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달’이 ‘건달’을 이겼다는 의미

[서병기의 대중문화 트렌드]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는 1980년대를 다룬 영화다. 윤종빈 감독은 “80년대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은 시대적 공기가 현재와 많이 닮아 있는 것 같아서다”고 말한 바 있다. 사회의 작동 원리가 상식과 질서가 아니라 편법과 권모술수였다는 점은 그때나 소통이 잘 안되는 지금이나 마찬가지라는 의미다. 감독은 구조적으로 착근돼 있는 편법과 폭력에 물들어있는 아버지 세대의 ‘꼰대’들을 단죄의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게 아니라 공감과 연민까지 가지게 했다.

1980년대 부산 폭력조직의 세계를 다룬 영화의 이야기는 해고될 위기에 처한 비리 세관원 최익현(최민식)과 최익현이 손을 잡게 되는 부산 최대 조직 보스 최형배(하정우)를 중심으로 끌고 간다. ‘머리 쓰는’ 나쁜 놈과 ‘주먹 쓰는’ 나쁜 놈이 부산의 지하세계를 접수한 것이다.
 
익현은 조직폭력배의 이권을 위해 활동하는 로비스트지만, 건달도 일반인도 아닌 ‘반달’이다. 반면 형배는 조기승진한 우수 ‘건달’ 보스다. 익현은 나이트클럽과 카지노 등 이권을 위해서는 어디에도 줄을 대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학연 지연 혈연중 특히 종친회라는 혈연을 통해 이권을 해결해줄 사람을 찾는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반달과 건달의 싸움에서는 반달이 이긴다. 이 영화는 남자들의 의리와 배신, 욕망과 콤플렉스의 충돌이 빚는 드라마지만 반달이 살아남았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이것이 마지막까지도 보여주는 이 영화의 차별성이다. 이 점에서 건달이 반달을 이용해 지하세계를 통일하는 느와르 영화가 아니라 반달이 이겨 사회악이 구조적으로 남았다는 ‘PD수첩’형 영화(물론 시사다큐적 전개를 한 것은 아니다)다.
 
최익현은 누구를 위해 끝없이 야망과 욕망을 추구할까. 일본 야쿠자에게 선물받은 총을 지니고 다니지만 총알도 없는, 한마디로 ‘허세 쩌는’ 인간이 편법을 일삼으면서 동물적인 생존 본능을 보이는건 오로지 가족을 위해서다. 밥 먹으면서도 아들이 얼마나 영어 단어를 숙지했는지를 챙기는 자상한 아빠다.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한 후 ‘00파 건달’들은 모두 잡히고 반달은 살아남았다. 반달과 건달의 차이는 무엇인가? 건달은 이미에 건달이라고 붙이고 다니면서 나쁜 짓을 하지만 반달은 겉으로는 표시가 나지않으면서 나쁜 짓을 한다. 우정과 의리를 저버리는 건 반달이 한수위다. 반달은 이 나라 정책을 결정하는 고위관료와 권력기관장들에게 접근해 뇌물을 뿌리며 비리를 저지른다. 지금도 최익현 같은 반달들은 어딘가 숨어서 활약하고 있을 것이다.
 
이 영화에 나오는 사람은 건달이거나, 익현과, 익현의 매제이자 오른팔인 김서방(마동석) 등 반달, 아니면 반달의 접근대상자(간부검사, 고위공무원, 안기부)들이다. 여기서 익현의 로비가 안 먹히는 유일한 검사 조범석(곽도원)은 조직소탕 일인자인 소신 검사 같지만 건달들의 역할 관계를 이용해 대결과 갈등을 조장하고 정의의 이름으로 협잡도 서슴치 않는다는 점에서 또 다른 쪽에서의 나쁜 놈일 수 있다.
 
하지만 독버섯 같은 ‘반달’은 끝까지 살아남아 애지중지하던 그 외아들을 ‘검사’로 키워냈다. 그 검사는 또 어떤 검사가 될 것인가?


칼럼니스트 서병기 < 헤럴드경제 선임기자 > wp@heraldm.com


[사진=영화 ‘범죄와의 전쟁’]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