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강력한 항원 조승우 vs 만만찮은 항체 이동욱

[엔터미디어=정덕현] 놀랄 만큼 입체적이다. 병원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만이 아니라, 그것이 병원 밖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고, 생명을 살린다는 그 의사의 본분을 담는 병원이 또한 자본이라는 괴물의 시스템 속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걸 새삼 확인시킨다. 병원을 소재로 하는 의학드라마가 이토록 입체적으로 병원을 보여준 적이 있던가. JTBC 월화드라마 <라이프>가 담아내고 있는 병원이다.

구승효(조승우)는 물류센터 사장으로 화정그룹이 인수한 상국대학병원을 맡게 되면서 각 과별 경영실적부터 챙겨본다. 가장 적자 폭이 큰 과가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그리고 응급과. 그 과들을 어떻게 처리할까 고민하던 차에 ‘지방병원 파견 근무’ 제도라는 게 있다는 걸 알게 되고 그 세 과를 모두 지방으로 파견 보낸다는 통보를 내린다. 파견 근무를 시키면 임금을 해당 지방병원이 해결하게 할 수 있고 정보 보조금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경영자로서는 병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경영적 선택인 셈이다.

대신 구승효는 돈 되는 센터를 건립하려 한다. 암센터, 검진센터, 장례식장이 그것이다. 화정그룹 임원 회의에서 구승효는 병원 환자 기록을 계열사인 보험사에 팔려고 한다. 그것이 직접적인 보험사 수익으로 돌아갈 것이라며. 회장은 병원에는 관심이 없다. 대신 그가 관심이 있는 건 서산에 있는 땅이다. 그 곳에 병원 센터 건립이라는 명분으로 땅을 매입하라고 구승효에게 지시한다. 물론 병원의 돈으로. 그러자 구승효는 회장에게 거꾸로 제안한다. 암센터, 검진센터, 장례식장 건립에 돈을 투자해달라고. 확실한 ‘캐시 카우’이기 때문에 자신 있다고.



하지만 이 곳은 그냥 물건 파는 기업이 아니다. 병원이다. 의사들은 만만찮은 반발을 일으킨다. 특히 파견이 결정된 세 과는 더더욱 그렇다. 그래서 의사들이 모두 모여 대책회의를 하는 곳에서 ‘환자를 돈 줄로만 보는’ 새 경영진을 질타한다. 그런데 그 곳에 나타난 구승효는 역시 만만한 인물이 아니다. 의사와 간호사들의 반발을 오히려 의사로서의 소임을 다하지 않는 것으로 몰아붙인다. 지방 같은 소외 지역에서 죽어나가는 환자들을 구하는 게 의사의 소임이 아니냐는 것.

별 탈 없이 그럭저럭 지내오던 상국대학병원은 원장이 갑작스레 사망한 후 공교롭게도 등장한 총괄사장 구승효에 의해 병을 앓기 시작한다. 구승효는 마치 몸에 침투해 들어온 항원처럼 상국대학병원 전체를 아프게도 뒤 흔든다. 그러자 그 동안 나서지 않던 예진우(이동욱)가 일어나 구승효에게 질문을 던진다. “흑자가 나는 과는 그럼 파견대신 돈으로 된다는 뜻입니까? 지원금을 낼 수 있으면 안가도 된다 그겁니까?” 그 질문은 본래 정부에서 요청한 건 지원금인데 구승효 사장이 파견을 얘기하고 있는 것에 대한 의문 제기이고, 또한 이 문제가 결국은 적자와 마이너스로 불리는 과들을 퇴출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이기도 하다.

구승효는 그 질문이 영 기분 나쁘다. 어딘지 만만찮은 반발이 일어날 것 같은 예감이 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사내 게시판에 ‘파견 3과 = 적자 3과’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글. ‘인도적 지원이 아닌 자본 논리에 의한 퇴출’이라는 글이 그것이다. 구승효라는 ‘항원’이 들어오자 드디어 예진우라는 ‘항체’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구승효과 예진우의 항원-항체 반응처럼 대결구도로 그려지고 있는 <라이프>는 그래서인지 그 과정을 통해 병원의 실체에 다가간다. 그 곳은 우리들에게는 아플 때 찾아가 병을 고치는 곳으로만 여겨져 왔지만 실제의 병원은 사업체이기도 했다는 것. 그래서 돈을 버는 일과 사람을 살리는 일이라는, 어찌 보면 잘 어울리지 않는 그 조합이 바로 병원의 실체라는 것이다.

드라마는 이러한 대결구도를 선악 개념으로 다루지 않는다. 예진우가 선이고 구승효가 악이 아니라는 것. 그것은 단지 현재의 병원 시스템 안에서 예진우가 맡은 역할과 구승효가 맡은 역할이 다를 뿐이다. 그래서 수술실을 찾은 구승효가 거기서 쪽잠을 자고 있는 주경문(유재명)에게 덮을 것을 챙겨주고 나온다. <라이프>가 구승효를 이런 인물로 굳이 그리는 건 이러한 문제들이 구승효라는 악인에 의해 벌어지는 일이 아니라, 병원 시스템 자체가 만들어내는 일이라는 걸 드러내기 위함이다.

강력한 항원으로 등장한 구승효과 만만찮은 항체로 맞서는 예진우. 두 사람의 대결을 통해 드라마는 우리가 막연히 바라봤던 병원의 실체를 입체적으로 다룬다. 환자와 의사간의 관계만이 존재하는 곳이 아니라, 사업으로 연결되어 있는 병원의 진면목을 보게 된다. 그리고 어쩌면 그 병원이 처한 상황을 통해 우리가 사는 사회가 어떻게 굴러가고 있는가를 보게 될 지도.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