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철·민경훈이 예능프로에 신선함을 불어넣는 이유

[엔터미디어=소설가 박진규의 옆구리tv] 가요계의 소몰이 울음이 울려 퍼지던 2천년대 중반 김희철과 민경훈은 각기 다른 스타일로 인기를 끌었다. 한쪽은 깨발랄한 아이돌그룹의 젠더리스한 미소년 아이콘, 나머지 한쪽은 십대 남학생의 감성을 휘어잡은 발라드 록밴드의 우수에 찬 미소년 보컬이었다. 그 시절 두 사람은 당시 주류인 소몰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각각 여덕과 남덕을 그러모으며 ‘빠순 빠돌’계의 양대산맥으로 자리한다.

드라마 <반올림2>에서 신비로운 미소년 선배 같은 이미지로 데뷔한 김희철은 이후 슈퍼주니어의 인지도를 대중에게 각인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춤과 노래 모두 동방신기 급은 아니었다. 다만 그는 기존의 아이돌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존재였다. 김희철은 일본의 중성적인 비주얼록 스타와 길거리의 샤기컷 미소년 분위기의 오묘한 조합이었다. 김희철의 이런 독특한 아이덴티티는 자칫 멤버 수가 많아 산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슈퍼주니어를 하나의 이미지로 그러모으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한편 민경훈과 록밴드 버즈는 따로 생각하기 힘들다. <겁쟁이>, <가시>, <쌈자를 몰라> 등 버즈의 노래는 사랑에 대한 열정은 뜨거워도 그걸 말로 표현 못하는 미숙한 사내의 속내를 묘사한다. 그것도 10대 남자들이 한번쯤 열광했을 법한 록발라드에 울부짖는 가사를 실어서. 버즈의 열정적인 팬들이 10대 남학생들이었다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특히 버즈의 대표곡인 <쌈자를 몰라>에 모든 요소가 종합되어 있다. 세련되고 달콤한 사랑 표현과는 거리가 먼 ‘쌈마이’한 감수성의 평범한 남자가 보여주는 수없이 어긋난대도 널 보기 위해 사는 절절한 짝사랑을 솔직하게 그린 노래이기 때문이다.

민경훈이 무대에서 남자를 쌈자로 잘못 부르는 바람에 이 곡은 이제 원제 <남자를 몰라>보다 <쌈자를 몰라>로 더 널리 알려진 곡이다. 이후 민경훈은 버즈의 보컬이 아닌 ‘쌈자신’으로 각인된다. 민경훈의 잘생겼지만 착하고 어리숙한 이미지를 만드는 데 일조한 곡이 바로 <쌈자를 몰라>인 셈이다.

이처럼 2천년대 중반 대표적인 10대 아이콘이었던 두 스타는 30대에 접어든 지금 예능의 블루칩으로 새롭게 떠오르는 중이다. 김희철, 민경훈 모두 데뷔 초 신비한 미남이미지를 내동댕이치고 대중에게 친숙한 존재로 여겨진 건 이미 오래다. 두 사람 모두 우주대스타나 쌈자신이란 별명과 달리 대스타와 신처럼 인간계 아닌 신성한 존재감은 아닌 거다.



그건 두 사람이 전성기 시절부터 차근차근 쌓아온 독특한 캐릭터 덕도 있다. 김희철은 어느 순간부터 훈련된 아이돌스타를 거부해왔다. 물론 거기에는 김희철이 칼 같은 군무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노래솜씨를 보여주는 훌륭한 퍼포머는 아니기 때문일 것도 같다. 그는 대신 쇼프로그램이 아닌 예능프로그램을 통해 본인의 장점을 어필하기 시작했다. TV덕후 이미지와 뜬금없이 질러대는 또라이 이미지로 말이다. 민경훈은 <쌈자를 몰라> 이후 군대 사진 등등 몇 번의 안쓰러운 사진으로 한때 잘생겼고 지금도 잘생겼지만 뭔가 ‘쭈글해진’ 동네형의 이미지를 갖게 됐다.

그리고 이런 그들의 친근하면서도 개성적인 캐릭터는 예능프로에서도 제법 괜찮게 소화된다. 각종 예능프로에 막내 패널로 자리했던 두 사람은 JTBC <아는 형님>을 기반으로 예능계의 중심으로 옮겨가는 듯하다.

<아는 형님>에서 두 사람의 지분은 강호동, 이수근, 서장훈 등등에 비해 많지 않다. 하지만 이 인기 예능프로의 밑바닥에 흐르는 꼬릿한 꼰대 발냄새 같은 불편함을 희석시켜 주는 건 두 사람의 몫이다. 김희철은 뜬금없지만 그리 불쾌하지 않은 농담으로 이 프로그램을 호쾌하게 만든다. 민경훈은 날고 기는 예능의 강자들 사이에서 <아는 형님>의 병풍처럼 느껴지지만 그의 어리숙한 행동이나 태도는 오히려 해맑은 재미를 준다.



무엇보다 두 사람 모두 기존의 남성 예능이 그려내는 익숙한 재미와는 또 다른 개그감이 있다. 김희철의 조잘거림은 서열 짓기의 경계를 마음대로 넘나드는 청량감을 발산한다. 최근 방송된 JTBC <한끼줍쇼>에 밥동무로 출연해 예능 대부 이경규 앞에서도 쫄지 않는 그런 면들이 더욱 그러하다. 민경훈은 튀려고 애쓰지 않고 위축되어 있어도 재미를 주는 희한한 구석이 있다. 마찬가지로 <한끼줍쇼>에서 강호동 옆에 머쓱머쓱하던 민경훈의 모습만 봐도 알 수 있다. 한쪽은 유쾌하면서 불쾌하지 않은 센스 있는 댓글러의 감각이라면 나머지 한쪽은은근히 귀여운 은둔형외톨이의 태도에 가깝다.

그리고 이 두 사람이 보여주는 선배 예능인들과 다른 캐릭터나 유머감각은 어쩌면 예능프로의 새로운 코드를 점치는 미리보기일 수도 있다. 어린 시절 피씨방과 노래방을 공부방처럼 드나들고 지금은 현실과 SNS를 파도타기처럼 넘나들던 1980년대 이후 세대들과 호흡하는 유머코드 말이다.

칼럼니스트 박진규 pillgoo9@gmail.com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