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듀’ 사태를 통해 보이는 국내 가요계의 기형적 구조

[엔터미디어=정덕현의 이슈공감] Mnet 안준영 PD와 김용범 CP가 구속되면서 <프로듀스X101> 사태의 윤곽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프로듀스101> 시리즈는 그 결과가 나올 때마다 잡음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 때마다 오디션 프로그램에서의 당락이나 최종 합격이라는 게 모든 시청자들을 납득시킬 수는 없는 거라 여겨지며 넘어가곤 했다. 마지막까지 자신이 응원했던 연습생이 고배를 마시게 되도 그러려니 하며 받아들였던 건 그래서였다.

하지만 문제는 최종 결과에 의문을 가진 시청자들이 구체적인 수치가 일련의 배합으로 나타난다는 걸 찾아내면서다. 어느 정도의 개입은 있을 거라 심증을 갖고 있었고, 편집 정도를 통해 개입하는 건 ‘악마의 편집’이라 욕하면서도 시청률과 재미를 위해 그러려니 팬들 역시 받아들였지만 구체적인 조작의 수치가 등장하게 되면서 이는 더 이상 받아들여질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한 방송사의 보도에 따르면 결국 안준영 PD는 <프로듀스X101>과 전 시리즈였던 <프로듀스48>의 조작혐의를 인정했다고 한다. 다만 이전 시리즈의 조작혐의는 부인했다.

결국 어찌 됐던 조작은 사실로 드러났다. ‘국민 프로듀서’라는 시스템을 내세워 시청자들이 직접 뽑는다는 걸로 그 치열한 경쟁을 정당화했던 프로그램은 공정성 자체가 허구였다는 게 드러나면서 시청자들을 허탈하게 만들었다. 가장 큰 허탈감은 ‘공정성의 판타지’를 깼다는 점이다. 오디션 프로그램은 결국 현실에 부재한 공정한 시스템을 프로그램이 판타지로서 제공하는 것으로 대중들의 사랑을 받았던 형식이다.



<슈퍼스타K2>의 허각 신드롬은 단적인 사례다. 실력이 있으면 그 어떤 조건과 상관없이 우승자가 나온다는 걸로 공정성의 판타지는 그렇게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현실과 마찬가지로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는 틀 역시 거래가 오고가는 현실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대중들은 허탈해질 수밖에 없다. 현실은 물론이고 공정성을 내세웠던 가상의 프로그램조차 공정함이 없다는 걸 확인했으니 말이다.

그런데 어째서 Mnet은 이런 독배를 선택하게 됐는가 하는 점이다. 가장 큰 부분은 상업성이다. 사실 시청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던 <슈퍼스타K> 초창기만 하더라도 Mnet은 굳이 이런 무리수까지 쓸 필요는 전혀 없었다. 방송 자체가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광고 매출 등으로 자체적인 수익성이 담보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디션 형식이 점점 퇴조하면서 수익성도 사라졌고 결국 <슈퍼스타K>는 폐지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때 수익성으로 들고 나온 게 기획사 연습생들을 출연시키는 <프로듀스101> 같은 아이돌 오디션이다. 어째서 아이돌이라는 새로운 출연자들을 무대 위에 세웠는가는 명백하다. K팝 아이돌을 꿈꾸는 연습생들이 부지기수로 늘었고, 이들을 키워내려는 기획사들도 우후죽순 생겨났다. 경쟁이 치열한 곳이니 오디션은 여러모로 수지타산이 맞는 틀이 될 수밖에 없다. <슈퍼스타K>처럼 일반인을 스타로 만드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본류는 그렇게 <프로듀스> 시리즈 같은 아이돌 연습생을 키우는 보다 상업적인 변종을 만들었다.

상업화된 판이 된 오디션 프로그램은 여러 욕망들이 투영되기 마련이다. 방송사는 최대한의 수익을 내려 했고 그래서 배출된 아이돌그룹을 어떻게든 오래도록 붙들어놓기 위해 계약서를 썼다. 기획사는 단 기간에 소속 연습생을 스타덤으로 올려 이를 통한 수익을 만들어내려 했다. 연습생들도 힘들지만 이 오디션을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낼 기회를 가지려 했다. 그러니 상업화된 이 판에서 저마다의 욕망들은 갈등도 있었지만 맞아떨어지는 면도 존재했다. 적당한 조작(굳이 투표조작이 아니라 하더라도)은 그래서 알면서도 용인됐다. 실제로 이번 <프로듀스X101>의 참가자는 특정 기획사 밀어주기가 있는 걸 이미 알고 있었다.



하지만 여기에는 ‘국민 프로듀서’라는 새롭게 탄생한 욕망의 변수가 또한 존재했다. 직접 뽑는다는 대의명분으로 등장한 이들도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편집 등을 통해 당락에 개입한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어느 순간 납득 가능한 비등점을 넘어서면서 결국 사안은 사건이 되었다. 최종합격자에 대한 의문 제기가 구체적인 수치에 의해 조작의심이 확증으로 드러나게 되자 자신이 참가자에게 쏟아 부은 정성과 욕망만큼 분노 또한 커질 수밖에 없었다.

이 사안을 단지 갑을관계의 문제로 치부해 Mnet이 갑의 위치에서 만든 사건으로만 보면 문제의 핵심을 놓치게 된다. 그것보다는 방송사와 기획사 그리고 아이돌 연습생과 나아가 국민 프로듀서로 불리는 팬덤까지 모든 욕망이 결합된 상황이 그 배경을 만들어준 것이고, 그 위에서 범죄가 생겨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명명백백하게 잘잘못이 가려지는 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그만큼 이런 사태가 벌어지게 된 우리네 가요계의 기형적 구조를 다시금 들여다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어쩌다 우리는 아이돌에만 이토록 집중하는 다양성이 사라진 가요계의 생태계가 만들어지게 된 걸까. 어째서 아이돌 이외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가수들이 저마다의 매력을 드러내며 성공할 수 있는 그런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은 걸까. 방송사와 기획사의 비즈니스 관계로 움직이는 음악 방송의 편향은 물론이고 음원 순위 사이트의 문제까지 이번 사태와 무관치 않다는 걸 우리는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그게 아니면서 몇몇 구속으로 사태가 지나간 후 언제고 또 다른 사태를 만날 수도 있으니.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net, SBS, 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