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니멀’, 끔찍한 인간들 속 공존을 위한 안간힘들

[엔터미디어=정덕현] 덴마크령 페로제도의 흐반나준트 마을. 북유럽의 보석이라고 불릴 만큼 아름답고 평화로워 보이는 마을에 무슨 일인지 시끌시끌한 소리들이 들려온다. 해안가에 잔뜩 모여든 사람들. 아이들은 물론이고 그 부모들과 건장한 사내들까지 무얼 하려는 걸까 싶은 순간 저 편에서 배 몇 척이 무언가를 몰고 들어온다. 자세히 보니 놀랍게도 돌고래 수십 마리가 배들의 위협적인 소리에 밀려 해안가로 오고 있다.

그런데 이 평화로운 풍경 속에서 갑자기 마치 호러 무비를 보는 듯한 믿기 힘든 광경들이 벌어진다. 해안가 근처로 온 돌고래들을 향해 마을 장정들이 달려 들어가 쇠꼬챙이로 머리를 찍어 뭍으로 끌어올리는 광경. 꼬챙이에 찔리고 머리가 잘린 돌고래들로 해안가는 순식간에 핏 빛으로 물들어 버린다. 부감으로 찍혀진 그 장면은 대살육의 현장 그대로다.



MBC 창사특집 다큐멘터리 <휴머니멀>이 보여준 이 장면에 붙은 부제는 ‘어떤 전통’이다. 그것이 페로 마을 사람들의 전통이란다. 물론 과거에는 척박한 토양 때문에 먹을 것이 없어 돌고래를 잡았다고 하지만 지금은 충분히 대체 식량이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1년에 한 번씩 이런 대살육을 벌이는 건 ‘전통’이기 때문이라는 것. 그 전통에 참여한 한 사내는 ‘아드레날린’이 솟구치는 흥분을 이야기했다. 죽은 돌고래들을 아이들이 다가가 아무렇지도 않은 듯 만지고 있었다. 그 아이들은 또 자라서 그 전통을 이어갈 것이다. 만일 그것이 대살육일 뿐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없다면.

돌고래쇼 같은 체험 관광으로 특화되어 있는 일본 타이지 마을에서는 돌고래를 포획하고 죽여 고기로 팔거나 훈련시켜 평생을 가두리에 가둬둔 채 쇼를 하고, 전 세계 아쿠아리움에 파는 일들이 하나의 시스템화된 산업이 되어있다. 배들이 바다로 나가 돌고래를 해안가를 몰아오고 그물을 쳐서 나가지 못하게 막은 후 잠수부들이 투입되어 대량 살상이 벌어진다. 잘 생기지 못한 돌고래는 그 자리에서 살해되어 온통 피바다가 되는 광경이 외부에 공개되어 논란이 되자 지금은 더 영악한 방법이 사용된다. 척수만 끊어 놓고 그 부분을 막아 피가 나오지 않게 꾸미는 것. 그렇게 죽은 돌고래들은 고기로 팔려나간다. 살아남은 돌고래들은 가족과 뿔뿔이 흩어져 쇼를 하거나 아쿠아리움에 팔려간다.



돌고래들은 자신의 존재를 인지하고 기억한다고 한다. 또 유대감이 높아 가족을 버리고 떠나는 일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돌고래들은 태풍으로 인해 가두리가 망가졌어도 갇힌 가족을 떠나지 못해 손쉽게 다시 포획되고 있었다. 타이지 마을 사람들은 돌고래들 때문에 차도 몇 대씩 사고 집도 바꿀 정도로 돈을 벌고 있다고 했다. 결국 그건 생존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일이라는 것. 그 욕망에 의해 돌고래들은 가족 단위로 처참한 비극을 맞이하고 있었다.

<휴머니멀>은 지금껏 우리가 별 생각 없이 보면서 착각해왔던 동물들의 불편한 진실을 끄집어낸다. 돌고래쇼라고 하면 돌고래들이 별 무리 없이 붙잡혀 행복하게 지내고 있을 거라 착각하지만 결코 그건 진실이 아니었다. 가까이서 보니 쇼를 하는 돌고래들의 온 몸에는 상처가 나 있었다. 그 상처들이 그들의 비극을 적나라하게 말해주고 있었다.



상아 때문에 머리가 통째로 잘려져 죽는 아프리카의 코끼리들, 인간을 위해 노동을 하거나 관광상품화된 쇼에 나가기 위해 아기 때부터 갇혀 갖은 고문을 당하는 태국의 코끼리들,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대량 살상을 당하는 페로 마을에 붙잡혀온 돌고래들 그리고 욕망을 채우기 위해 살육당하고 사육당하며 팔려나가는 일본 타이지마을의 돌고래들... 인간의 욕망이 만들어내는 동물들의 처참한 현실들을 <휴머니멀>은 똑바로 바라보라 말하고 있다.

그나마 그 속에서도 어떤 희망을 찾게 되는 건 이런 상황들을 찍어 전 세계에 알리거나 멸종되어 가는 동물들을 지켜내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 있다는 사실이다. 아프리카 코끼리를 살리기 위해 일일이 GPS를 달아 그 움직임을 주시하는 이도 있고, 평생을 고문당해 온 코끼리들을 거둬 말년이나마 평화로운 삶을 지낼 수 있게 노력하는 이도 있었다. 또 돌고래들이 어떻게 살육당하고 사육 당하는가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태풍 속에서도 가두리에 갇혀 몸부림치는 돌고래를 찍는 이들도 있었다.



유해진이 찾아간 미국 뉴햄프셔에서 야생 흑곰의 멸종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벤 킬햄 박사는 바로 그런 인간과 동물과의 공존이 어떤 의미인가를 제대로 알려주는 인물이다.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 새끼 곰들을 거둬 키우는 벤은 2년 이상을 키우지 않는다고 했다. 그 이상을 키우면 야생으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이란다. 마치 부모처럼 먹이를 주고 야생에 적응시키기 위해 매일 산책을 하는 그가 성장한 곰을 떠나보내는데 어찌 소회가 없을까. 하지만 그는 말했다.

“모든 곰들은 곰으로 살고 싶어 해요. 야생 서식지에서 다른 곰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말예요. 곰들은 사람들과 함께 지내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제 감정은 상관없어요. 저는 곰들이 행복하길 바라고 방사해줘야 곰들이 행복해져요.” 기꺼이 동물들을 위해 헌신하고도 그들이 행복해질 수 있게 자연으로 보내주는 사람. 그리고 전통 혹은 관광산업이라는 명목으로 대량 살상을 일삼는 사람. 우리는 과연 어떤 쪽을 택해야할까. 불편한 진실 앞에서 최소한 부끄럽지 않은 선택이어야 하지 않을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