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 높았던 ‘조작’, 갈수록 힘이 빠지는 이유

[엔터미디어=정덕현] SBS 월화드라마 <조작>은 거대 적폐언론과 싸우는 이야기라는 소재만으로도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어 모았다. 저들의 권력만을 공고하게 하기 위해 진실을 조작하고 무고한 피해자들을 만들어내는 잘못된 언론의 이야기가 우리에게는 꽤나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거대 적폐언론의 상징처럼 표상되는 대한일보 구태원(문성근) 상무에 의해 한때는 진실을 파헤치는 탐사보도의 첨병이었으나 와해되어 뿔뿔이 흩어져 왕따를 당하다 그 팀장이었던 이석민(유준상)에 의해 다시 모이게 된 스플래시팀이나, 대한일보와 손이 닿은 검찰 수뇌부에 의해 물을 먹고 역사 좌천됐었던 권소라(엄지원) 검사, 그리고 그 구태원의 사주에 의해 조작기사에 연루됐다가 폭로를 하려하자 살해당한 스플래시팀 한철호(오정세) 기자의 동생 한무영(남궁민)이 다시 연대하는 과정은 흥미로울 수밖에 없다.

언론과 검찰이 손을 잡고 농단하는 세상에 대해 작은 세력이지만 진실을 밝힌다는 뜻 하나만으로 모인 이들의 싸움이 마치 우리가 마주한 적폐처럼 힘겨워도 이겨내야 하는 것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야기가 중반을 넘어서면서 <조작>은 생각만큼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이야기가 어떤 목표를 향해 달리기보다는 결과가 뻔히 보이는 떡밥의 늪에 빠져 있어서다.



이 모든 사건에 연루되어 있어 사망처리 되었지만 사실은 살아서 페이스오프까지 한 채 해외로 도피 중이던 남강명이 인공심장박동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귀국한다는 소식이 흘러나오고, 이석민과 권소라 그리고 한무영이 모두 남강명을 잡으려 할 때, 사실은 그것이 그들을 함정으로 빠뜨리기 위한 구태원의 계략이었다는 게 밝혀지는 에피소드는 <조작>이 가진 이야기의 패턴을 반복한다. 진실에 한 걸음 다가가는 순간 오히려 뒤통수를 치는 구태원의 이야기.

하지만 드라마는 그 과정에서 시청자들에게 끝없는 떡밥을 던지며 이리저리 끌고 다니지만 문제는 그 떡밥이 너무 진부해 쉽게 예측이 가능하고 심지어 패턴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조작>은 왜 이들이 구태원의 함정에 빠져 들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제공하지도 않았다. 그저 무언가 함정이 있을 것이라는 암시만 준 채, 다음 회로 넘기는 방식은 너무 전형적이다.

물론 드라마가 시청자들의 관심을 계속 끌기 위해 떡밥을 던지는 건 잘못된 일이 아니다. 진실을 추적하는 이야기의 경우는 더더욱 그렇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이렇게 진부한 구도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건 조금 맥 빠지는 일이다.



게다가 의문의 문신을 한 사내라는 설정이나 구태원 뒤에 존재하는 어떤 그림자조직에 대한 암시 같은 것들은 이 이야기를 너무 비현실적으로 만든다. 보다 현실적인 대결구도만으로도 충분히 몰입될 수 있는 소재지만, 이렇게 극화된 비현실의 개입은 흥미를 반감시킨다.

<조작>은 비슷한 패턴의 반복을 벗어나 매 회 진실에 접근해가는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딜레마나 그 가치 있는 고통 같은 다양하고 다채로운 메시지들을 왜 보여주지 못할까. 구태원이라는 절대악과 대결하는 단순한 구도만으로는 우리가 처한 복잡한 권력 시스템 속에서의 현실을 담아내는 건 어렵고, 그래서 드라마는 갈수록 비현실적으로 보이게 된다.

다양한 메시지들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드라마의 동력은 대결구도와 떡밥으로 흘러가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밀고 당기는 대결구도와 계속 드라마를 보게 만드는 떡밥만으로는 애초 이 드라마의 동력이었던 ‘적폐 언론의 청산’과 ‘진실의 추구’에 대한 대중들의 갈망을 채워주기 어렵다. <조작>이 갈수록 힘을 잃어가는 건 그래서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