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스타는 왜 늘 언프리티 해야 하는 걸까

[엔터미디어=정덕현] 다시 시작한 Mnet <언프리티 랩스타>. 그 포문은 스튜디오에 덜렁 놓여진 의자들에 출연하는 여성 래퍼들이 한 명씩 들어와 앉는 첫 대면에서부터 시작됐다. 아무 것도 없이 의자들만 놓여진 공간에 들어오게 된 관계가 서먹서먹한 여성 래퍼들은 서로를 의식하며 경계한다. 모르는 사람도 같은 공간에 들어와 있으면 하기 마련인 그 흔한 인사조차 없이 침묵하는 그 몇 분 간은 그래서 긴장감이 흐를 수밖에 없다.

이미 유명한 길미나 원더걸스 유빈 혹은 시스타의 효린 같은 출연자도 있다. 그들은 워낙 잘 알려져 있어서 서로 간의 인사가 자연스럽다. 하지만 이런 방송 자체가 낯설 수밖에 없는 헤이즈, 애쉬비, 키디비, 트루디 같은 출연자는 누군가의 말 한 마디 행동 하나하나에 반응을 보인다. 물론 그들은 앞에서 내색하려 하진 않는다.

하지만 카메라는 그들의 얼굴 표정에서 속내를 읽어낸다. 여기에 따로 촬영되어 붙여진 인터뷰에서 과감하게 드러나는 속내가 덧붙여지면 이 침묵의 스튜디오의 긴장감은 더 높아진다. 누군가 갑자기 의자를 박차고 일어나기만 해도 마치 싸움이라도 벌어질 것 같은 살벌한 공기가 조성된다. 시청자들로서는 이 분위기가 불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어차피 랩으로 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이면 랩만 제대로 들려주면 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언프리티 랩스타2>는 이 불편한 관계 속에서 터져 나오는 속내를 랩이라는 장르에 얹혀 폭발력을 만들어내는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오디션 프로그램이라고 표현하기보다는 어떤 면으로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가깝다. 오디션 프로그램이 모래알 같은 무수한 지원자들 속에서 진주 같은 원석을 찾아내는 것이라면, <언프리티 랩스타>는 이미 무대 위에 올려진 여성 랩퍼들 중에서 미션을 통해 한 명씩 탈락시키는 ‘서바이벌’을 표방하고 있다.



그 꼴찌와 일등을 가르는 투표가 공개적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은 이 프로그램의 ‘서바이벌’적인 속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이들은 랩을 들고 무대 위에 서 있지만 실상은 늘 생존과 탈락의 위기에 몰릴 수밖에 없는 무인도에 올려져 있는 셈이다. 잘 하면 마지막 생존자가 되어 모든 걸 가질 수 있지만 잘못 하면 갖고 있던 것조차 모두 잃어버릴 수 있다.

‘서바이벌’은 논란의 불씨를 항상 갖고 있다. 이를테면 효린이 이 프로그램에 출연한 것에 대해서 도대체 랩퍼도 아닌 이가 왜 나왔는가 하는 의구심과 불쾌감을 드러내는 다른 랩퍼들의 반응은 효린이든 아니면 해당 래퍼에게는 꽤나 논쟁적인 면을 만들 수 있다. 효린의 말처럼 랩을 좋아하기 때문에 도전하고 싶었다는 말에 동조하는 이들도 있지만, 이 살벌한 현장에서 ‘좋아해서 도전한다’는 얘기가 배부른 이야기처럼 받아들이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또 결국 1회 첫 미션에서 꼴찌가 된 효린이 원테이크 뮤직비디오를 찍을 때 반복되는 NG 때문에 립싱크를 했던 대목도 마찬가지다. 다른 랩퍼들이 얘기하는 것처럼 랩을 해야 되는 순간에 립싱크는 랩퍼로서는 자격미달이라 여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타인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미안해 그렇게라도 자기 분량을 희생한 효린의 입장이 이해되지 않는 것도 아니다.



사실 최근 들어 힙합이 하나의 젊은 트렌드로 자리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일반인들에게 힙합은 낯설게 다가오기도 한다. 특히 여성 랩퍼들은 더더욱 그렇다. 주로 랩이 들어갔던 가요들이 여성들의 멜로디에 남성 랩퍼들의 랩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쇼 미 더 머니>로부터 기화해 <언프리티 랩스타>로 이어지는 흐름이 만들어지면서 상당 부분 여성 랩퍼들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문제는 프로그램의 형식이 서바이벌을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거기서 주목받는 여성 랩퍼들의 면면 또한 ‘센 언니’의 이미지로만 너무 흘러가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랩이 가진 특성상 이런 ‘센 이미지’는 어쩔 수 없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랩이라는 것이 타인에 대한 디스와 자신의 처지에 대한 토로로만 한정되는 건 너무 편향적이란 생각도 든다.

물론 <언프리티 랩스타>가 편견으로 자리했던 여성들의 수동적인 이미지를 깨준 것은 의미 있는 일이었다. ‘프리티’만을 요구하는 세상에 ‘언프리티’해도 멋있을 수 있다는 것. 하지만 프로그램을 위해서도 여성들의 능동적 이미지를 다양화하고 다원화하는 차원에서도 이제는 ‘언프리티’의 개념을 좀 더 확장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세상의 부조리에 대해 과감한 독설을 날릴 수 있는 이미지나, 또 여성성 자체를 부정하기보다는 그것을 오히려 긍정적으로 끄집어낼 수 있는 이미지 같은 다양한 여성 랩퍼의 결을 살려내는 건 어려운 일일까. 그래서 애초에는 프리티를 강요받는 세상에서 언프리티를 보여줬던 것이 이제는 반드시 여성 랩스타가 되기 위해서는 마치 언프리티를 강요받아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뛰어넘는 일. 어쩌면 보컬인 효린을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만들고 또 처음부터 꼴찌를 했다며 논란을 만드는 일보다 훨씬 중요한 일일 것이다. 그게 <언프리티 랩스타>가 진화할 수 있는 길이 아닐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net]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