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임당, 빛의 일기’가 넘어야 할 무수한 산들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사실 어떤 인물에 대한 후대의 평가는 그 당대의 시선이 담기기 마련이다. 역사라는 것이 어차피 사실의 적시만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덧대진 현재적 시선을 담는 것이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사임당이라는 인물은 단적인 사례일 게다. 그저 율곡의 어머니라는 것이 강조되어 ‘여필종부’와 ‘삼종지도’ 같은 실상과는 그리 상관없는 현모양처 이미지가 후대에 덧대진 인물이 바로 사임당이기 때문이다.

그 사임당이라는 인물을 하필이면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시점에 드라마로 만든다는 이야기는 또 다른 오해와 선입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심지어 그것이 박근혜 정부를 은근히 옹호하는 이야기가 아니냐는 섣부른 의혹까지 나오기도 했다. 여기에 사임당을 연기하게 된 이영애와 그녀의 남편과 연관된 새누리당 이야기까지 덧붙여지니 드라마가 나오기 전부터 부정적인 의혹들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하지만 사임당은 애초에 여필종부나 삼종지도와는 상관없는, 훨씬 독자적인 삶을 살아온 예술가에 가깝다. 그녀는 당대의 결혼풍습이 허용하는 선에서 거의 시집살이를 하지 않았고, 그래서 마음껏 자신의 뜻을 펼치는 삶을 살아갈 수 있었다. 특히 뛰어난 여류 예술가로서의 사임당은 우리에게 남아있는 오해와 선입견을 생각해보면 너무 과소평가되고 잘 알려지지 않은 면이 있다.



“최근 30부까지 편집된 드라마를 몰아서 봤어요. 큰 작품은 끝내고 나면 되도록 빨리 털어내는 편이라, 많이 잊어버린 상황에서 드라마를 보게 됐죠. 많이 잊어버린 상황에서 보다 보니 깜짝깜짝 놀랐어요. 대사나 내용을 보시다 보면 굉장히 리버럴(진보적인)한 드라마라는 걸 아실 거예요. 감독님께 ‘우리 이거 미리 나갔으면 블랙리스트 1번 갔을 거다’라고도 했어요.”

최근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의 기자간담회에서 박은령 작가가 굳이 ‘블랙리스트’라는 표현까지 쓴 까닭은 그간 사임당에 대해 쌓여 있는 오해와 선입견을 의식한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블랙리스트’라면 다분히 현 시국을 떠올리게 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니 박근혜 정부를 옹호하려 한다는 일부 선입견 역시 전혀 ‘사실 무근’임을 명확히 하려는 뜻이 그 말 속에는 담겨 있다.

이건 그저 작가가 이런 오해들을 우려해 그저 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일 가능성이 높다. 이 드라마의 제목이 그저 <사임당>이 아니라 거기에 ‘빛의 일기’라는 부제 성격의 제목을 덧붙여 놓은 건 이 작품이 예술가로서의 사임당이라는 인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뜻일 게다. 게다가 드라마는 사임당의 로맨스를 허구적 이야기 설정으로 담고 있다. ‘현모양처’의 이미지와는 정반대 흐름을 담고 있을 수밖에 없다.



사임당에 대한 불편한 오해와 선입견이 만들어진 건 사실 사임당이라는 본인의 삶 때문이 아니다. 박정희 시절 육영수 여사의 국모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이른바 사임당이 ‘현모양처’라는 이미지가 덧 씌워졌다는 게 학계의 이야기다. 여기에 오만 원권에 사임당이 들어가게 되면서 그 부정적으로 덧씌워진 이미지는 불편함으로 굳어지게 됐다.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는 그래서 그 시작부터 넘어야 할 산들이 산재한 상황이다. 사임당이라는 본래 인물의 모습이 아니라 제 논에 물대기식으로 가져와 만들어놓은 이미지가 지금의 대중들에게는 너무나 불편한 잔상을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쩌면 이것이 <사임당, 빛의 일기>가 해야 하는 일인지도 모른다. 누군가에 의해 왜곡된 이미지가 존재한다면 그것을 깨주는 것 또한 허구로 재구성된 것일지라도 작품이 해야 될 가치 있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떨까. <사임당, 빛의 일기>는 이 구태가 만들어낸 왜곡이라는 산들을 넘어 사임당이라는 인물의 현재적 가치를 새롭게 그려낼 수 있을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