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릿’ 하지원의 생일과 윤계상의 기일에 담긴 뜻

[엔터미디어=정덕현] “엄마 제사는 늘 민성이가 준비해줬는데, 이젠 민성이가 없어. 그냥 우리끼리 한 잔 해. 엄마 좋아하는 새우깡 안주 해서. 좀 답답할 거 같아서 야외로 나왔는데 괜찮지?” 이강(윤계상)은 엄마의 기일에 어느 다리 위에 앉아 소주를 따라놓는다. 무덤조차 하다못해 납골묘조차 남기지 않은 거성재단 사람들 때문에 이강은 엄마의 기일에 찾아갈 곳이 없다. 그나마 친구였던 민성(유태오)이 늘 제사를 챙겨줬지만, 그 역시 저 세상으로 먼저 가버렸다. 사랑했던 사람들을 모두 떠나보내고 홀로 덩그러니 남아 술잔을 채우는 그 마음은 쓸쓸하기 이를 데 없다.

그를 발견한 문차영(하지원)이 조심스럽게 다가오자 이강은 일 끝났으면 술 한 잔 같이 하자고 한다. 술잔이 놓인 쪽에 문차영이 앉으려 하자 이강은 “여긴 우리 엄마자리”라며 반대쪽 옆에 앉으라 한다. 몸도 안 좋은데 오늘은 물을 마시라며 물을 따라준 이강은 문차영에게 생일 축하한다며 “다신 아프지 말아요. 특히 생일엔.”이라 말한다. 카메라는 이들이 나란히 앉아 있는 뒷모습을 보여준다. 왼편에는 생일을 맞은 문차영이, 오른쪽에는 기일을 맞은 윤계상이 그리고 그 오른 쪽에는 엄마의 술잔이 놓여있다.



이 한 장면에는 JTBC 금토드라마 <초콜릿>이 하려는 이야기가 압축적으로 담겨있다. 문차영의 생일과 이강이 맞은 기일이 같은 건, 그들이 같은 날 아픔을 겪었기 때문이다. 삼풍백화점 붕괴로 이강의 어머니는 그 날 사망했고, 생일을 맞아 그 곳에서 엄마를 기다리다 사고를 당한 문차영은 이강의 어머니가 준 초콜릿 하나로 기적처럼 살아남았다. 그 날은 이강에게도 문차영에게도 상처로 남은 날이다. 가장 축복받아야 할 생일날 맞은 비극으로 문차영은 그 날만 되면 그 때의 상처와 고통이 떠오르고, 기일이지만 찾아갈 무덤조차 없어 이강은 아무 곳에서나 소주잔을 채운다.

그런데 모두 같은 날 상처 입은 두 사람은 바로 그 상처 때문에 타인의 상처를 그냥 두고 보지 못한다. 이강은 의사로서 어떻게든 생명을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지만 거성재단 사람들은 어떻게든 그를 사지로 내몰기 위해 별별 방법을 다 동원한다. 결국 손을 떨게 된 이강은 지방의 호스피스 병동으로 좌천되어 내려온다. 문차영은 요리사가 되어 자신의 요리를 통해 아픈 사람들을 위로해주려 애쓴다. 자식에게 짜장면집에서 버려져 매번 그 곳을 찾아가는 할아버지에게 번번이 짜장면을 사주고, 자식까지 버리고 재가해 불행하게 살아가는 엄마에게 생일이라며 편지에 선물을 전하려 하는 호스피스 병동의 아이를 보듬어준다. 그들은 아프고 상처 입었지만, 그래서 타인의 아픔과 상처를 외면하지 못한다.



그건 그 상처 입은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자식에게 버려져 매번 짜장면집을 찾아갔던 할아버지는 죽으면서도 자식을 걱정한다. 자기는 너무 행복하게 잘 지냈다며 죄책감 같은 것 같지 말고 살라고 한다. 엄마에게 버림받은 아이는 그 엄마의 생일을 챙기기 위해 그 먼 거리를 찾아간다. 그리고 손으로 꾹꾹 눌러 사랑의 마음을 담은 편지를 전한다. 정작 아이는 얼마 살 날이 남지 않았다는 걸 스스로도 알고 있다.

아픈 이들이 상처 입은 이들은 위로한다는 건 그들이 그 고통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타인의 고통을 내 일처럼 여기는 그들은 그래서 그 고통 앞에서 지나치지 못한다. 그래서 그들을 돕고 그것으로 자신도 살아갈 힘을 얻는다. 이강의 사람을 고치는 의사로서의 삶도 문차영의 음식을 만드는 요리사로서의 삶도 그런 의미를 갖는다. 결국 누구나 죽음을 맞는다는 사실 앞에 우리 모두는 상처를 마주할 수밖에 없는 운명을 갖고 살아간다. 사랑이란 결국 그런 상처들을 서로 보듬어야 살아갈 수 있는 우리네 운명 같은 것이 아닐까.



이강과 문차영은 그렇게 나란히 앉아 같은 곳을 바라본다. 술을 나누고 마음을 나눈다. 그리고 그 옆에는 그 두 사람을 엮어주는 이강의 엄마가 받아놓은 빈 잔이 놓여 있다. 이 그림이 우리의 마음을 이상하게도 차분하게 가라앉히고 가슴 한 구석에 잔잔한 파문 같은 걸 만드는 건 그 한 장면에 우리네 삶의 비의가 느껴지기 때문이다. 죽음, 상처, 사랑, 위로 같은.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