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비’의 핵보다 뜨거운 남북 철우의 브로맨스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역시 <변호인>의 양우석 감독이다. 그의 신작 영화 <강철비>는 사실 전작과는 너무나 다른 소재를 들고 왔다. 그것은 가상 핵전쟁 시나리오다. 북한 내에 쿠테타가 벌어지고 암살 위협을 피해 남한으로 북한1호와 함께 내려온 엄철우(정우성)가 남한의 외교안보수석 곽철우(곽도원)를 만나 핵전쟁을 막기 위해 뛰고 또 뛰는 첩보 액션 블록버스터. 그러니 “국가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그 가슴 뜨거워지는 인권변호사의 외침이 지금도 생생한 <변호인>의 느낌과는 사뭇 다르게 다가오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직접 영화롤 보게 되면 <변호인>과 <강철비>는 닮은 구석이 많고 또 그 느낌 역시 그리 다르지 않다는 걸 확인하게 된다. <변호인>이 인혁당 사건 같은 국가적인 문제를 떠올리게 하는 소재를 다루면서도 그 접근방식으로서 인권변호사의 따뜻한 인간적인 행보에 집중했다면, <강철비>는 핵전쟁 시나리오라는 지금도 실제 상존하는 위협과 불안을 소재로 다루면서도 그 접근방식으로는 북의 엄철우와 남의 곽철우가 동행하며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끈끈한 인간적인 감정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그런 점에서 보면 <강철비>는 2006년 개봉했던 강우석 감독의 <한반도>와는 사뭇 다른 접근방식을 보여주는 영화다. <한반도>가 점점 커지는 북핵의 위협이라는 불안감을 스펙터클로 잡아내는 블록버스터에 가깝다면, <강철비>는 그 안에서도 사람을 놓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보면 <강철비>가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방식은 전쟁 스펙터클이 주는 자극적인 면이 아니라 그 안에서도 사람이 존재한다는 걸 증명하는 데서 오는 감동 같은 것이다.

하늘에서 쏟아져 내려오는 ‘강철비’ 같은 살상무기에 의해 순식간에 지옥도가 되어버리는 장면이 주는 끔찍함은, 그것이 분단 상황에서 적국의 위협 때문에 벌어진 일이 아니라 그 분단을 이용해 권력을 쥐려는 이들의 욕망에 의해 발생한 일이라는 점에서 단지 끔찍함에 머물지 않는다. 그 장면이 상기시키는 건 이 분단 상황이라는 체제가 권력자들에 의하여 얼마나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이들을 피폐하게 만들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그래서 이 공감대 아래 공교롭게도 이름이 같은 북의 엄철우와 남의 곽철우가 이념과 체제를 뛰어넘어 핵전쟁을 막으려 공조하게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들은 자신들이 싸워야 할 대상이 남과 북으로 나뉘어 적국이 된 상대방이 아니라 그 분단을 이용하려는 권력자들이라는 걸 확인하다. 그리고 그 공감대 밑바탕에 깔려 있는 건 두 사람 모두 각각 지켜내야 할 가족이 있다는 사실이다.

영화 <강철비>는 그래서 마치 핵전쟁이라는 한반도를 둘러싼 각국 권력자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벌어지는 비극에 남북의 두 인물이 핵보다 뜨거운 휴머니즘으로 맞서는 듯한 대결구도를 보여준다. 그러고 보면 이 두 사람의 이름이 모두 공교롭게도 ‘철우’인 건 이유 있는 작명이라 생각된다. 인명 살상을 위해 하늘에서 쏟아져 내리는 그 끔찍한 ‘강철비’에 맞서는 두 철우(강철비)의 이야기이니 말이다. 이런 가상 전쟁 블록버스터에서도 뜨거운 사람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건 역시 양우석 감독이기 때문일 게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강철비>포스터 메이킹필름]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