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전’, 유시민과 우상호가 말하는 1987년 6월 항쟁

[엔터미디어=정덕현] <1987>은 당대를 살았던 이들에게는 더 특별할 수밖에 없는 영화다. 1987년 고 박종철 열사의 사망 소식으로부터 기화되어 6월 민주화 항쟁으로 이어지는 그 실제 상황의 이야기들이 다큐적인 배열로 여러 인물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어서다. 게다가 거기 등장하는 인물들은 가상인물이 아닌 실존인물을 모델로 하고 있다. 그러니 영화가 담는 모습과 실제의 모습 사이에 생겨나는 괴리가 있을 수 있다.

JTBC <썰전>에 나온 우상호 의원은 <1987>에 검사역할로 나왔던 하정우 캐릭터에 대한 묘한(?) 감정을 털어놓았다. 영화 속에서는 “너무 멋있게” 나왔지만 실제 그 모델이 된 최환 검사는 당시 “(고 박종철 열사의) 사체 화장을 막은 큰 역할을 한 분”은 분명하지만 공안검사로 학생운동을 하는 “선후배들을 많이 잡아갔다”는 것. 사실 이 부분은 영화가 나오고 나서 논란이 된 부분이기도 하다. 실제와 다르게 미화된 인물들도 있다는 것이었다.

<1987>에 등장하는 교도소 보안계장의 모델인 당시 영등포교도소 안유 보안계장도 마찬가지 논란이 나왔다. 당시 대공수사처 간부들의 조작을 폭로하는데 큰 역할을 한 건 분명하지만, 본인 스스로를 “전 의인이 아닙니다”라고 밝힌 것처럼 그는 보안계장으로서 당시 대학생들을 가두고 포승과 수갑을 채우는 일을 했다는 것. 그는 당시 그 상황에 대해 솔직하게 밝히고 사과까지했지만, 영화는 그를 당시 민주화운동의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만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 부분은 <1987>이라는 영화의 딜레마이기도 하고, 당시 1987년 민주화운동을 했던 실제 상황이 가진 딜레마이기도 했다. 분명 역사적 변화를 만들어낸 훌륭한 선택을 한 인물들이라는 건 맞지만 거기에는 또한 그 위치에서 해왔던 잘못된 행위들도 분명 있었다는 점이 그렇다. 이를 어떤 방식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건 그래서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가 아닐 수 없다.

여기에 대해 우상호 의원은 1987년을 “영웅주의적 시각으로 한 개인이 엄청난 일을 해서 역사가 바뀌었다고 보기보다는 각자 자기 위치에서 지켜낸 최소한의 양심들이 모여 역사적 물줄기를 바꾼 것”이라고 했다. 그러니 그들의 공과 과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 하지만 그렇게 말하면서도 그는 그것이 머릿속의 생각일 뿐, 당시 선후배들이 쓰러져간 건 떠올려보면 감정적으로는 정리가 되지 않는 일이라고 했다.

우상호 의원은 <1987>을 시사하면서 영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교도관의 실제인물인 한재동씨가 고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에게 “죄송하다”며 당시 학생들을 가뒀던 자신이 “아들을 잃으신 분 앞에서 제가 할 말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던 대목에 큰 감동을 받았다고 했다. 그는 당시 군부독재 하에서 직업상 어쩔 수 없이 할 수밖에 없는 일들이 있었지만 그래도 마지막 양심을 지킨 사람들의 행위는 있는 그대로 훌륭하다 평가해야 한다고 했다.



유시민 작가는 이 딜레마를 “사람은 살다보면 한 번 쓰이는 때가 있다”는 것으로 이해하려고 했다. 즉 그 분들이 교도관이나 검사가 아니었다면 그런 일을 할 수도 없었다는 것. 그리고 “일정 시기에 옳은 일을 못하고 살았다고 해서 그 사람이 다른 시기에 옳은 일을 못하는 것도 아니고, 한 시기에서 옳은 일을 했다고 해서 그 사람이 앞으로도 계속 옳은 삶을 산다는 것도 아닌 것 같다”는 말로 이 딜레마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아마도 1987년 당대를 살아내며 스스로 갖고 있는 회한이나 분노, 후회와 함께 어떤 보람이나 뿌듯함이 딜레마처럼 남아있는 분들이라면 이 말이 주는 공감이 유독 컸을 거라 여겨진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영화 <1987>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