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적인 인물들의 반전, ‘비밀의 숲’이 남달랐던 까닭

[엔터미디어=정덕현] 첫 회에서부터 몰입하게 만들었던 tvN 주말드라마 <비밀의 숲>이 어느덧 16회 종영을 앞두고 있다. 언제 시간이 이렇게 흘렀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매회가 영화 같은 몰입의 연속이었던 <비밀의 숲>. 검찰의 비리를 담는 이야기가 이전에 없었던 것도 아니고, 스릴러물이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지만 도대체 이 괴물 같은 드라마가 시청자들을 빨아들인 그 힘의 원천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이마에 착한 사람, 무서운 사람 써 붙여놨으면 좋겠어요.” 같은 특검에 있던 윤세원(이규형)이 박무성(엄효섭)을 죽인 범인이었다는 것을 못 믿겠다는 듯 김정본(서동원)이 그렇게 말하자 한여진 경위(배두나)는 의미심장한 한 마디를 덧붙인다. “그럼 여기도 애매한 사람 꽤 많을 걸요... 있습니다. 그런 사람. 범인 잡겠다고 먼지 뒤집어쓰고 애쓰는 거 보면 좋은 사람 같은데 남한테 몽땅 뒤집어씌우는 거 보면 이건 또 뭔가 싶은 사람.”



한여진이 지목하는 그 애매한 사람은 바로 팀장이다. 열심히 범인을 잡으려 뛰어다니는 것도 사실이지만 자신이 문제에 연루되자 자기는 잘못이 없다고 발뺌하려 애쓰는 모습을 한여진이 목격했기 때문이다. 그러자 그녀의 동료인 장건(최재웅)이 말한다. “사람들 다 거기서 거기에요. 막 죽일 새끼도 아니고 천사도 아니고 그냥 흐르는 대로 사는 거지. 우리 같은 보통 사람들은.” 한여진은 그의 말에 또다시 의미심장한 반론을 달아놓는다. “그렇게 흐르기만 하다가 자기도 모르는 곳에 닿아 버리면요?”

아마도 이 짧은 대사 안에 <비밀의 숲>이 인물을 바라보는 남다른 시각과 그로 인해 이 드라마가 얼마나 큰 몰입감을 만들어냈는가에 대한 비밀이 들어 있지 않을까. 그 비밀은 입체적인 인물에 있다. <비밀의 숲>은 우리가 스릴러 장르에서 늘 접하던 착한 사람과 무서운 사람의 경계를 세워두지 않았다. 어떤 사람이든 이 양면을 갖고 있고,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면을 보인다는 것.



이 점은 우리가 드라마를 보며 믿었던 어떤 인물이 전혀 생각지도 못한 어떤 행동을 했다는 것에 놀라움과 충격을 받게 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다. 영은수(신혜선) 검사가 정의를 구현하기 위해 사건을 추적하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동시에 아버지가 불명예를 안고 물러나게 된 것에 대한 사적 복수심을 드러내는 인물로 그려진 면이나, 서동재(이준혁)처럼 적인지 아군인지 알 수 없는 캐릭터, 겉으론 황시목(조승우)을 지원하는 듯 보이지만 알고 보면 그를 이용하고 있는 이창준(유재명) 수석이나, 결정적인 반전을 보여준 윤세원 등등. <비밀의 숲>의 인물들은 한여진이 말하듯 어느 한 쪽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애매한’ 이들이 대부분이다.

저마다 갖고 있는 비밀들이 있어 평시에는 그토록 정의롭게 보였던 인물도 어떤 상황을 마주하게 되면 정반대의 실체를 드러냈다는 것. 그렇다면 <비밀의 숲>은 어차피 인간은 상황에 좌지우지되는 존재라는 걸 말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한여진이 말하는 것처럼 그렇게 흘러 다니다 보면 자기도 모르는 곳 깊숙이 닿아 버린 자신을 발견하게 될 수 있다. 그러니 그 흐름에 자신을 맞기기보다는 오히려 자신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다.



자신의 아이가 끔찍하게 죽게 된 사건으로 인해 윤세원이 박무성에게 복수하려 했다는 건 마치 그런 흐름을 이해하게 만든다. 하지만 그 흐름이 잘못됐다는 걸 황시목은 지적한다. “윤세원 씨가 그걸 처벌할 권한이 있습니까.”하고 묻는다. 그러자 윤세원은 자신의 선택이 어쩔 수 없었던 아픈 이유를 드러낸다. “그럼 권한을 가진 사람은 대체 뭘 했는데요?” 누군가의 잘못된 결정이 만들어내는 비극은 거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피해자를 낳는 결과로 돌아온다.

<비밀의 숲>은 그래서 검찰 비리라는 그 원류가 얼마나 멀리까지 잘못된 흐름들을 계속 양산해내는가를 드러내준다. 그 흐름 안에서 피해자는 가해자가 되고 그 가해자는 또 다른 피해자가 된다. 도저히 이겨낼 수 없는 그 흐름 속에서 인물들은 ‘애매해진다’. 그 애매함이 <비밀의 숲>에 시청자들이 빠져드는 이유였고, 그 애매함을 만들어내는 원류의 잘못된 흐름을 비판적인 시선을 담아낸 것이 바로 이 작품의 주제의식이었다. 재미와 의미가 입체적인 인물들의 면면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작품. 우리가 <비밀의 숲>을 수작이라 부를 수 있는 이유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