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코미디를 살리기 위해 필요한 행보와 가능성

[엔터미디어=정덕현] 어째서 나이 들어가는 배우를 보는 느낌과 코미디언을 보는 느낌은 다를까. 이순재, 박근형, 최불암. 나이 든 노년의 배우들에게서 연륜은 나이테처럼 쌓여 연기에서도 더 깊은 맛을 준다. 하지만 우리의 기억 속에 지워져가는 코미디언들을 떠올려보라. 한때 우리를 그토록 웃게 만들었던 고 배삼룡 선생이나 고 서영춘 선생. 아니 그렇게 멀리 갈 것도 없이 한 때를 풍미했던 최양락, 김학래, 엄용수 같은 현역 방송활동을 하고 있는 코미디언들에게서도 배우들과는 달리 느껴지는 건 어떤 애잔함이다.

아마도 그건 직업적인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일 수 있다. 늘 밝게 웃으며 웃음을 주던 이들이 어느 날 나이 들어간다는 걸 확인하게 되는 데서 오는 애잔함. 하지만 그것뿐일까. 혹 배우를 보는 시선과 코미디언을 보는 시선이 다르고, 배우들이 가진 환경과 코미디언들의 그것이 다르기 때문은 아닐까. 이제 3회를 맞은 <부산 국제 코미디 페스티벌>에서 느껴지는 공기는 그런 것이었다. ‘부산바다 웃음바다’라는 캐츠 프레이즈에 걸맞게 다이내믹 부산의 이미지와 왁자지껄 한 바탕 유쾌한 웃음이 터져 나오는 이 페스티벌은 너무나 잘 어울린다. 하지만 그 이면에 이 행사를 이토록 세우려 노력하는 이들의 안간힘을 슬쩍 슬쩍 발견하게 될 때면 느껴지는 것이 저 애잔한 마음이다.

이 행사를 처음부터 기획하고 지금껏 이끌어온 김준호에게서 느껴지는 것도 그런 것이다. 방송에서 보면 영락없는 ‘살살이’ 캐릭터지만 행사장에서 본 그의 모습은 진지하기 이를 데 없었다. 3회를 거치며 규모가 커진 행사에 꽤 많아진 하객과 관계자들을 한 명 한 명 만나 담소를 나누었고, 우리네 코미디와 코미디언들이 제대로 설 수 있기 위해서 행사가 어떻게 자리 잡아야 하는가에 대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모습이었다. 그의 동분서주 속에는 왜곡되고 편향된 우리네 코미디의 현실 그리고 <부산 국제 코미디 페스티벌>이 앞으로 나가야할 길들이 담겨져 있었다.

우리네 코미디는 너무나 방송 중심으로 왜곡되어 있다. 코미디를 얘기하면 <개그콘서트>, <웃찾사>, <코미디 빅리그> 정도를 얘기하는 수준이다. 대학로를 중심으로 공연형 코미디가 없는 건 아니지만 그건 이 방송 코미디와 그다지 다르다고 말하기 어렵다. 공연형 코미디가 없고 방송형 코미디만 남아 있다는 건 코미디의 저변이 약하다는 얘기다. 해외의 코미디가 페스티벌 현장은 물론이고 거리에서, 광장에서, 카페에서, 공연장에서 생활 속으로 들어와 있다면 우리의 코미디는 방송에 포박되어 있다.



방송형 코미디가 마치 코미디의 전부인 것처럼 되다보니 대사 중심으로 흐르는 개그가 그 중심이 되어버렸지만 사실 우리네 코미디가 본래부터 이런 편향과 왜곡을 갖고 있던 건 아니다. 굳이 남사당패 같은 먼 과거로 가지 않더라도 유랑극단이나 서커스의 시절 코미디는 만담만이 아니라 기예를 포함한 쇼적인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저글링을 하거나 두발 자전거를 타거나 마술을 하고 심지어는 공중그네를 타면서도 코미디가 가능했다. 그건 저 남사당패 줄타기 명인이 제 몸을 살판과 죽을 판 위에 세워두고 그 아슬아슬함을 이완시켜가며 웃음을 만들 던 것과 맥이 닿아 있다.

이번 <부산 국제 코미디 페스티벌> 개막식에 갈라쇼로 보여진 해외의 코미디는 대부분 기예를 포함한 공연형 코미디들이었다. 그들은 저글링을 하거나, 아크로바틱에 가까운 체조를 보여주고, 놀라운 복화술이나 마술은 물론이고 독특한 예술적인 느낌을 만들어내는 그림자 연극을 코미디와 버무려 보여주었다. 그것은 논버벌이 훨씬 더 효과적인 코미디의 언어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한때 저질 코미디로 비하하며 버렸던 그 공연형 코미디들을 저들은 자연스럽게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공연형 코미디가 중요한 건 그것이 생활 밀착형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거기에 종사하는 코미디언들의 생계와도 무관하지 않다는 점이다. 방송형 코미디는 물론 고유의 가치가 있다. 하지만 코미디언들의 살길이 오로지 이 방송에만 집중된 구조는 오히려 이들의 생계를 위협한다. 그것은 생계를 넘어 코미디언에 대한 인식조차 너무 고정적으로 굳혀버린다.

왜 코미디언들은 아티스트가 되면 안 되고, 배우가 되면 안 되는가. 왜 웃음을 준다는 사실이 그토록 저평가 받아야 한단 말인가. 왜 개그맨들은 잔뜩 보이는데 코미디언들은 잘 보이지 않는 현실이 되었나. 왜 한때 우리네 삶에 즐거움을 주었던 동춘 서커스 같은 기예를 포함한 웃음들은 지금 어느 변방으로 밀려난 공터에서 쓸쓸한 천막을 치며 살아가게 됐을까. <부산 국제 코미디 페스티벌>의 그 왁자함과 유쾌함 이면에 이처럼 왜곡된 우리네 코미디의 현실을 되돌리려는 간절함과 그 가능성을 발견하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리 뛰고 저리 뛰는 김준호를 보는 것만으로도.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사)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조직위, 김준호]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