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꽃’이 까불이라는 사회적 공포를 활용하는 방식

[엔터미디어=정덕현] KBS 수목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은 옹산에 들어와 까멜리아라는 술집을 하며 아들을 부양하는 미혼모 동백(공효진)과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해 여러 차례 범인을 검거하며 경찰이 된 황용식(강하늘)의 멜로가 주요 스토리다. 도서관에서 본 후 첫 눈에 반해 동백을 따라다니며 구애하는 황용식을 애써 밀어내다 대책 없는 그 돈키호테식 직진에 결국 동백은 마음을 열고 이제 달달한 관계가 시작되려던 참이다.

그런데 드라마 첫 장면에 들어가 어딘지 불안감을 만들었던 ‘까불이’라는 연쇄살인마의 그림자가 달달한 멜로에 조금씩 드리워지고 있다. 까멜리아의 벽에 낙서로 쓰인 ‘까불지 마라’는 글귀가 어떤 불안감을 주더니 이제 벽면에 커다란 글씨로 ‘까불지 말라고 했지. 그 때부터 지금까지 내가 너를 매일 보고 있다’고 쓰인 경고 메시지에 동백은 애써 강한 척 했던 그 면모마저 무너져 내렸다. 자신은 어찌 되든 상관없다 버텼지만 아들 필구(김강훈)마저 위험해질까 두려운 동백은 “옹산을 떠나고 싶다”고 말했다.



까불이라는 존재가 전면에 등장하면서 드라마의 분위기는 달달한 멜로에서 소름끼치는 스릴러가 덧씌워졌다. 물론 까불이를 잡겠다고 옹산 사람들을 만나 탐문수사를 하는 황용식과 마을사람들의 엉뚱함은 여전히 유쾌한 웃음을 주지만, 이제 공개적으로 경고를 해대는 까불이의 섬뜩한 메시지는 시청자들도 긴장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그런데 어째서 이 드라마를 집필하고 있는 임상춘 작가는 동백과 황용식의 구수하고 달달한 멜로에 까불이라는 섬뜩한 존재를 끼워 넣었을까. 그건 먼저 멜로가 갖는 자칫 느슨해질 수 있는 드라마에 적당한 긴장감을 부여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보인다. 황용식이 경찰이라는 사실과 동백이 까불이의 연쇄살인에서 유일한 생존자이자 목격자라는 사실은 두 사람의 멜로가 이 사건 해결과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지점이다.



사실 황용식이 동백을 지키겠다는 명분으로 졸졸 따라다닌 것도 바로 그 까불이라는 공포의 존재가 있어 가능했던 일이었다. 게다가 이제 황용식은 두려움에 옹산을 떠나려는 동백을 붙잡기 위해서라도 까불이를 반드시 잡아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멜로에 이만한 긴장감을 만들어내는데 까불이라는 설정은 그만큼 효과적이었다는 것.

또한 그간 친근했던 마을 사람들 중 까불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도대체 누가 까불이인가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을 유발한다. 그래서 이미 시청자들은 다양한 저마다의 추리를 내놓고 있다. 동백의 가게에서 일하는 향미(손담비)가 까불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향미가 다른 의도로 실제 까불이를 흉내내고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오랜만에 갑자기 돌아온 동백의 엄마(이정은)도 의심스럽고, 까멜리아에 CCTV를 달아주었던 철물점을 운영하는 흥식(이규성)도 시청자들의 용의선상에 오르기도 했다. 누가 까불이인지 아직 정확히 알 수는 없는 일이지만 그런 관심과 궁금증이 시청자들로 하여금 이 드라마에 더 집중하게 만들고 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작가가 까불이라는 존재를 끼워 넣은 건 이 드라마를 그저 사적인 멜로에만 머물게 하고 싶지 않았던 뜻이 있지 않을까 싶다. 까불이가 등장하면서 시청자들은 그 정감 넘치던 옹산 사람들을 하나하나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게 되었다. 어떤 선입견이나 편견은 보는 대상을 이토록 다르게 보게 만든다. 이것은 <동백꽃 필 무렵>이 동백과 황용식의 사랑이야기를 통해 전하려는 공적 메시지이기도 하다.

어려서는 고아로, 나이 들어서는 미혼모에 술집을 한다는 사실 때문에 동백은 한 평생을 편견과 선입견의 굴레 속에서 살았다. 그래서 잔뜩 주눅 든 채 살아가는 동백에게 다가온 황용식의 사랑은 그저 사적인 사랑을 넘어 그 편견과 선입견을 깨주는 공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런데 사람들은 왜 자신과 달리 평탄치 않은 삶을 살아온 이들에게 편견과 선입견의 시선을 보내는 걸까. 그건 다른 존재에 대한 두려움이나 불안감 때문이 아닐까.



까불이라는 존재는 바로 그 불안감이 만들어내는 편견과 선입견의 시선을 구체화해는 설정이 아닐 수 없다. 결국 불안의 근거일 수 있는 까불이만 사라지면 사라져버릴 비뚤어진 시선들인 셈이다. 그래서 모두가 의심하고 불안해하는 가운데 황용식이 그 까불이를 잡겠다 나서는 그 대목은 동백에 대한 사랑이면서, 그 불안감과 거기서 비롯되는 편견, 선입견에 맞서는 공적 정의의 의미를 담게 된다.

그러고 보면 우리가 <동백꽃 필 무렵>의 동백과 황용식의 사랑이야기를 여타의 멜로와 달리 절절하게 보게 된 건, 그 사적 멜로에 공적 의미들이 담겨 있어서였다. 편견 때문에 자신의 소중함을 폄하하며 근근이 버텨내며 살아가던 동백에게 그 소중함과 귀함을 일깨워주는 사랑. 이 작품이 우리의 가슴을 뛰게 만드는 절묘한 작가의 선택이 아닐 수 없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