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맨틱과 코미디, 우리가 ‘도깨비’의 황당함에도 빠지는 까닭

[엔터미디어=정덕현] 드라마가 끝났는데도 여전히 그 후가 궁금해지고, 아쉬움이나 안타까움 같은 것들이 남는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 그 이후를 원하는 대로 상상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상상은 개연성과는 상관없다고 해도 왠지 믿고 싶어지고 그랬으면 하는 이야기들로 채워지기 마련이다.

tvN 금토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신 도깨비>가 그렇다. 결국 도깨비 김신(공유)은 도깨비 신부 지은탁(김고은)의 도움(?)으로 자신의 가슴에 꽂힌 칼을 뽑아 사태를 이런 비극으로 만든 간신 박중헌(김병철)을 베어버리고는 자신은 신탁대로 무(無)로 돌아간다.

하지만 이런 결말은 시청자도 또 작가도 원하는 일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 9년이라는 시간을 이승과 저승 사이를 헤매는 도깨비 김신의 고행이 이어진다. 그 사이 지은탁은 도깨비와의 기억이 모두 지워진 채 성장해 방송사 라디오 PD가 되었다. 자신도 알 수 없는 슬픔이 문득 문득 눈물로 차오르고, 자신이 과거에 했던 메모들이 이해할 수는 없지만 어딘지 마음을 건드려 삶이 버티기 힘들어질 때 지은탁은 기도하듯 촛불을 켜 “살려 달라”고 애원한다.

그런데 바로 이 지점에서 시청자도 원하고 작가도 원하며 또 그 이야기 속 캐릭터들도 원하는 기적이 합의된다. 김신은 9년간을 떠도는 처절한 고행을 거쳤지만 그가 돌아온 건 그와 지은탁이 과거에 썼던 일종의 갑을계약서 때문이다. 눈 오는 날 부르면 자신을 찾아오라는 계약. 그래서 갑자기 나타난 김신은 자신이 “을”이라며 그가 다시 돌아온 이유를 “갑의 횡포”라고 말한다.



비극에서 희극으로. 어찌 보면 웃음이 나오는 심지어 황당하게도 느껴지는 코미디적인 상황 전환이지만 이상하게도 <도깨비>에서는 이런 이야기 전개가 그리 불편함을 준다거나 뜬금없다거나 하는 식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도대체 무슨 마법을 부린 걸까.

거기에는 작가와 시청자 사이에 일종의 ‘공모’가 들어가 있다. 가슴에 칼이 꽂힌 채 수백 년을 살아온 도깨비와 그를 무(無)로 되돌릴 수 있는 칼을 뽑을 운명으로 나타나 그와 사랑에 빠지는 도깨비 신부의 이야기는 그 상황 설정 자체가 비극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어느 새 이야기 속에 푹 빠져버린 시청자들은 작가가 그 비극을 해피엔딩으로 바꿔주길 간절히 바라게 된다. 마치 지은탁이 무로 돌아간 김신을 다시 부르는 것처럼.

물론 이런 식의 비극에서 희극으로 넘어오는 이야기 전개를 자연스럽게 해내기 위해서는 그만한 노련함이 요구된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도 없이 김은숙 작가는 그 특유의 노련미로 너무나 자연스럽게 상황을 반전시킨다. 그것이 가능해진 건 그녀의 양 손에 없던 것도 나타나게 할 수 있는 마법을 부리는 두 개의 초가 쥐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 하나는 ‘로맨틱’이고 다른 하나는 ‘코미디’다.



도깨비 김신을 다시 돌아오게 한 힘은 바로 그가 지은탁과의 애절한 사랑을 다시 이어가길 바라는 ‘로맨틱’한 바람이 그 원천이다. 시청자들은 절절하고 아픈 그 사랑이 늘 풋풋하고 웃음이 피어나던 그 달달한 관계로 돌아가길 원한다. 시청자들은 작가가 들고 있는 이 ‘로맨틱’이라는 초의 불을 껐고 그 순간 김신과 지은탁의 관계는 새롭게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갑작스런 상황 전환의 어색할 수 있는 부분을 채워주는 것이 또 다른 초인 ‘코미디’다. ‘을’의 귀환. 갑자기 나타난 김신의 입에서 툭 던져지는 그 농담 같은 유머는 진지하고 절절한 상황을 조금은 가볍게 만들어주는 마법을 발휘한다. “그게 말이 돼?”하고 묻는 진지함에 “뭘 그리 심각해?”라고 어깨를 툭툭 쳐주는 듯한 농담.

로맨틱과 코미디. <도깨비>는 그래서 바로 이 로맨틱과 코미디가 가진 마법적인 힘들을 제대로 구현해낸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다. 그리고 우리가 김은숙 작가를 왜 로맨틱 코미디의 장인이라고 부르는 지도 긍정할 수 있는.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