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준의 눈물, 왜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을까

[엔터미디어=이만수의 누가 뭐래도] 유승준이 인터넷 방송을 통해 심경고백과 해명을 하기 전까지만 해도 그에 대한 어느 정도의 동정론도 있었다. 그 정도 입국 거부를 당했으니 이제는 그것만이라도 풀어주자는 목소리가 그나마 존재했었다는 것. 하지만 두 차례에 걸친 해명 방송을 하면서 이런 동정론 자체가 사라져가고 있다. 심지어 유승준 관련 사안에 대해 대중들은 피로감마저 느끼는 눈치다. 이제 그만 했으면 한다는 거다.

유승준이 해명 방송을 할 때마다 병무청은 그의 주장에 대해 하나하나 논박하며 그의 입국이나 뒤늦은 군복무에 대한 이야기는 일고의 가치도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이것은 감정적인 것이라기보다는 병무청이 유승준을 바라보는 일관된 시각을 말해준다. 병무청은 유승준을 ‘문제 있는 외국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시각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병무청의 시각은 대중들의 정서와 거의 일치한다. 13년이라는 기간을 유승준은 일종의 ‘유배기간’으로 바라보고 ‘시효’ 운운하지만 대중들은 시큰둥해 한다. 그것은 13년이라는 기간이 중요한 게 아니라 그 기간 동안 유승준이 자신의 선택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었으며 또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해왔는가가 더 중요하다.

하지만 유승준은 이 기간 동안 한 일이 별로 없다. 이처럼 한국 국적을 회복하려는 마음이 간절했다면 해외에서라도 한국을 위한 일들을 해올 수도 있었다. 만일 그런 행동들이 먼저 지난 13년 간 꾸준히 있었다면 그를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선이 이처럼 냉랭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게 13년을 훌쩍 보내고 나서 이제 병역법에 의해 군 복무를 더 이상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돼서야 비로소 지금이라도 군대에 가겠다고 주장하는 건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는 지난해 군대에 가기위해 한국측과 접촉을 시도했다고 밝혔지만 병무청은 그런 사실이 없다고 일축했다. 알고 보니 그가 접촉한 상대는 병무청 사람이 아니라 한 육군 소장과의 전화 통화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병무청도 대중들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육군 소장이 그의 입국 거부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위치에 있을까. 그가 진정 입대를 원했다면 병무청과 이야기하는 것이 상식적이다.

그의 입국에 대한 읍소의 이유는 대부분 가족이다. 아이들에게 떳떳한 아빠가 되기 위해 국적을 회복하고 싶다는 뜻을 눈물로 호소하고 있는 것. 하지만 이미 외국인이고 자식들도 외국인인 그가 왜 아빠 노릇을 하는데 한국 국적이 필요한지는 대중들로서는 납득이 가지 않는 일이다. 그러니 이런 읍소가 오히려 의혹을 낳고 갖가지 추측과 소문으로까지 번지게 되는 것이다. 아이들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다른 시각으로 보면 아이들을 입국 회복의 이유로 활용하는 듯한 느낌마저 준다.

이런 와중에 터진 방송 사고는 심증을 확증으로 바꿔 놓았다. 그잖아도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 터에 방송이 꺼진 줄 알고 튀어나온 대화 속의 욕설은 대중들의 시선을 더욱 싸늘하게 만들었다. 그것이 유승준이 아닌 제작진의 입에서 나온 것이라 하더라도 하나의 방송에서 튀어나는 것이란 사실은, 이 방송의 진정성을 훼손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사실 유승준에게 상황은 더 어려워졌다. 소통의 물꼬를 열기는커녕 병무청은 기존 입장에 아무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고, 대중들은 갈수록 시큰둥해하고 있다. 기존에 있었던 동정론도 점점 사라지고 있다. 그가 눈물을 흘리며 용서를 구하는 모습에 진정성을 못 느끼게 되는 것은 13년 세월 동안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은 그에게서 비롯되는 일이다. 눈물에 대한 호소도 그만한 쌓인 행동들이 있어야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일이다.

칼럼니스트 이만수 leems@entermedia.co.kr

[사진=아프리카TV]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