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를 향한 조롱, 장동민 논란이 중대한 까닭

[엔터미디어=이만수 기자] 왜 장동민은 자숙을 결정하지 않는 걸까. 과거에 했던 잘못이라고 해도 지금 터져 나온 사안이라면 응당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현명한 대처방법이다. 김구라의 경우를 생각해보라. 그는 최고의 위치에 있을 때 터져버린 인터넷 방송 시절의 막말이 문제가 되어 모든 프로그램에서 하차하고 자숙의 시간을 가졌다.

하지만 장동민은 다르다. 그는 <무한도전> 식스맨 후보에서 하차하고 모든 방송을 강행했다. 결국 삼풍백화점 피해자에게 모욕을 주는 발언으로 피소당하면서 KBS 라디오가 그를 하차시켰지만 그는 여전히 다른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묵묵부답이다. 삼풍백화점 피해자에게 사죄의 손 편지를 써서 전달해주려 했다고 하지만 그것과 프로그램 강행과는 또 다른 이야기다.

프로그램을 강행하는가 아니면 하차하는가의 문제는 대중들과의 문제다. 이미 장동민에 대한 불편한 감정들이 생겨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것은 어떤 식으로든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를 불편하게 만들 수밖에 없다. 즉 피해자에게 사죄의 손 편지를 전해준다고 해서 이 불편함이 사라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장동민의 문제가 그대로 넘어가기 힘든 건 그가 그리 멀지도 않은 2013년 팟 캐스트를 통해 했던 일련의 발언들이 개그의 차원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무개념이었기 때문이다. 그것이 웃음의 새로운 코드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지만, 만일 그런 게 웃음이라면 안 웃는 편이 낫다. 한 사람을 공격하거나 모욕을 줘 백 명을 웃길 수 있다고 그 웃음을 허용할 수 있을까. 그것은 집단적 파시즘이나 왕따 문제와 다를 바 없는 폭력적인 일이다. 따라서 그것은 하나의 웃음의 문화로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일이다.

게다가 그 한 사람이 여성, 사고 피해자 같은 사회적 약자라는 점은 사안을 더 심각하게 보게 만든다. 이런 일이 용인되는 사회라면 그 사회에 미래가 있을 수 없다. 이미 학교문제나 일베 같은 현상으로 번지고 있는 이 기괴한 웃음의 문화가 존재한다면 이참에 확실한 선을 긋고 가는 게 옳은 일이다.

방송사나 이미 장동민이 투입된 프로그램 제작자들에게 이 문제는 곤혹스럽다. 그것은 장동민이 그만큼 프로그램 안에서의 독보적인 존재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그가 빠져나가거나 하차하게 되면 그것은 그대로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지금 현재 최고의 주가를 올리며 지상파와 케이블, 종편에 두루 프로그램의 영역을 넓혀놓은 상황이기 때문에 한 프로그램에서의 하차는 연쇄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마불사(大馬不死)의 모양새가 되어 예능 전체에 미칠 영향 때문에 쉬쉬 넘어가려는 흐름이 생기는 것이다.



하지만 이를 강행하는 것은 장동민 당사자에게나 또 그가 출연하는 프로그램에게나 모두 부담이 되는 일이다. 이번에는 삼풍백화점 문제가 터졌지만 언제 또 다른 과거의 발언이 튀어나올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마치 언제 터질지 알 수 없는 시한폭탄 같은 입장에 처하게 된 것. 이럴 바에는 차라리 모든 걸 터트리고 가는 게 현명한 방법이다. 그것이 향후 장동민의 새로운 시작을 가능하게 해주는 유일한 길이 될 테니 말이다.

사실 이번 문제는 장동민에게서 촉발되었지만 지금껏 수위가 거의 한계치에 이른 막말 문화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는 사안이다. 개그는 때로는 예의 같은 격을 파해야 웃음의 코드가 만들어지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어떤 넘지 말아야할 선을 지킬 때다. 웃기기 위해서 때리고 맞는 동작을 할 수 있지만 맞는 사람이 피를 흘리게 되면 그것은 웃음이 될 수 없다. 그러니 약자를 향해 막말을 던지고 그것을 웃음의 코드로 가져가는 문화는 차제에 사라져야할 일이다.

장동민은 하차가 답이다. 그리고 잠시 동안의 자숙기간을 가져야 한다. 그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면 실로 무서운 여파가 밀려올지도 모른다. 주목받기 위해 어떤 것이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은 얼마나 위험한가. 또 일단 던져놓고 나중에 문제가 생기면 그 때 사과하고 넘어가면 된다는 생각은 또 얼마나 안일한가. 사과하고 응분의 책임을 지고 난 이에게 또 한 번의 기회를 주는 건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그것도 그만한 과정을 거쳐야 가능한 일이다. 자숙과 하차에도 골든타임이 있기 마련이다.

이만수 기자 leems@entermedia.co.kr

[사진=JTBC, 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