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나라’, 조선건국 이야기에 청춘들의 절망이 담긴 건

[엔터미디어=정덕현] JTBC 새 금토드라마 <나의 나라>는 조선 건국의 역사가 소재다. 이미 이 역사를 소재로 한 사극들은 넘치고 넘쳤다. KBS <용의 눈물>, <정도전>, SBS <대풍수>, <육룡이 나르샤> 등등 많은 사극들이 조선 건국의 이야기를 소재로 다뤘다.

이렇게 된 건 새로운 나라를 세우는 역사적 사실 자체가 드라마틱하고, 무엇보다 그 과정에 현재의 정서들이 투영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선을 전후로 해서 조선 건국 같은 과정을 담은 사극들이 편성되면 자연스럽게 현재의 대중들이 원하는 ‘새로운 나라’에 대한 열망을 담아낼 수 있었다.

<나의 나라> 역시 이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또 역사적 인물로서의 이성계(김영철)와 이방원(장혁)이 등장한다. 하지만 <나의 나라>의 주인공은 이성계가 아니라 당대를 살았던 서휘(양세종), 남선호(우도환) 그리고 한희재(김설현)다. 어째서 이 청춘들이 조선 건국이라는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서 주인공으로 내세워진 걸까.



그것은 이들의 캐릭터 안에 그 의도가 담겨져 있다. 서휘는 고려제일검으로 불리던 서검의 아들로 남다른 무인의 자질을 갖춘 인물이지만, 팽형을 당한 아버지의 핏줄이라는 사실 때문에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위치에 처해 있다. 간질병을 가진 누이 연(조이현)을 지키기 위해 생계를 꾸리려 애쓰는 삶이 그의 일상이 되었다.

남선호는 이성계의 옆에서 조선을 세우는 일을 도모하는 남전(안내상)의 아들이지만 서얼출신이라는 이유로 앞길이 막혀있다. 적자인 이복 형이 사망한 후 남씨 집안의 아들 취급을 받고 있지만 가슴 가득 아버지에 대한 한을 품고 있는 인물. 무과 장원만이 그에게 유일한 기회지만 그 동아줄이 자신의 올가미가 될 거라는 걸 그는 뒤늦게 깨닫는다.

한희재는 기생 한씨의 딸로 이화루의 행수인 서설(장영남) 밑에서 살아간다. 기생집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정보를 모아 파는 것으로 권력행사를 하고 있는 이화루. 한희재는 기생을 거부하고 썩어빠진 고려의 적폐를 벽서에 담아 고발한다.



즉 서휘, 남선호, 한희재는 망해가는 여말선초의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서 새로운 나라를 희구한다. 그런데 그것은 이성계나 이방원이 꿈꾸는 그런 나라와는 다르다. 남선호가 새로운 나라를 꿈꾸는 건 지긋지긋한 서얼 팔자를 송두리째 뒤집어버리기 위함이다. 그는 “팔자의 반은 부모”지만 “나머지 반은 우리가 뒤집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곧 고려가 뒤집어질 거라고 예상하며 그 뒤집어진 고려의 중심에 설 거라는 야심을 드러낸다.

고려의 무능을 벽서로 써 붙이고 다니는 한희재 역시 남선호와 그리 다르지 않다. 그 역시 썩어빠진 고려를 칼로 도려내는 것이 새로운 나라를 꿈꾸는 이유다. 하지만 당장 먹고 살기 급급한 서휘는 “밥이 나라”라고 말한다. “쌀이 뒷간에서 나면 뒷간이 내 나라”라는 것. 그에게 나라에 대한 야심 따위는 없다. 다만 누이동생과 쌀 걱정 없이 살 수 있으면 나라가 누구의 손에 들어갔든 상관없다는 것이다.



조금씩 방향과 속내는 다르지만 이들에게는 태생적으로 앞길이 막혀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노력해도 출신 먼저 따지고 적자니 서얼이니 따지며 심지어 아버지가 팽형으로 자식들까지 누를 끼칠까 자결을 했지만 여전히 그 낙인을 찍고 살아야 하는 세상에서 그들이 날개를 펼 수 있는 곳은 없다. 그래서 저마다의 새로운 나라를 꿈꾼다.

조선 건국을 소재로 한 사극들은 많지만, <나의 나라>가 새로운 지점은 바로 이 지점이다. 세 명의 앞길이 막혀 버린 청춘들을 등장시켜 그들의 관점으로 조선 건국의 이야기를 그려가는 것. 그것은 건국이라는 거창한 서사 따위보다 당장 나의 문제가 눈앞에 더 절실해져버린 지금의 청춘들의 현실을 담아낸다. 다 아는 뻔한 역사지만 이들의 행보가 몰입감을 주는 이유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