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킥3’ 보다 박하선 임팩트가 더 커졌다”
-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김병욱 PD 심층인터뷰1

[엔터미디어=조민준의 드라마 스코프] 이전까지 김병욱 PD는 언제나 작품을 통해 ‘인간은 변하지 않아, 절대로.’라고 웅변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리고 <지붕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의 엔딩은 그러한 비관적 세계관의 극점이었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이하 ‘하이킥3’)은 10년이 훨씬 넘도록 지켜 왔던 그 비전이 바야흐로 바뀌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첫 번째 작품이었다. 물론 그것은 ‘인간은 변할 수 있어.’로의 급작스런 변화가 아니라 ‘변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는 없어.’에 가깝다. 하지만 확언도 아닌 그 변화만으로도 <하이킥3>에는 전에 없던 온기들이 따스하게 흘렀다. 바로 그 훈풍의 진원지를 찾는 심정으로, 123회의 기나긴 여정을 마치고 갓 돌아온 김병욱 PD를 광화문 인근의 어느 카페에서 만났다. 이야기는 당연하게도, <지붕킥>의 끝에서 시작된다.

- 짧은 다리의 역습

“<지붕킥>에서는 열린사회라든가 신분에 관한 이야기를 문제제기만 한 수준이었다. 그래서 좀 더 심화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었다. 내상네 일가족 네 명에, 진희, 거기다 사기를 당해 곤경에 처한 하선까지 많은 수의 캐릭터를 나락에 빠지게 한 건 심화와 함께 앞 시리즈들과 차별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렇게 초반부를 바닥에서 시작하여 내상의 마라톤 에피소드를 계기로 극의 분위기가 바뀌게 한 구성은 ‘역습’이라는 부제와 연관이 있다. 크게 성공한다는 의미에서의 역습이 아니라, ‘나락에서 시작한 사람들이 어디서 희망을 찾으면 좋을까?’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것이다.”

- 극 초반부의 센세이션에 관하여

“<하이킥3>는 시작부터 여러 논란에 직면했다. 그 중의 하나가 정치성이 강한 작품이라는 것이었다. 특히 진희가 짜장면 면접을 보는 ‘박규 사장’ 에피소드. ‘기회를 공정하게 주는 게 공정한 사회지.’라고 이야기하면 면접관이 혼잣말로 ‘X지랄 떨고 있네….’라고 하던 장면에서 그 혼잣말도 심의에 걸렸고, 말의 세기와 뉘앙스 때문에 사람들이 굉장히 정치적인 드라마라고 생각한 것 같다.

작품을 기획할 때는 현재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들 중에서 어디에 포지셔닝해야 할까에 대해 먼저 생각한다. ‘이런 쪽의 이야기들이 너무 많으니, 우리는 저런 쪽의 이야기를 해봐야겠다.’는 식이 우리 기획의 출발이다. 그래야 균형이 맞을 것 같으니까. 그러니까 <하이킥3>는 시사성이 강한 드라마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거다. 정치성을 띠자는 것이 아니라, 사실 나는 정치성이 없는 사람이다.

다음 논란은 선정성. 코미디로만 생각하고 만든 진희의 엉덩이 부상 에피소드는 물론 유선의 폐경 에피소드까지 선정성 논란에 휩싸이니 좀 어이가 없었다. 폐경 에피소드에서 정말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우리가 매일 매일 수많은 마지막과 만나며 살지만 그 의미를 진심으로 느끼는 건 나중일 수도 있다.’는 메시지였다. 예를 들면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도 진짜 슬픔은 그 순간이 아니라 장례가 끝난 후에 올 수도 있다. 유선이 폐경의 상실감을 깨닫는 것도 당장이 아니라 한참 후 식사할 때 아니었나? 그것이 가리키고자 한 ‘달’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여자 국부에 난자를 그려넣은 ‘손가락’만 이야기했다.”

