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 아재들이 지나간 자리 남은 지식의 향기

[엔터미디어=정덕현] 여행을 하는 참 많은 방법들이 있는 것 같다. 나영석 PD가 KBS <1박2일>로부터 시작해 현재 tvN <알쓸신잡>까지 이어진 예능 프로그램들을 보면, 국내여행은 물론이고 해외배낭여행, 어르신은 물론이고 청춘들, 어느 한 곳에 폭 박혀 며칠간을 정착하며 즐기는 여행에서부터 지식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여행까지 참 다양하기도 하다.

그 중에서도 최근 뜨거운 <알쓸신잡>은 아마도 여행 풍속도를 바꿔줄 새로운 여행의 색깔을 덧씌워주고 있다. 그저 지나쳤던 풍경이나 유적 그리고 음식들까지 그 안에 담겨진 문화적인 이야기들을 이 프로그램이 끄집어내주었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라. <알쓸신잡>이 춘천에서 들려준 그 많은 이야기들을.



당연한 듯 춘천에 가면 먹었던 닭갈비에서 ‘갈비’를 먹고픈 서민들의 욕망을 읽어내고, 에티오피아 카페에서 한국전쟁에 참전한 에티오피아 전우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책과 인쇄박물관’에서 그 잉크 냄새가 주는 아련한 향수에 빠져들면서 후각이 그 어떤 감각보다 우리네 기억을 더 강렬하게 자극하는 감각이라는 걸 알게 되고, 애니메이션 박물관에서 태권브이의 향수에 젖는다.

어찌 보면 여행에서 우리가 흔하게 만나게 되는 음식이나 박물관 같은 것들이지만 <알쓸신잡>이 보여준 것처럼 거기 담겨진 이야기들을 알거나 이해하게 되면 새삼 그 체험들이 각별하게 다가온다. 대성리 하면 대학시절 많이 가던 엠티 장소 정도로 기억하는 분들도 많겠지만 거기에도 당대 감시의 눈길을 피해 독재에 항거하던 젊은이들의 행적들이 숨겨져 있다.



수목원의 꽃들을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찍어 그 이름을 검색할 수 있는 편리해진 시대에, 그만큼 사라져 가는 직업들을 떠올린다. 일일이 활자를 찾아 신문을 찍어냈던 시절에서 이제 컴퓨터가 모든 걸 해버리는 현재까지의 놀라운 변화가 겨우 30년도 되지 않았다는 걸 통해, 얼마나 세상이 빨리 변화해가는가를 실감한다.

그러니 이제 <알쓸신잡>의 여행을 본 이들은 통영에 가서 새삼 이순신 장군의 숨결을 남다른 감회로 떠올릴 것이고, 순천에 가서는 조정래 선생의 <태백산맥>이 떠오를 것이다. 강릉 오죽헌에 가게 되면 유시민과 황교익이 비분강개했던 안내판을 통해 신사임당의, 율곡의 어머니만이 아닌 예술가로서의 위대함을 새삼 떠올릴 것이고, 경주에 가면 최진립 장군과 그와 끝을 함께한 옥동과 기별의 이야기에서 감동할 수 있을 것이다. 공주에 가게 된다면 백마강과 낙화암 앞에서 새로 써야 할 왜곡된 역사에 대한 안타까움을 느낄 수 있을 게다.



해외여행이 일반화된 요즘, 휴가철이 되면 공항은 북적인다. 해외여행이 이렇게 일반화되는 만큼 국내여행은 어딘지 너무 소소한 느낌마저 준다. 하지만 그것이 너무나 큰 착각이고 선입견이라는 걸 <알쓸신잡>을 통해 새삼 확인하게 된다. 우리가 국내여행을 소소하게 느껴왔던 건 진짜 그 곳이 소소해서가 아니라 그 안에 담겨진 많은 이야기들을 들으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국내 곳곳에 숨겨져 있는 많은 이야기들, 하다못해 음식 하나에도 깃들어있는 재미있는 삶의 이야기들이 넘쳐난다는 걸 <알쓸신잡> 박사들은 새삼 확인시켜줬다. 거창하게 인문학을 운운할 필요도 없이, 이들이 어떤 여행지에서 나눈 폭풍 지식수다를 먼저 떠올려볼 필요가 있다. 거기에는 얼마나 많은 재밋거리들이 숨겨져 있는가. 다만 우리가 관심을 주지 않았을 뿐. 여러모로 <알쓸신잡>으로 인해 이번 여름, ‘휴가의 풍경’도 사뭇 달라지지 않을까. 멀리 가지 않아도 우리 가까이 충분히 흥미로운 여행은 넘쳐난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