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 지상주의와 정반대로 가는 ‘숲속의 작은 집’, 그래서 더 궁금하다

[엔터미디어=정덕현] “시청률 안 나와도 되니까 만들어도 된다고 해서 만든 프로그램이다.” 나영석 PD는 새로 시작하는 <숲속의 작은 집>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대부분 새로운 프로그램이 런칭될 때 이른바 ‘시청률 공약’을 거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된 요즘, 나영석 PD의 이 말은 이례적이다.

물론 지금껏 프로그램 시작할 때마다 겸손한 자세를 보여왔지만, 이번은 그런 말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다. 나영석 PD는 “심심한 프로그램”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만큼 많은 걸 내려놨다는 뜻이다. 왜 나영석 PD는 이렇게까지 말한 걸까.

그것은 <숲속의 작은 집>이라는 프로그램의 특징과 무관하지 않다. 이 프로그램은 제목처럼 숲속의 작은 집에서 소지섭과 박신혜가 ‘미니멀 라이프’를 체험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전기, 수도, 가스가 없는 삶을 체험하며 오프 그리드 라이프를 실제로 보여주는 것. 그러니 무언가를 하는 것보다는 안 하는 쪽이 포인트다. 있는 삶이 아니라 없는 삶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프로그램을 왜 시도했을까 하는 건 쉽게 이해된다. 복잡한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언제부턴가 모든 걸 내려놓고 숲 속 같은 공간에서의 ‘적극적인 고립’은 해보고픈 꿈이 되었다. 너무나 삶이 복잡하고, 매일 매일 누군가와 거미줄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늘 신경이 곤두선 채 살아가는 게 우리네 일상이다. 그러니 산을 가거나 섬에 들어가거나 혹은 절 같은 곳에 들어가 잠시 동안이라도 ‘신경의 전원’을 끈 시간을 누리고픈 욕망이 생겨난다.

<숲속의 작은 집>은 그런 욕망을 대리해주는 프로그램인 셈이다. 그러니 시청률 같은 경쟁적인 수치에 집착하는 건 어쩌면 이 프로그램의 취지와는 이율배반적인 일이 될 수밖에 없다. 나영석 PD가 항상 주장하듯,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들이 그 과정을 똑같이 즐길 수 있어야 비로소 프로그램의 진가가 살아나게 된다. 나영석 PD가 시청률을 내려놨다고 하는 말은 그래서 진심이다. 그래야 이 프로그램이 보여주는 ‘미니멀’한 삶의 진가가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이렇게 시청률을 내려놓자 궁금증은 더욱 커진다. 그것은 거의 모든 프로그램들이 시청률을 목표로 삼아 만들어지고 있어서, <숲속의 작은 집> 같은 시청률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더더욱 새로울 것이라 여겨져서다. 결국 시청률 바깥의 프로그램이란 그것이 무엇이든 적어도 지금껏 봐왔던 그 어떤 예능 프로그램과는 다르다는 걸 증명하고 있는 셈이다.

과연 어떨까. 시청률도 내려놓고, 심심한 프로그램이며, 잘 안될 수도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숲속의 작은 집>이 역설적으로 시청률도 잡고 지금껏 보지 못했던 새로운 묘미를 보여주며 그래서 잘 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까. 첫 회 시작 전부터 궁금해지는 지점이 아닐 수 없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CJ E&M]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