늘 거리감이 느껴졌던 전작들과 달리, <하이킥3>에서는 숫제 김병욱 PD 스스로가 극에 개입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말하자면 그 어느 때보다 자기반영적인 작품이라는 것. 그리고 그 구심점이 되는 인물은 윤계상이다. 관찰자인 이적은 단지 내레이션이 덧붙었을 뿐, 다른 인물들과 일정하게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3인칭 관찰자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역대 김병욱 시트콤을 통틀어 가장 새롭다고 해도 좋을 계상 캐릭터는 그간 인터뷰를 통해 밝혀 온 김병욱 PD의 개인적인 성향(따로 생각하는 것을 즐기고, ‘혼자 놀기’를 내상에게 가르쳐 주는)들이 녹아있음은 물론,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고민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늘 예능과 드라마, 극과 현실의 경계에 대해 고민해온 연출가 스스로를 투영한 것처럼 보인다.



- 페르소나로서의 윤계상

“내 모습은 캐릭터들에 조금씩 반영되어 있다고 보는 게 옳을 것이다. <지붕킥>의 지훈 같은 캐릭터들은 속내를 드러내지도 않고 관점이나 입장이 없는데 반해 <하이킥3>에서는 이적 같은 캐릭터가 직접 내레이션을 하기 때문에 관찰자인 내가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느낄 수도 있다. 사실 이적도 돈을 잘 벌지만 우울증에 걸려 있는 인물이다. 아무리 항문을 들여다보는 게 지긋지긋하다 해도 10층 건물까지 가지고 있는 의사가 그렇게까지 우울할까? 그렇게 괴리된 모습에 내가 반영되어 있는 것 같다.

계상도 특이한 캐릭터다. 병원을 나와서 실천적인 일을 하고 있는데, 그런 경우 대개 사람이 진취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계상은 19세 이후 자기 삶에 위안이 없었다고 이야기한다. 나를 잘 아는 사람은 그런 공허한 성격에 대해서 반영이라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다. 엄밀히 말해 무언가를 바꾸고자 노력하는 계상의 모습은 내 자신이라기보다 내가 바라는 이상적인 인간에 가깝다.”

- 이적의 아내 설정

“처음부터 백진희로 정하고 간 것은 아니었다. ‘손맛’ 에피소드가 나올 때까지도 정해지지 않았었다. 두 번째 에피소드, 네 여자들이 돌아가면서 이적을 미치게 만들 때쯤에 윤곽을 잡았다. 정하지 않은 채 러브라인이 어떻게 흘러갈지 두고 보자고 한 거다. 시작부터 설정하고 들어가는 러브라인도 있는데 화학작용이 부족하면 다른 사람과 붙여보기도 한다. 이를테면 <거침없이 하이킥!> 때의 윤-민 라인(정일우, 서민정)도 처음에는 없던 라인이었다. 기획서에는 대략 두 달 분량의 러브라인까지만 나와 있다. 그 뒤는 작가들과 나의 감각에 따른다. 그리고 그 화학작용은 현장에 있는 우리들이 가장 정확하게 느낀다.

그러니까 이적도 마찬가지였다. 하선 또는 지원과 엮이지 않을 건 분명하지만(물론 가능성이 제로는 아니다), 수정 캐릭터에 대해서도 따로 생각한 게 없었으니까. 진희와 될지 수정과 될지는 우리도 몰랐던 거다.”

- 세경과 진희의 차이

“<지붕킥>의 세경은 신분 중심의 사회 구조를 혁파할 생각이 없었다. 자신이 ‘죽기 살기로 사다리를 올라가도 또 다른 누군가가 그 밑에 있다’고 생각했으니까. 어찌 보면 순응적이고 허무주의적이다. 의도적인 것은 아닌데, 이어지는 작품에는 좀 더 역동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감각적으로 느낀 것인지도 모르겠다. 진희는 세경보다 훨씬 액티브하다. 스스로 사다리를 올라가려고도 하고 힘든 와중에도 어머니에게 꾸준히 돈을 보내지 않는가.

