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명탐정’ 명콤비 김명민·오달수가 만든 해학

[엔터미디어=이만수 기자] 사실 김명민이라는 배우에게서 느껴지는 건 무게감이다. 그가 해온 일련의 작품들에서의 면면이 무거운 캐릭터들이었기 때문이다. 드라마에서 기억에 남는 그의 역할들은 <불멸의 이순신>의 고뇌하는 이순신 역이나 <하얀거탑>의 장준혁,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나 <개과천선>의 김석주 같은 자못 진지한 고민에 빠진 인물들이었다. 영화도 마찬가지다. <소름>의 용현이나 <내 사랑 내 곁에>의 루게릭병을 앓는 종우, <페이스메이커>의 주만호, <연가시>의 재혁이 그렇다.

그런 그에게 <조선명탐정>이란 작품은 그래서 어쩐지 이질적으로 다가온다. 작품의 인물에 몰입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살을 빼는 건 기본인 그에게 코미디라니. 하지만 이건 코미디에 대한 일종의 편견에서 생겨나는 일이다. <조선명탐정>이라는 작품을 보면 김명민이라는 배우의 또 다른 결을 느낄 수 있다. 그가 꽤 괜찮은 코미디 연기를 해내고 있다는 것은 이 영화 속에 등장하는 김민이라는 조선명탐정이 이제 점점 김명민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인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호기심 가득한 눈망울을 끔뻑끔뻑하면서 짐짓 여자 앞에서는 폼을 잡고 과장되게 말하는 그 모습은 이 캐릭터가 그냥 생겨난 게 아니라 김명민의 계산 아래 만들어진 듯한 느낌을 준다. 부채를 들고 휘두르는 모습은 짐짓 액션 배우의 폼을 만들지만 사실 이 캐릭터가 가장 잘 하는 건 삼십육계 줄행랑이다. 그래서 유독 도망치는 장면이 많은 이 영화에서는 그 특징을 몸에 달린 카메라로 포착해 그 자체만으로도 웃음을 만든다. 양반이 체통 따위는 던져버리고 달리는 모습이나 기묘하게 비틀린 콧수염조차 김명민은 웃음으로 만들어낸다.

연기 잘 하는 김명민 옆에 감초 연기의 달인 오달수가 붙으니 금상첨화다. 양반과 상놈이라는 신분적 차이는 두 사람이 주고받는 이야기를 마치 <개그콘서트>의 한 장면처럼 만들어내고, 가끔씩 이 신분을 뒤집는 상황은 반전의 웃음을 만든다. 마치 잘 맞는 만담 콤비처럼 김명민이 던지면 오달수가 받는 이 해학 가득한 대사의 맛은 정확하게 어디가 웃음의 포인트인가를 잘 짚어낸다.



<조선명탐정>이 하나의 일회적인 기획성 아이템이 아니라 몇 년마다 다시 돌아올 수 있는 하나의 시리즈물의 가능성을 보이는 건 김명민과 오달수가 확고하게 연기를 통해 구축해놓은 캐릭터 때문이다. 명탐정 김민과 그의 조수 서필은 그래서 마치 셜록 홈즈와 왓슨처럼 우리식의 탐정물에 대표적인 캐릭터가 될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하다.

<조선명탐정>은 하나의 비빔밥 같은 장르의 혼재가 흥미로움을 주는 작품이다. 코미디가 바탕이 되지만 그 위에 액션과 추리가 덧붙여지고 여기에 우리 식의 콘텐츠에서 빠질 수 없는 드라마가 들어가 있다. 사극 특유의 서민 정서는 지금 현재 대중들의 현실 인식을 일정부분 반영해낸다. 이번 ‘사라진 놉의 딸’ 편에서도 노비라는 상황이 마치 인간 취급 받지 못하고 살아가는 을들의 비애를 정서적으로 끌어안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사실 명절에 딱 어울리는 건 아무래도 심각한 영화보다는 가볍게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팝콘 무비가 아닐까. 그러니 그저 시종일관 웃음이 터지고 끝날 때 즈음해서는 마음 한 구석을 훈훈하게 만드는 정도라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을 게다. 그런 점에서 <조선명탐정>은 명절에 딱 어울리는 시리즈물이다. 거기에 김명민과 오달수라는 명배우들의 콤비가 보여주는 연기는 코믹에도 명품이 있다는 걸 확인시켜준다.

이만수 기자 leems@entermedia.co.kr

[사진=영화 <조선명탐정:사라진 놉의 딸>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