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뢰 추락한 JYP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것

[엔터미디어=정덕현의 이슈공감] 이대로 가다간 국내 3대 기획사의 하나로 지칭하기도 어려울 것 같다. 최근 MBC <뉴스데스크>로 불거진 JYP 소속 아이돌 스타 캐릭터 상품 사업 논란은 작금의 JYP가 처한 위기 상황을 그대로 보여준다. 물론 JYP의 주장처럼 속사정을 전혀 몰랐을 수 있다. 그리고 손해를 영세 하청업체들이 떠안은 것은 계약서 상에 명시된 대로 판매수익에 따른 정당한 것이었을 게다. 따라서 이를 가지고 섣불리 ‘갑의 횡포’니 ‘을의 눈물’이니 말하는 건 합당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제 아무리 갑과 을의 관계라고 해도 사업이란 계약서에 도장을 찍는 순간 해당자의 책임이 아닌가.

하지만 다른 회사도 아니고 JYP다. 국내 3대 기획사로 손꼽히고 해당 연예인들은 이름만 들으면 누구나 아는 히트곡을 갖고 있는 가수들이다. 물론 최근 들어 가요계의 흐름이 아이돌 그룹에서 솔로 아티스트로 바뀌면서 예전만큼 주목을 받지 못하는 건 사실이다. 신곡을 발표했던 2AM도 과거만큼 화제를 불러일으키지 못했고, 한때 닉쿤의 음주운전으로 최근 활동을 재개한 2PM은 도쿄돔 사진 조작 논란으로 한바탕 홍역을 치르기도 했다. 한때 국민적인 반향까지 만들었던 원더걸스는 미국 활동을 접고 국내로 복귀했으며, 미쓰에이의 수지가 영화, 드라마, CF에서 종횡무진 활약하고 있지만 음악적인 그룹 활동은 잘 보이지 않는다. 항간에 ‘JYP를 수지가 먹여 살린다’는 얘기가 나돌만한 상황이다.

하지만 그래도 JYP인데 그것도 대표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2PM의 의류앨범이 5천여 장을 찍었으나 겨우 140여 장이 팔렸다는 <뉴스데스크>의 보도 내용은 충격적이다. JYP의 이름을 믿고 투자한 영세 의류업체로서도 당혹스러운 일이었을 게다. 결국 계약서에 명시된 대로 판매수익만 계산해 460여만 원을 받은 해당업체는 재고 처리도 하지 못하고(2PM의 자존심이 걸린 문제가 아닌가) 1억여 원의 손해를 떠안게 되었다고 한다. <뉴스데스크>는 이뿐만이 아니라 JYP의 또 다른 캐릭터 상품을 만든 업체들(티셔츠, 캐릭터 칫솔)도 각각 1억여 원, 2천만 원이 넘는 손실을 입었다고 보도했다. 하청에 재하청을 받은 업체까지 줄줄이 경영난을 겪게 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일련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여전히 JYP는 국내 기획사들 중에서 갑일 것이다. 수많은 을들이 달라붙어 사업을 꾀하려한다는 사실이 이를 말해준다. 하지만 적어도 이번 논란을 통해 드러난 것은 생각만큼 갑으로서의 위력을 발휘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일련의 무리한 투자가 가져온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2009년 JYP USA로 시작해 2011년 말에 JYP크리에이티브로 본격적인 도전에 나섰던 미국진출은 상당한 적자를 기록하며 결국 문을 닫았다. JYP크리에이티브는 2012년에만 17억 8천만 원의 적자를 냈고, JYP USA는 지난 3년간 무려 103억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한다.

이것보다는 소소하지만 그래도 약 11억 원을 투자해 설립한 JYP푸드도 2012년 한 해 14억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고, 그 와중에도 영화 진출을 위해 설립한 JYP픽처스를 설립했지만 역시 지난해 7월 자신이 주연을 맡은 영화 <500만 불의 사나이>는 초라한 성적을 거두며 막을 내렸다. JYP가 이런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 것은 겉으로 보기엔 여전히 3대 기획사라는 갑으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실상은 무리한 투자로 손실이 누적되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익이야 언제든 새로운 기회를 통해 벌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문제는 JYP에 계속해서 불거져온 논란으로 기업 이미지와 신뢰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 비의 미국진출에서 생겨났던 수많은 잡음을 비롯해서, 박진영에게 계속 불거져 나온 표절 논란(결국 ‘썸데이’는 표절소송에서 박진영의 패소로 끝나버렸다), 무엇보다 미국진출이나 영화 진출 혹은 푸드 사업 진출 등의 거듭된 실패가 가져온 부정적인 기업 이미지는 상장사인 JYP엔터로서는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이번 <뉴스데스크> 보도를 통해 불거진 캐릭터 상품 사업 논란의 대상이 된 2PM은 JYP엔터테인먼트의 상장사인 JYP엔터가 아니라 비상장사인 JYP 소속이다. 따라서 이번 문제로 JYP엔터의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는 것은 억울한 일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 논란이 최근 남양유업 사태를 통해 생겨난 이른바 ‘갑을 정서’에서 불통이 튀었다는 점을 두고 볼 때 무관하다 할 수도 없다. 사실상 같은 JYP에 대한 정서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논란을 그저 일회적인 소소한 해프닝이라고 바라보기는 어렵다. 거기에는 그간 JYP가 겪은 일련의 논란과 추락의 과정들을 지켜봐온 대중 정서가 들어가 있다.

따라서 JYP는 이제 좀 더 행보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사업 확장이 문제가 아니라 내실을 다져야 할 때이며, 일련의 논란들이 야기한 JYP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일소할 수 있는 새로운 기업 이미지 창출이 절실한 상황이다. 국내 3대 기획사로서 JYP가 대중문화에 해온 일은 결코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대중들과의 신뢰 구축과 함께 좀 더 민첩한 위기관리 능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