캐릭터로만 보자면 진희는 세경보다 정음과 비슷하다. 세경은 문명 자체를 많이 접해보지 못한 아이인데 반해 진희와 정음은 대학까지 나왔다. 다만 정음의 불행 중에는 스스로 자초한 것들이 많지만(과소비라든가) 진희는 자신의 탓도 아닌데 내내 힘들다. 그러다 보니 정음은 과소비와 관련한 코미디도 있었지만 진희는 즐거울 일이 별로 없고 처음부터 눈물이 많다.”



- 고영욱과 박하선

“초반부에 둘이 사귀는 것은 애초 시놉시스에도 있었다. 지석이 하선과 맺어지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었다. 고영욱을 섭외할 때도 ‘3개월만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는데 다만 그 내용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았다. 시청자들은 원하지 않는 방식인데, 좀 강제로 집행한 셈이다. 그렇게 안타까운 상황으로 몰아간 다음 지석과 하선을 맺어지게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러브라인에 굴곡을 준 셈으로, 만약 하선과 지석이 평이하게 맺어졌다면 시청자들도 별로 좋아하지 않았을 거다.

그 설정을 통해서는, 사랑하는 마음 없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맺어진 관계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관찰해 보고 싶었다. 하선의 ‘짧은 다리’는 거절을 못하고 모두와 친구가 되고 싶어 한다는 거다. 그래서 도시락을 싸서 고시원에 가는 등 노력은 엄청 하는데 노력만으로 과연 사랑 없는 관계가 지속될 수 있을까? 그걸 보고 싶었다.

고영욱의 프로포즈를 받은 에피소드에는, 하선이 침대에서 뒹굴며 괴로워하는 장면이 있다. 그런데 그 장면을 연기하는 도중 갑자기 배우 박하선이 울음을 터뜨렸다. 녹화를 중지하고 이유를 물어봤다. 뒷이야기가 어떻게 될지도 모르겠고 연기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답답했다고. 말하자면 연기자가 이입된 거다. ‘눈물이 나는데 어떻게 할까요?’라고 묻기에 ‘울어도 되고 안 울어도 된다. 미래를 알려주지는 않을 텐데, 현재 상황을 받아들이는 그대로 연기해 다오.’라고 이야기했다. 이렇게 정말 살아있는 것 같은 느낌이 시트콤만의 매력이기도 하다.”

- 박하선의 발견

“‘광견병’ 에피소드를 해내는 순간 하선에게 이야기했다. ‘지금부터 너는 자신 있다.’고 어떻게 하면 시청자들에게 귀엽게 보일지 딱 알겠더라. 그리고 그때부터는 일사천리였다. 어떤 대사를 잘 하고, 어떤 표정을 지으면 돋보이는지 알게 된 거다. 그래서 어떤 면에서는 <하이킥3>가 갖는 임팩트보다 박하선의 임팩트가 더 커졌다.

20회 무렵에 하선을 발견했다면, 80회 이후에 수정을 발견했다. 시트콤을 만들다 보면 연출가와 배우의 현장 소통과정에서 꽤 많은 것들이 극에 반영된다. 배우가 ‘저 이런 거 잘해요.’라고 말해서 나중에 써먹어야겠다고 생각하는 건 직접적인 것들이고, 평소에 무심코 나눈 대화나 행동들을 통해 길을 찾는 경우도 많다. 그게 80회 무렵의 수정과 승윤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수정이에게 안티가 많았다가 ‘피아노맨’ 에피소드 이후로는 거의 하선을 따라잡았다. 그때도 수정에게 말했다. ‘이제 정말 잘 만들어보마.’고. 그리고 이후로 수정 캐릭터가 엄청 멋있어졌다. 그렇게 딱 꽂힐 때가 있다.”
(김병욱 PD와의 인터뷰는 2편으로 계속 됩니다)


인터뷰•글 조민준 칼럼니스트 zilch92@gmail.com
사진 전성환, 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