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만 예약 ‘겨울왕국2’, 진취적 스토리와 퇴행적 독과점의 양면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영화 <겨울왕국2>는 개봉과 함께 어쩌면 일찌감치 1,000만 관객 돌파를 예약했던 것이 아니었을까. 개봉한 지 10일도 안돼서 무려 760만 관객(11월30일 기준)을 돌파했다. 2013년 개봉했던 <겨울왕국>이 애니매이션 최초로 1,000만 관객을 넘겼던 걸 떠올려보면 시즌2에 대한 기대감이 클 수밖에 없다는 건 당연한 일일게다. 따라서 <겨울왕국2>의 1,000만 돌파는 다음 주에 무난히 이뤄질 거라는 전망이다.

이렇게 된 건 <겨울왕국2>가 이미 전편에서 드러냈던 것처럼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불어넣은 색다른 공주이야기에 대한 해석이 폭넓은 공감대를 불러 일으켰고, 거기에 디즈니 특유의 뮤지컬 무비가 갖는 감흥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음악적으로 보면 물론 전편의 ‘Let it go’를 뛰어넘는 노래를 찾기는 어렵지만 ‘into the unknown’이나 ‘Show yourself’ 같은 꽤 괜찮은 음악들이 포진해 있다. 음악적 감흥도 감흥이지만, 스토리와 엮어져 그 노래가 전하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여성 캐릭터 엘사와 안나의 메시지가 더 큰 공감대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스토리도 <겨울왕국2>는 진일보했다고 보인다. 젠더적 관점의 변화는 더 명확해졌고, 거기에 소수민족 이야기와 환경 문제까지 더해져 다양한 페미니즘의 논제들이 영화 구석구석에 포진됐다. 무엇보다 엘사가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찾아가는 그 과정은 이야기로도 또 화려하고 역동적인 애니메이션의 표현으로도 충분히 감동을 줄만하다. 또한 엘사와 안나, 그리고 그 부모와 그 조부모의 세대를 하나의 역사적으로 엮어 그 잘못된 역사를 현재 바로잡는 이야기 구성도 흥미롭다.

무엇보다 <겨울왕국2>가 거둔 성취가 돋보이는 대목은 지금까지 무수히 많이 디즈니가 그려냈던 공주와 왕자 이야기를 별 거부감 없이 너무나 유연하게 뒤집어 놨다는 점이다. 젠더니 페미니즘이니 하는 단어만 들어도 어딘지 어떤 선입견을 갖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겨울왕국2>는 그 얘기들을 다 꺼내면서도 별다른 선입견 없이 이야기에 몰입하게 한다. 그건 젠더 이야기를 환경문제나 소수민족 문제까지 확장해서 끌어안았기 때문에 생겨난 자연스러움이다. 사람들은 젠더 문제에는 민감하지만, 그 확장일 수 있는 환경문제나 소수민족 문제에는 훨씬 포용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작품의 완성도로 충분히 평가받고 또 대중적 성공도 가져갈 수 있었던 <겨울왕국2>에 시작부터 불거진 스크린 독과점 논란은 오점이 될 수밖에 없다. <겨울왕국2>는 상영점유율(63%)과 좌석점유율(70%)를 기록함으로써 <어벤져스:엔드게임>이 기록했던 상영점유율(80.9%)와 좌석점유율(8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독과점 비율을 기록했다. 결국 영화 다양성 확보와 독과점해소를 위한 영화인 대책위가 다양성 침해라며 비판하게 된 이유가 되었다.

젠더와 환경, 소수민족 문제 같은 다소 소외된 것들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그것들을 복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영화가 독과점 논란을 일으킨다는 건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이건 극장 체인이 이미 지난 <겨울왕국> 1편의 성공을 통해 이번 2편의 성공도 일찌감치 예상했기 때문에 생겨난 일일 수 있다. 하지만 이 바람직한 메시지를 전하는 영화가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그로 인해 영화의 메시지와는 정반대의 또 다른 피해를 만들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긴 어렵다.



<겨울왕국2>의 진취적인 메시지와 그와는 정반대 흐름을 갖는 독과점 문제의 공존을 들여다보면, 이제 기존 잘못된 질서와 자본을 비판하는 콘텐츠도 결국은 자본의 질서 안에 편입되고 있는 현실을 실감하게 된다. <겨울왕국2>의 메시지와 완성도에 박수를 치면서도 남는 씁쓸함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겨울왕국2>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