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야외촬영 없어도 긴박감 넘치는 이유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시멘트 가루 맛보던 혓바닥이 돈 맛을 보고 나니까 세상천지가 다 돈으로 보여. 회사도 공장도 사람도 저놈 저거 얼마짜리다. 저건 얼마짜리다. 한성제철이 네 손에 들어가 있으면 서윤이하고 싸우겠지. 너도 서윤이도 시멘트가루 맛은 본 적이 없고 돈 맛만 아니까. 10년 20년 결국 너도 내 나이가 될 거다. 민재야 지금 내가 느끼는 마음 너 안 느끼게 하고 싶어. 애비 마음이 그래.”

성진그룹을 형 최동성 회장(박근형)과 함께 일궈낸 최동진(정한용)이 아들 최민재(손현주)에게 던지는 이 대사는 <황금의 제국>이라는 드라마의 핵심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자본론>으로 얘기하면 사용가치가 교환가치로 바뀌는 지점에서부터 생겨나고 폭주하는 자본의 생리를 최동진은 몇 마디 대사로 툭 던져놓고 있다. 게다가 이것은 우리네 현대사를 관통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80평짜리 시멘트 공장으로 시작했다. 시멘트가 한 포대 나올 때마다 거 신기하고 내가 만들었다 생각하니까 자식 같고 어떤 날은 찍어서 시멘트 가루 맛도 봤어. 근데 아파트가 무너지고 어쩌다가 청마건설을 인수했어. 땀 한 방울 안 흘리고 성진시멘트보다 몇 배나 더 큰 회사가 우리 손에 들어왔지. 그 때부터 돈으로 회사를 샀고 형님하고 싸우고 내 인생의 반 토막은 드러내고 싶어.”

개발시대를 거쳐 90년대 IMF 겪으며 돈이 돈을 먹는 자본의 시대로 접어드는 과정을 <황금의 제국>은 당대의 인물을 표상하는 캐릭터들로 보여준다. 흥미로운 건 이것이 온전히 최동성 회장의 집안에서 벌어지는 일로 상징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이 집안에서 벌어지는 형제들 간의 암투와 대결이 우리네 현대사를 관통하듯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것은 그래서 마치 왕조사극의 현대판을 보는 듯하다. 왕조사극이 왕과 신하들 사이에 벌어지는 대결구도를 통해서 당대의 역사적인 변화를 포착해내듯이, <황금의 제국>은 최동성 회장이라는 제국의 가족사를 통해 당대의 경제사를 그려낸다. “저는 왕건이 될 겁니다.”라며 궁예(최동성 회장을 빗대어)의 이름을 지워버리겠다고 선언하는 최민재의 말은 이 드라마가 상당 부분 왕조사극의 구성을 끌어오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놀라운 건 그래서 이 드라마는 거의 야외촬영이 없다는 점이다. 대부분이 최동성 회장의 집안에서 인물들끼리 이합집산하며 부딪치는 장면들이고, 가끔 성진그룹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서윤(이요원)의 모습과 장태주(고수)가 이끄는 에덴에서 윤설희(장신영)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있을 뿐이다. 최동성 회장의 장례를 사회장으로 할 것인가 가족장으로 할 것인가를 놓고 가족이 대결을 벌이는 9회는 거의 70%를 최동성 회장의 집안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드라마는 정적인 느낌을 주기보다는 긴박감 넘치는 역동감을 선사한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이 집안에 있는 모든 인물들이 저마다의 욕망이 확실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일종의 서바이벌 게임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황금의 제국>의 전제는 이 집안이 최동성 회장이 그랬던 것처럼 저녁 식사 시간에 말 한 마디로 계열사의 주인이 바뀌기도 하는 곳이라는 점이다. 그러니 수 조 원이 움직이는(그래서 우리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업이 이 가족 구성원들의 말 한 마디, 누가 승리하고 누가 패배했는가 하는 결과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 보다 흥미진진한 게임이 있을까.



하지만 이 드라마가 더욱 가치 있게 여겨지는 건 이것이 단순히 가족 내 서바이벌에 머무르지 않고 우리네 현대사를 관통하면서 거기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던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동성 회장의 죽음에 이어 벌어진 가족 내의 대결은 그래서 이 모든 욕망들이 허망하다는 것을 에둘러 말해준다. 그가 죽자 그의 아내가 본색을 드러냈고 자식들은 고인을 애도하기보다는 일제히 자기 몫을 챙기려 안간힘을 쓴다. 고인의 영정 앞에 모여 눈물을 흘리는 가족들은 그래서 섬뜩함마저 느끼게 만든다.

워낙 국민적인 반향을 일으켰던 박경수 작가의 전작인 <추적자>와 비교해 <황금의 제국>은 그 성취가 낮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하지만 <추적자>가 우리 사회의 정의의 문제를 끄집어내기 위해 한 개인의 고군분투를 다뤘다면, <황금의 제국>은 그 개인의 고통이 어디서부터 비롯되고 있는가를 시대를 거쳐 그 시스템이 완성된 뿌리에서부터 들춰보고 있는 중이다. 도대체 이런 시도를 할 수 있는 작가가 몇이나 될 것인가. <황금의 제국>의 도발은 그래서 충격적이기까지 하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