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얼굴의 가요계 ‘재해석’, 올바른 조건은?

[엔터미디어=노준영의 오드아이] 지난 몇 주 동안 가요계는 그야말로 ‘재해석’이라는 단어 하나에 몸살을 앓았다. 기쁨에 겨운 몸짓도 있었고, 땅을 쳐야 하는 안타까움의 몸부림도 있었다. 모두 재해석이라는 말로 정리 할 수 있지만 말이다. 재해석의 사전적 의미는 ‘옛것을 새로운 관점에서 다시 해석함’ 이라는 뜻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새로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해석하지 못하면 재해석이라는 의미가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재해석으로 비롯된 열풍과 사건은 새로운 모습으로 만들어 낸 것, 그리고 그러지 못한 것에 의해 희비가 엇갈렸다.

먼저 긍정적 결과를 얻은 건 성시경과 B1A4다. 이 범주에 <응답하라 1994>까지 넣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사실 <응답하라 1994>는 추억을 논하는 드라마다. 소재부터 시작해 배경과 사건들이 모두 친숙한 이야기들이고, 그러다 보니 당연히 그 시절의 음악들을 O.S.T로 사용하게 되었다. 중요한 건 재해석이 가미되었다는 것이다. 서태지와 아이들 최초 리메이크 곡인 ‘너에게’는 성시경만의 스타일로 다시 만들어졌다. 원곡의 색깔을 최대한 살리는 선에서 발라드 왕자로 불리는 그의 느낌이 가미됐다. 그는 스스로 원곡보다 더 좋은 리메이크는 보통 있을 수 없고 팬으로서 노래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작업에 참여했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낮은 자세로 임하는 마인드 때문에 그런지 편안한 색깔이 가득한 ‘너에게’가 만들어졌고, <무한도전> 가요제 음원이 위세를 떨치는 와중에도 홀로 최상위권에서 경쟁을 벌이며 선방을 거듭했다.

같은 드라마의 O.S.T에 참여한 B1A4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더 블루로 뭉쳤던 손지창과 김민종이 함께 불러 큰 인기를 얻었던 ‘그대와 함께’를 재해석했다. 원곡에 일렉트로닉 장르를 결합해 B1A4의 정체성을 만들어 넣었다. 자신들이 주력하고 있는 장르에 대한 손길은 잊지 않았고, 그렇다고 해서 원곡의 느낌을 크게 훼손하지도 않았다. 인상적인 재해석의 방법론이다. 사실 <응답하라 1994>라는 드라마 자체가 이런 모습이다. 과거의 이야기들을 현재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콘텐츠라고 할 수 있지만, 과거의 느낌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도 아니고 현재의 시선으로 모든 걸 말하는 것도 아니다. 추억이 살아 숨 쉬는 곳에 현재가 존재한다. 과거의 소재들에 대한 느낌 있는 재해석이 있기 때문에 인기를 모을 수밖에 없는 드라마다. 아마도 그 드라마에 그 O.S.T 라는 표현이 적절할 듯 하다.



물론 부정적 결과를 가져온 재해석도 있다. 최근 가요계를 시끄럽게 만들었던 표절 논쟁이 바로 그것이다. 표절 논쟁은 늘 존재해 왔지만, 인터넷이 발달한 요즘은 비교 영상까지 제작되며 대중들의 판단 근거가 좀 더 명확해진 느낌이다. 그래서 이슈화가 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는 정도로 커지기도 한다. 게다가 이번에는 원작자와 전문가까지 의견을 내놓은 상태다. 피해갈래야 피해 갈 수 없는 논란의 여지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사실 표절 문제의 근원도 재해석에 있다. 결과론적인 측면에서 짚어보면 창작도 공부다. 잘된 작품들을 직접 경험하고 지식을 얻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방향으로 만들어 내는 게 창작의 기본이다. 마치 논문을 쓰는 과정과도 같을 것이다. 선행 연구를 참고해서 나만의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 결론적으로는 나만의 이야기를 다시 세우는 재해석 아니겠는가? 하지만 이 과정에서 스스로를 지워버리면 표절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어디까지나 ‘공부’의 측면으로 접근해야지 얼른 찍어내겠다는 ‘공장’의 마인드로 접근하면 본질을 흐리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좀 더 정확하고 냉철한 판단력과 이성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가요계는 이런 기준에 지나치게 둔감한 측면이 있다.



이런 재해석의 문제는 업계의 고질적 병폐에서 기인한다. 가요계는 늘 몰아주기가 심하다. 잘 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에게 모든 게 집중된다. 잘 나가는 사람이 있으면 일감이 몰린다. 물론 잘 나가는 사람에게 맡겨 잘 되고 싶은 건 당연한 마음이겠지만, 새로운 인물을 발굴하고 콘텐츠를 분산시키는 것에 있어서 큰 약점을 가지는 곳이 바로 가요계다. 그러다 보니 신선한 능력을 지닌 뉴페이스를 만나기가 어렵고, 소위 대세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지나치게 많은 작품들을 만들어 내게 된다. 편중 현상은 피로를 부르게 마련이다. 생각할 시간, 재충전의 시간, 기획할 시간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런 여유는 거의 생기지 않는 것이다. 이런 여건에서 올바른 재해석이 탄생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봐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응답하라 1994>를 다시 생각해 보면 좀 더 명확해 진다. 이 드라마는 전작이 방영된 후에 상당한 시간을 가졌고, 그 사이 방향성과 O.S.T 부분에 대해 충분한 고민이 이뤄졌을 것이다. 전작의 히트에 편승해서 서둘렀다면 아마 이런 결과를 내긴 어렵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도 든다. 그만큼 여유도 존재했기에 O.S.T의 재해석 그리고 아티스트 섭외도 활발히 이뤄졌을 것이며, 편곡 느낌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이 오갔을 것이다. 속도전이 필요한 이 시점에 가장 필요한 건 한 박자 쉬어가는 여유였는지도 모른다.

재해석도 충분한 고민 끝에 나오는 것이다. 어쩌면 재해석으로 이뤄지는 칭찬과 비난의 화살은 그것으로 끝날 게 아니라 이 문제를 고칠 수 있는 방안들을 고민해 보라는 채찍과도 같은 것이다. 대중문화는 재생산 되는 콘텐츠다. 이 속에서 가장 좋은 방향성을 만들어 내는 건 생산자의 숙명과도 같은 것이다. 이 숙명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선 끊임없이 생각해야 한다. 단, 한 쪽으로 쏠리지 않는 다는 것을 전제로 말이다. 우린 바쁜 세상에 살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모두가 소비하는 대중문화 콘텐츠까지 ‘바빠’ 져서는 안 된다.

칼럼니스트 노준영 nohy@naver.com

[사진=CJ E&M, 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