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챔피언’·‘레슬러’, 마동석·유해진에만 기댄 안이한 기획이 낳은 졸작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영화 <챔피언>과 <레슬러>는 다른 듯 비슷한 작품이다. 둘 다 스포츠를 소재로 다루고 있지만 스포츠영화가 아니라 가족이야기라는 점이 그렇고, 작품이 누가 봐도 주인공인 마동석과 유해진이라는 배우에 기대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그리고 무엇보다 비슷한 건 한국코미디영화의 기본 공식 속에서 이야기의 새로움이 보이지 않아, 이 대세라고도 불리는 두 배우조차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챔피언>은 무지막지한 팔뚝 두께를 가진 마동석이라는 배우를 캐스팅해 거기에 걸 맞는 팔씨름이라는 스포츠를 가져왔지만, 실상은 어릴 적 해외 입양된 마크가 고국으로 돌아와 자신의 가족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물론 손과 손을 잡고 벌이는 스포츠가 갖고 있는 승패에 대한 긴박감이 존재하지만 그것보다는 손과 손을 맞잡는 가족애적인 따뜻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적절한 반전 포인트가 있고 또 그것이 가슴을 울리는 면이 존재하지만 어딘지 의도에 맞춰 억지로 짜낸 듯한 느낌을 준다. 이건 애초의 기획 포인트로서 마동석이라는 인물을 상정하고 그가 ‘마요미’로도 불리는 그 반전 요소를 가족애라는 평이한 주제의식 안에서 끄집어내다보니 생겨난 인위성이다. 그럭저럭 오락영화를 보기에는 무리가 없지만 무언가 새로움을 찾는 관객에게는 함량미달이 되는 이유다.

유해진을 전면에 내세운 <레슬러>를 보면 그나마 <챔피언>은 나은 편이라는 느낌이 든다. 레슬링을 소재로 했지만 왜 이 스포츠를 다뤘는가에 대한 고민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물론 <챔피언>에서 손과 손을 마주잡는 스포츠의 대결적 장면을 ‘함께 한다’는 의미로 반전시키듯, <레슬러> 역시 몸과 몸이 부딪치는 그 대결요소를 부자 사이의 ‘스킨십’의 의미로 반전시키는 면은 있다.



하지만 그 뿐, 중반에 갑자기 튀어나온 부자 사이에 끼어 든 삼각멜로라는 틀은 식상하기도 하지만 심각한 문제의식의 부재를 드러낸다. 친구의 아빠를 사랑한다는 설정이 주는 무리함에 그 여성을 아들이 짝사랑하면서 아빠와 아들 사이의 세대적 문제를 연정의 틀로 우겨넣은 건 너무나 안이하고 불편하게 다가온다. 제아무리 대세배우에 안티 없는 유해진이라고 해도 이런 작품을 살려낸다는 건 어려운 일이다.

지금 극장가는 <어벤져스3>의 광풍으로 이제 천만 관객 돌파가 코앞에 놓여져 있다. 물론 스크린 독과점의 문제가 남아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변명의 여지가 없게 만드는 건 <챔피언>이나 <레슬러> 같은 안이한 기획의 작품들이 갖는 어쩔 수 없는 빈약함이다. 생각해보면 <어벤져스> 시리즈 같은 그간 공식에 충실했던 블록버스터가 더 파격적이라는 느낌마저 든다. 타노스라는 악당을 전면에 내세운 점도 그렇고, 그로 인해 슈퍼히어로들이 하나둘 사라져버린다는 설정은 충격적으로까지 다가온다.



반면 <챔피언>과 <레슬러>는 적당히 잘 나가는 배우를 세워 스포츠에 코미디 그리고 가족드라마를 양념처럼 더해 놓은 한국형 기획 작품의 전형을 보여준다. 이래서는 <어벤져스> 같은 작품의 스크린 독과점 때문에 영화가 안된다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갖기가 어렵다. 그래도 의미가 있거나 주제의식이 확실하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신선한 기획이라도 갖고 있는 작품이어야 동정적 지지라도 얻을 수 있는 것 아닐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챔피언><레슬러>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