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보다 인물 판타지, 마동석이라는 캐릭터는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마동석 현상이다. ‘흥행보증수표’라는 표현까지 등장했다. 항간에는 ‘원빈을 넘어섰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청불영화로서 역대 흥행 3위인 <아저씨(628만여명)>를 <범죄도시(636만여명)>가 넘어섰다는 이야기다. 여기에 후속작으로 방영중인 <부라더> 역시 첫 주에 73만 관객을 동원하며 이대로 가면 100만 관객 돌파는 시간문제라고 한다. 무엇이 이런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는 걸까.

액면대로 얘기하면 <범죄도시>는 굉장한 작품이라기보다는 잘 만든 오락영화다. 특히 마동석이라는 배우가 가진 이미지를 가장 잘 끌어와 작품에 녹여냄으로써 흥행에 성공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부라더>는 <범죄도시>에 비교하면 소품이고, 작품 내적으로 봐도 그다지 성취가 보이지 않는 영화다.

안동 문중의 보물을 찾는 형과 그 땅에 고속도로를 내기 위해 문중사람들을 찾아가 허가서를 받아내는 동생이 그 안동에 내려가 벌어지는 사건을 다뤘다. ‘가보도 팔아먹는 형 vs 집안도 팔아먹는 동생’이라는 홍보문구가 거의 다라고도 할 수 있는 코미디다. 물론 대학로 스테디셀러 뮤지컬인 <형제는 용감했다> 원작을 가진 작품이지만 영화로서는 어딘지 밋밋한 이야기에 중간 정도 지나고 나면 결말까지 대충은 감이 잡히는 작품이다.

하지만 이 영화 역시 마동석이라는 배우가 가진 그 캐릭터를 적극 활용한다. 산만한 덩치에 어딘지 건들대는 그 모양새가 안동의 유서 깊은 집안사람들과 부딪칠 때 나올 수밖에 없는 웃음. 특히 동생 역할을 한 이동휘와 사사건건 부딪치는 모습에서는 어딘지 유치해도 웃음이 나올 수밖에 없다. 물론 뒤로 가면 이 덩치가 눈물을 흘리는 반전모습을 볼 수 있지만.



그래서 결과적으로 보면 <범죄도시>의 놀라운 성적도 그렇고, 그에 이은 <부라더>의 선전도 그 연원은 결국 마동석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이미 작년 <부산행>을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관객들에게 눈도장을 찍은 이 배우는 놀랍게도 올해 두 작품의 성공요인이 되었다. 작품이 가진 부족함이 분명한데도 불구하고 마동석이라는 이름 석 자 때문에 관객들이 영화관을 찾았다는 것.

물론 마동석처럼 작품 속 캐릭터를 연기한다기보다는 자기 이미지를 오히려 작품 속으로 가져오는 배우는 적지 않다. 특히 성룡이나 아놀드 슈와제네거, 빈 디젤 같은 액션 배우들의 경우 이런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들의 작품을 볼 때 우리는 그 작품이 가진 내용을 그리 눈여겨보지 않는다. 대신 그들이 보여줄 액션에 더 관심이 간다.



마동석은 그런 점에서 보면 외형적으로 이런 액션배우들의 틀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고 보인다. 터질 듯한 근육은 오리모양이 수놓아진 티셔츠 하나만 입고 있어도 웃음을 터트리게 만들고, 살벌한 조직폭력배들이나 심지어 좀비들 앞에서도 어딘지 든든함을 주기 때문이다.

게다가 마동석의 액션은 성룡이 하는 현란한 동작이 아니고 그렇다고 아놀드 슈와제네거가 보여주는 화력 강한 액션도 아니다. 맞으면서 싸우는 이 캐릭터는 남다른 완력으로 상대방을 압도한다. 어딘지 칼을 맞아도 버텨낼 것 같은 그런 인상이다. 우리네 액션 장면들이 가진 정제되기보다는 치고받는 현실감을 이만큼 잘 보여줄 수 있는 캐릭터가 있을까.



하지만 마동석이 우리네 관객들에게 어필하는 가장 큰 지점은 훨씬 더 사회적인 정서와 관련이 있다. 그는 너무나 견고해 절대 무너지지 않을 것 같은 공공의 적들 앞에서는 강력한 힘을 보여주지만, 보호해야할 약자들 앞에서는 한없이 부드러워지는 마블리로 변신한다. 강자에게는 약하고 약자에게는 강한 우리 사회의 비정함을 마동석은 그 캐릭터를 통해 뒤집는다. 이런 점은 관객들이 마동석의 액션에 무엇을 기대하는가를 잘 말해준다. 현실의 비정함을 뒤틀어버리는 강력한 힘에 대한 요구다.

그렇지만 마동석 현상에 대해 과도한 평가를 내릴 필요는 없다. 그건 굉장한 연기력이나 작품의 성취도에 의해 생겨난 것이라기보다는 마동석이라는 인물 자체가 가진 캐릭터에 의해 생겨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점은 마동석이 스스로 배우로서 성장해가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 하는 걸 말해준다. 물론 이런 액션스타가 우리에게도 존재한다는 건 그 자체로 즐거운 일이지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부라더><범죄도시>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