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 삼겹살 하나에도 이런 씁쓸한 역사가...

[엔터미디어=정덕현] 아마도 황교익 맛 칼럼니스트가 얘기해주지 않았다면 무심코 집어먹고 있는 삼겹살에도 이런 씁쓸한 역사가 담겨 있다는 걸 우리는 잘 몰랐을 지도 모른다. 경주로 간 tvN <알쓸신잡>. 아침에 일어나 베이컨을 굽고 모카커피를 내리면서부터 나온 수다에서 황교익은 베이컨이 우리나라에서 특히 비싼 건 삼겹살이 비싸서라고 밝혔고, 그 이야기는 일본에 수출하기 위해 대량 양돈사업을 했던 시절의 불행한 역사 이야기로 이어졌다. 당시의 양돈사업이 일본 수출을 위해 만들어지면서 돼지의 안심, 등심이 수출되고 나면 남은 부위들을 우리가 소비하면서 삼겹살, 족발, 머릿고기, 내장, 껍데기 같은 것들을 먹게 됐다는 것.

김영하는 모카커피로 내린 에스프레소를 함께 나눠 마시며 얼마 전 봤다는 영화 <시저는 죽어야 한다>에 대해 이야기를 꺼낸다. 마피아 같은 흉악범들이 교도소에서 지내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영화에서 보스가 독방에 들어가는데 아무 것도 없는 그 곳에 유일하게 있는 것이 바로 모카 포트라는 것. 그래도 커피 한 잔을 마시게 해주는 것. 그것이 이탈리안인들이 생각하는 인권의 최전선이라고 그는 말한다. 그만큼 그들이 커피를 사랑한다는 것.

우리에게 음식은 그저 때마다 챙겨 먹는 어떤 것 정도로 인식되어 왔지만 사실 그 안에는 많은 문화적인 배경들이 숨겨져 있다는 걸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전날 밤 <삼국유사>의 설화와 전설 이야기를 하다, 문득 ‘단군신화’ 이야기로 넘어가면서 나오게 된 쑥과 마늘 이야기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아무런 의심 없이 쑥과 마늘일 것이다라고 생각했지만 황교익은 그것이 마늘이 아니라 사실은 달래였을 거라고 추정했다. 그리고 겨울을 지내고 봄이 되어 먹을 게 그리 변변치 못했던 우리네 선조들에게 나물들 중 쑥과 달래를 먹은 이들이 생존한 그 이야기가 ‘단군신화’ 속에 담겨 있다고 말했다.



흔히들 착각하는 것이 인문학 하면 굉장한 철학이나 두꺼운 책을 먼저 연상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알쓸신잡>이 드러내고 있는 건 인문학적 지식이라는 것이 사실은 우리 주변에 널려 있다는 사실이다. 굳이 이 프로그램이 인문학을 소재로 하면서도 여행이라는 틀을 가져온 것은 그래서 단지 그것이 나영석 PD의 단골소재이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걸 이 점이 보여준다. 여행을 통해 우연히 겪게 되는 일들과 보게 되는 것들 속에서 자연스럽게 모든 것들이 흥미로운 지식으로 바뀌어가는 그 신비함을 찾아보겠다는 것. 그것이 이 프로그램이 굳이 여행의 틀을 갖게 된 진짜 이유가 아니었을까.

경주하면 모두 유적들과 능을 떠올리지만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곳이라며 엑스포와 놀이동산을 찾은 정재승은 그 엑스포라는 것이 세계의 과학사를 발전시킨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다는 걸 이야기해준다. 산업혁명 이후 영국이 산업적으로 얼마나 발전했는가를 뽐내기 위해 개최했다는 런던엑스포에서 수정궁이 지어져 유럽전역에 화제가 되고, 그 경쟁국들도 서로 기술을 뽐내기 위해 엑스포를 열게 되면서 과학이 진일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런 곳에 가면 흔히 있는 핫도그와 콘 아이스크림 역시, 그 역사가 엑스포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그 음식이 달리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어찌 보면 작은 일상의 자잘한 경험들일 수 있지만 그 안에는 사실 숨겨진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는 걸 <알쓸신잡>은 굳이 드러낸다.

그리고 우리가 어느 지역을 여행하다 가끔 보곤 하지만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으면 지나치게 되는 사당이나 비각 같은 것들에도 굉장한 역사적 이야기가 담겨 있다는 걸 유시민이 찾은 최진립 장군의 비각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 모두 의병으로 참전한 최진립 장군의 “이길 순 없어도 (나라를 위해) 죽을 순 있다”는 이야기나, 돌아가라는 걸 따르지 않고 그와 함께 끝을 같이한 노비 옥동과 기별을 위한 제사를 지금까지 그 집안에서 지내고 있다는 놀라운 이야기가 그 안에 담겨있었다.

이처럼 우리가 <알쓸신잡>을 보며 어딘지 ‘신비하다’고 느끼게 되는 지점은 바로 이런 것이다. 우리가 별 것도 아닌 것으로 치부하며 살아왔던 손과 발에 툭툭 채였던 많은 것들이 저마다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이야기가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충분한 울림을 준다는 것. <알쓸신잡>의 숨은 가치와 재미는 바로 여기에 있지 않을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