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박’, 어째서 매력적인 인물이 보이지 않을까

[엔터미디어=정덕현] 역사를 상상력으로 재해석하거나 바꾸는 건 이제 그다지 큰 일이 아닌 것처럼 여겨진다. 물론 이러한 역사 왜곡의 문제가 어느 선까지 허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는 따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래서 SBS <대박>이 그리는 다소 무리한 전개들, 이를테면 숙빈 최씨(윤진서)가 도박에 빠진 남편이 있었다거나, 그 남편 백만금이 숙종(최민수)과 도박을 벌여 숙빈 최씨를 얻었다거나 하는 것 같은 설정은 차치해두고 이야기하자.

하지만 드라마가 내적 개연성을 따라가기보다는 너무 인위적인 흐름이 느껴지는 문제는 그냥 넘어가기 어려운 문제다. 숙종의 명으로 이인좌(전광렬)가 형장에까지 나오게 되고 형 집행이 막 벌어지려는 그 순간 마침 숙빈 최씨가 사망하면서 집행이 유보되는 이야기는 너무 인위적이다. 대길(장근석)과 연잉군(여진구)이 그토록 노력해 잡은 이인좌가 아닌가. 하지만 그가 거의 죽음 직전에 살아나는 이유는 한 마디로 운이 좋아서다.

어쨌든 <대박>이라는 드라마가 도박을 다루고 그래서 운이라는 것이 중요한 동기나 결과에 작용하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이렇게 극적 상황을 애써 만들어놓고 그저 운이 좋아 인물을 살린다면 거기에 몰입해 보고 있는 시청자들은 어떤 생각이 들까. 이인좌라는 인물이 억세게 운이 좋은 인물이니 그렇게 살아나는 걸 당연하게 받아들일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적어도 드라마가 운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거기에 합당한 근거와 이유들을 대주는 것이 예의일 것이다. 운이라는 것이 그저 하늘에서 점지해준 어떤 것이 아니라, 최소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우연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사람들의 행동과 부딪침, 그로 인해 생겨나는 화학작용 등을 좀 더 세세하게 다뤄주는 게 오히려 시청자들에게는 더 흥미진진함을 안길 수 있지 않을까.



이 사극이 그리고 있는 숙종은 그 캐릭터만 보면 ‘천상천하유아독존’이다. 신하들과 세자는 명분을 찾지만 숙종은 그저 명령한다. “짐이 말하고 있노라”하고 엄포를 놓으면 그 많은 신하들의 반대는 그대로 수그러든다. 그토록 이인좌를 붙잡을 명분을 찾기 위해 대길과 연잉군이 고생을 했지만 숙종은 한 마디로 명분 따윈 필요 없다며 당장 그를 잡아넣으라고 명하고, 며칠 후 능지처참시켜버리라고 한다.

그런데 그런 숙종 앞에 그간 유약함을 보이던 경종(현우)이 이인좌의 형 집행을 유보시키고 그를 살려야 한다고 말한다. 그 말에 대노한 숙종은 칼을 뽑아 들고 경종을 향해 다가와 “죽고 싶으냐”며 으름장을 놓지만 어찌된 일인지 그 순간 갑자기 고통을 호소하며 쓰러져버린다. 그간 지병을 앓고 있던 것이 마침 그 순간 터져버린 것이지만, 이런 전개 역시 시청자들에게는 너무 우연적인 느낌을 주는 게 사실이다.

이런 우연의 반복과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굴러가기보다는 작가에 의해 개연성 없이 전개되는 걸 계속 보다보니, 이미 죽은 걸로 알고 있던 대길의 아버지 백만금(이문식)을 다시 살려놓은 것 역시 작가의 인위적인 설정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애초에 백만금이 살아 돌아올 수 있다는 복선을 우리는 과연 봤던가. 갑자기 이인좌가 감옥에 갇혀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되자 죽었던 인물을 다시 살려놓은 느낌이다. 대길에게 아버지를 보고 싶으면 자신을 살려내라고 엄포를 놓는 이인좌의 이야기를 그리기 위한 목적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제 아무리 운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이야기 전개가 어떤 내적 개연성으로 흐르지 않고 작가의 자의적인 의도로 움직이는 듯한 느낌은 <대박>에 시청자들이 쉽게 몰입하지 못하는 이유다. 주인공들은 저마다 굉장한 일에 빠져든 듯 진지하지만 그들은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생각해보라. <육룡이 나르샤>에서 육룡은 누구 하나 빼놓을 수 없을 만큼 저마다 매력적이었다. 하지만 <대박>의 인물들은 심지어 대길이나 연잉군도 그리 매력이 느껴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뭘까.

그것은 그들 캐릭터가 스스로 가진 내적 욕망에 의해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신 그들은 무언가에 의해 휘둘리거나 열심히 능동적으로 움직이려 했는데 사실 알고 보면 이인좌의 손바닥 위라는 걸 발견하고는 허탈해한다. 그들이 느끼는 허탈함은 고스란히 시청자들의 것이기도 하다. 열심히 몰입해 들여다봤는데 그게 그들 캐릭터의 내적 힘에 의해 움직인 것이 아니라 작가의 손바닥 위에서 감정놀음을 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 시청자들은 허탈감에 빠질 수밖에 없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