없어요’ 했을 때 너를 짠하게 바라보는 그런 사람들, 그런 사람들 아주 촌스런 사람들이여. 그런 사람들은 그냥 네가 짠하게 봐주면 되야.”

<동백꽃 필 무렵>은 그 중간의 위치에 서 있다 우기는 이들을 함부로 동정하거나 연민하는 것이 아니다. 황용식의 말처럼 그건 아주 촌스런 일이니 말이다. 하지만 동정이나 연민은커녕 낮춰보고 괴롭히는 사람들이 천지다. 남편이 동백이네 술집에 자주 간다는 이유로 동백이나 그 집에서 일하는 향미(손담비)를 술집 작부나 마담 취급하는 이들이 그렇다.

“술집 작부나 마담이나 엎어지나 메치나지. 야 똑같이 하루 세 끼 먹는다고 똑같은 사람인지 아니? 오죽하면 이러고 살까. 인생이 불쌍해가지고 사람취급 해줬더니 이런 식으로 은혜를 갚아?” 그렇게 따지고 드는 시장 아주머니에게 그러나 동백도 가만히 있지만은 않는다. “무슨 은혜요? 제가 뭘 그렇게 신세를 졌어요? 제가 뭘 그렇게 잘못했어요? 나 아무 짓도 안했어요. 저는 그냥 죽어라 열심히 사는 것밖에 안 해요. 근데 다 왜 맨날 다 제 탓인지 모르겠어요. 저도 좀 살 게 놔두세요. 저 좀 놔주세요.”



“그냥 죽어라 열심히 사는 것밖에 안 해요”라는 동백의 말이 아프다. 그저 열심히 살고 있는 것뿐인데, 함부로 무시하고 죄인 취급하는 세상의 편견 앞에 중간 정도의 위치라고 우기며 사는 이들은 얼마나 힘겨울까. 그 때 마침 동백의 아들 필구가 나타나 엄마를 괴롭히는 준기엄마들에게 마구 대들며 엄포를 놓는다. “아줌마 우리 엄마 때리면요, 나 준기 맨날 맨날 때릴 거예요. 주먹으로 코 깨고요 발로 막 찰 거예요. 내가 하나 못하나 봐봐요.”

그날 밤 어른들한테 그러는 거 아니라며 그래서 네가 ‘쌈닭’이라 불리는 거라고 하는 동백의 말에 필구가 하는 말이 또 한 번 가슴에 와 박힌다. “내가 왜 쌈닭이 됐는지 알기나 알아? 엄마, 엄마 땜에. 내가 왜 엄마를 지켜야 돼? 엄마가 나를 지켜줘야지. 나는 일학년인데 일학년이 왜 엄마를 지켜? 나도 귀찮아. 근데 내가 엄마를 지킬 수밖에 없다고. 나 빼고 세상 사람들이 다 엄마를 싫어하니까. 세상에서 엄마 좋아하는 사람 나밖에 없잖아. 나 다 알아. 사람들이 다 엄마 싫어하고 괴롭히잖아. 그니까 내가 야구도 못하고 계속 계속 지켜줘야 된다고. 어떨 때는 나도 막 피곤해. 막 화가 나.”

<동백꽃 필 무렵>에서 필구와 황용식은 그렇게 동백을 지키는 돈키호테로 등장한다. 사실은 힘겨워도 중간 정도라 스스로 치부하며 애써 살아가는 이들이라면 필구와 황용식 같은 돈키호테식 위로가 먹먹하고 따뜻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을 게다. 가만 놔두면 “울까 봐” 자꾸 뒤를 따라가게 된다는 황용식은 그래서 시청자들의 마음을 대변한다. “생판 남이 우는 데 내가 막 승질이 납디다.”



에너지 보충을 하겠다며 역전으로 간 동백은 꿈이 뭐냐는 황용식의 질문에 쑥스러워하면서 그 곳에 있는 ‘분실물 센터’를 손으로 가리킨다. 그 곳에서 일하는 게 꿈이라는 것. 그런데 그 이유가 기가 막히다. “저기선 다들 그 말을 하잖아요. 고맙다고. 고맙다고들 하니까. 제가 살면서요, 미안하게 됐다 이런 얘기는 많이 들었거든요. 사랑한다는 얘기하고, 아무렇게나 들었죠. 근데 이상하게요. 아무도 나한테는 고맙다고는 안 해요. 아무도 나한테는 그 말을 안 해요. 저 분실물 센터에서는 저분이 최고 천사고 최고 은인이에요.”

돌아오는 길 황용식은 조심스럽게 동백에게 묻는다. “우리 쩌어그 해요... 쩌어그 친구요. 우리 친구 좀 해봐요.” 그러자 동백이 말한다. “나한테 친구하자는 사람은 또 처음인 거 같은데.” 그리고 황용식이 하는 말은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가 무엇인가를 분명히 드러낸다. “친구해요. 친구하면은 나 동백씨랑 필구편 대놓고 들어도 되죠? 작정하고 편파적으로 해도 되는 거죠?”

아직 피어나지 못했지만 그렇다고 좌절하지도 않는 스스로를 ‘필 무렵’이라 치부하며 살아가는 그 중간의 위치에 놓인 이들에게 황용식과 필구 같은 돈키호테식 위로가 닿는 순간은 기분좋은 뭉클함과 먹먹함이 피어난다. 그리고 그 뭉클함과 먹먹함이 참 귀하게 느껴진다. 참으로 오랜 만에 볼만한 괜찮은 드라마가 나타났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