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가정부’ 최지우 과연 언제쯤 수상해질까

[엔터미디어=소설가 박진규의 옆구리tv] 얼마 전 집안행사에 사촌들이나 친척 어르신들, 혹은 오랜만에 만난 지인들에게 많이 들었던 질문이 하나 있었다. 그건 결혼은 언제 하느냐, 라거나 소설가란 직업 가지고 밥은 먹니, 같은 으레 나오는 질문들과 맥이 달랐다.

“혹시 <수상한 가정부>란 드라마가 너와 상관이 있니?”
그 질문을 들으면 <직장의 신>의 미스 김처럼 딱딱한 어조로 대답할 수밖에 없었다.
“그건 제 드라마가 아닙니다만.”

하지만 그런 질문을 자주 듣는 까닭도 대략 이해는 갔다. 비록 8년이나 지났지만 필자가 소설가로 등단하며 발표했던 장편소설이 <수상한 식모들>이었고 드라마 <수상한 가정부>와 제목이 좀 비슷하긴 했다. 수상한 가사도우미의 등장이 복수냐 단수냐의 차이일 뿐이긴 했으니까 말이다. 혹시 저작권료를 받았느냐는 좀 더 심도 있는 질문을 던지는 분들께는 <수상한 가정부>의 원작은 소설 <수상한 식모들>이 아니라 일드 <가정부 미타>라는 친절한 설명을 덧붙였다.

상황이 이러하니 내 작품과 관련은 없어도 방영 전부터 <수상한 가정부>란 드라마에 유달리 관심이 가면서도 기분은 좀 복잡했다. 드라마가 잘 될까, 잘 되면 이거 인간이란 것이 워낙 구차한 면이 있기에 아랫배가 살살 아프고 막 이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혹은 <수상한 가정부>에 대해 쓴소리를 하면 괜히 심술나고 중뿔난 소설가가 다 된 드라마에 재뿌리는 것처럼 보이는 건 아닐까 걱정도 됐다.

하지만 복잡한 마음과 달리 막상 드라마가 시작되자 <수상한 가정부>에 대한 애정 아닌 애정이 제법 있었던지 무엇보다 아쉬운 마음이 먼저 들었다. 우선 원작 <가정부 미타>에서 <가정부 박복녀>란 제목 대신 <수상한 가정부>란 제목을 쓴 만큼, ‘수상함’에 방점이 찍혀야 할 텐데 어째 그렇지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수상한 가정부>는 원작에 등장한 장면들과 대사들이 너무나 똑같다. 화면의 구도와 가정부 박복녀의 옷차림은 물론이고 종종 대사 역시 일본어의 대사들이 그 톤 그대로 번역되어 쓰이는 것 같다.



또한 일드 <가정부 미타>를 미리 본 시청자가 아니더라도 가정부 박복녀의 모습에 기시감을 느끼는 대중들도 많을 것 같다. 올해에만 <직장의 신>, <여왕의 교실>에 이어 살아 있는 감정은 없고 자신의 업무에만 충실한 로봇 같은 여성캐릭터가 벌써 세 번째다. 똑같은 타입의 일제 수입판 1호기, 2호기, 3호기 여성로봇이 등장하는 드라마를 보고 있는 기분이다.

하지만 올해 방영된 <직장의 신>과 <여왕의 교실>은 나름 가치가 있는 리메이크였다는 생각이 든 드라마들이었다. 두 드라마의 배경인 직장과 학교는 비인간적인 측면이 도드라지는 환경이다. 한국이나 일본이나 이 부분은 두 나라가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 같다. 두 여주인공의 캐릭터 역시 그런 환경의 부조리한 모습을 잘 드러내주는 감정 없는 로봇형 인간인지라 공감이 갔다.

물론 두 작품의 국내작가들은 한국의 현실에 맞게 상황을 다듬고 주인공의 캐릭터 역시 각색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래서 <직장의 신>의 미스 김이나 <여왕의 교실>의 마여진 선생은 그 특유의 로봇 성격에도 불구하고 이질감이 적었다. 만능 비정규직 미스 김은 코믹하면서 사랑스러워졌고 냉혹한 마녀 마여진 선생은 우직하면서 그래도 약간의 인간미를 엿볼 수 있는 모습으로 바뀌었다.



그런 면에서 <수상한 가정부>의 박복녀는 많이 아쉬운 캐릭터다. 무엇보다 배우 최지우와 가정부 박복녀라는 인물이 꽤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영화 <박봉곤 가출사건>에서 식칼을 든 무표정한 정육점 여인으로 데뷔한 최지우는 이 드라마에서도 무표정하고 창백한 모습이 상당히 잘 어울린다. 어딘지 60년대 가사도우미 한국영화의 걸작 김기영 감독의 흑백영화 <하녀> 속 식모처럼 스산하고 묘한 분위기가 풍긴다. 감정을 실을 때면 종종 뭉개지던 그녀의 발음도 이 드라마의 감정 없는 대사처리 때문인지 오히려 정확하고 의미 있게 들리곤 한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다. <가정부 미타>와 똑같은 모자와 똑같은 패딩코트 똑같은 가방을 든 박복녀의 존재감은. <수상한 가정부>의 제작진은 박복녀에 미타의 옷을 입혀주기 바쁠 뿐 박복녀를 박복녀로 만드는 수상한 장치에는 아직까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눈치다.

<가정부 미타>의 원작과 다른 장면들 역시 만족스럽지가 않다. 이 두 부분이 하나로 어우러져야 성공한 리메이크일 텐데 현재는 두 장면이 따로 움직이는 기색이 역력하다. 원작에 충실한 부분은 우리나라와는 감정선이 미묘하게 다른 일드 특유의 인물 성격까지 너무나 그대로라 불편한 감정까지 든다. 반대로 그렇지 않은 장면들은 그 동안 아침드라마 등등에서 흔히 보아왔던 익숙한 장면들이 대부분이다. 그 둘이 충돌하면서 <수상한 가정부>는 흐름은 빠르지만 종종 장면과 장면의 연결이 자주 삐걱거린다.

그런 까닭에 <수상한 가정부>의 초반부는 리메이크라는 타이틀과 상관없이 기존 드라마들의 식상하고 불균형한 조합일 뿐 아직까지 시청자들의 눈길을 끄는 수상함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어쩌면 드라마 <수상한 가정부>에 대한 칼럼을 <수상한 식모들>의 소설가가 쓰고 있다는 상황이 가장 황당하고도 수상한지도 모르겠다.

칼럼니스트 박진규 pillgoo9@gmail.com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