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상이몽’, 뭐 이렇게 눈물 나는 예능이 다 있지

[엔터미디어=정덕현] 가장 하고 싶은 일이 ‘눈꽃열차’를 타는 거라고 말하는 엄마는 강원도가 미지의 세계라고 하셨다. 광주에 살면서 고작 강원도를 미지의 세계라고 하게 된 이유는 이런 여행조차 갈 시간을 낼 수 없기 때문. 엄마는 새벽부터 일어나 거의 뛰듯이 하루 종일 일 속에서 사셨다.

딸은 그런 엄마를 걱정했다. ‘눈꽃열차’를 좋아할 정도로 예쁜 걸 좋아하시던 엄마가 일 때문에 그런 감성조차 잊고 사시는 걸 걱정했다. 새벽에 녹초가 되어 쓰러진 엄마 대신 마치 우렁각시처럼 집안일을 해놓고 잠이든 딸은 아침에 일찍 일어날 수가 없었다.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이하 동상이몽)>가 들려준 이야기는 빠른 엄마와 느려터진 딸 사이의 갈등이었지만 거기에는 누구나 이해하고 공감하게 되는 두 사람의 입장이 있었다. 가족을 위해 일 분 일 초도 쉬지 않고 일하는 엄마와 그 엄마를 걱정하며 조금은 느리게 살았으면 하는 딸의 입장.

이 이야기가 감동적으로 다가온 것은 지금 우리네 보통 서민들의 삶을 그대로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하루하루를 쉬지 않고 달려야 되는 결코 쉽지 않은 현실 속에서 옆을 돌아보거나 뒤를 돌아볼 여유도 없이 살아가는 부모들의 노동. 그래서 몸이 아파도 자기 자신을 돌보지 않고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은 다름 아닌 우리네 서민들의 모습 그대로가 아닌가.

입만 열면 자식 걱정 가족 걱정이지만 정작 자기 걱정을 하지 않는 엄마가 그러나 딸은 걱정스러웠을 것이다.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해 부지런한 삶이 몸에 배어버린 엄마와 서로 부대끼며 살아가지만 그럼에도 그 엄마를 걱정해주는 건 역시 딸뿐이라는 이야기는 힘겨운 현실을 마주한 서민들의 삶이 그래도 어떻게 살아가게 되는지를 잘 말해준다. 결국 그 힘겨움을 넘어서게 해주는 것 역시 가족의 힘이라는 것.

그래서 여자의 몸으로 마트를 운영하며 정육 일을 하면서 몸에 익어버린 칼질에는 <생활의 달인>에서 느껴지곤 하는 그 삶의 신산함이 그대로 묻어난다. 놀라운 정육 기술에 관객들은 환호를 보내지만 그 달인이 되어버린 기술 이면에 그 엄마는 얼마나 많은 시간을 힘들게 노력하며 살았을까.



문이 닫힌다는 것을 누구도 상상하지 못하는 마트를 운영하는 엄마에게 여전히 눈꽃열차는 이루기 힘든 꿈처럼 다가온다. 예쁜 하이힐을 좋아하지만 그것보다는 뛰어다닐 수 있는 운동화를 신어야 되는 엄마의 현실이다. 그럼에도 그 엄마가 힘겨운 삶을 버티게 해주는 건 그 마음을 낡은 운동화와 예쁜 하이힐에 담은 그림을 선물해주는 딸이 있기 때문이다.

딸이 엄마에게 가장 바라는 건 “그냥 같이 할 수 있는 시간”이라고 했다. 이건 아마도 지금의 대다수 서민들이 바라는 것일 게다. 우리가 바라는 건 대단한 게 아니다. 그저 가족끼리라도 함께 조금의 여유를 갖고 살 수 있는 그런 여지. 강원도 ‘눈꽃열차’ 가는 소소한 일이 심지어 꿈이라고 말하지 않게 되는 그런 삶.

<동상이몽>은 때로는 짓궂은 편집으로 우리의 뒤통수를 치곤한다. 두 사람의 입장을 차례로 보여주는 과정에서 앞부분은 과도하게 편집되어 비난받는 상황을 만들어내기도 하고, 또 다른 입장을 보여줌으로써 그 비난을 뒤집어 감동으로 바꾸는 반전을 연출해낸다. 물론 때때로 이 편집은 과도해져서 불편한 ‘악마의 편집’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적어도 가족 간의 숨겨진 사랑과 소통이 전제되기만 한다면, 조금 과한 편집조차 수긍되지 않을까. ‘눈꽃열차’ 타는 게 꿈이라는 엄마와 그 엄마를 걱정하는 딸의 입장에 숨겨진 가족애가 모두 공감되었던 것처럼.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