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션샤인’이 다루는 개화기, 그 독립의 의미

[엔터미디어=정덕현] “우리 모두는 그렇게 각자의 방법으로 격변하는 조선을 지나는 중이었다.” tvN 주말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첫 회에 들어간 이 내레이션은 개화기라는 시대적 상황과 그 상황 속에서 저마다 투쟁하는 삶을 살아온 인물들의 이야기를 이 드라마가 할 거라는 걸 예고한다. 제국주의 열강들이 조선의 빗장을 열고 침탈해 들어오는 그 시기와, 그래서 의병의 길을 가는 이들의 이야기는 이들이 원하는 그 길이 ‘조선의 독립’이라는 걸 알게 해준다. 하지만 그것 만이었을까. 그들이 원한 독립은 진정 조선만이었을까.

이 부분은 우리네 개화기를 다루는 콘텐츠들이 항일 투쟁의 역사에 집중하다보니 종종 놓치고 있는 지점이다.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삼는 콘텐츠들은 마치 그것만이 정답인 것처럼 항일 투쟁의 역사만을 채택하곤 한다. 워낙 절박한 시기였으니 그런 선택들이 잘못됐다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러면서 사라지는 건 개인이다. 나라를 위한 선택들은 숭고하지만 동시에 개개인들은 어떤 투쟁의 시기를 거쳤을까. 항일 투쟁을 하는 이들에게는 개인적 삶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걸까.



개화기가 갖는 외세에 대항하려는 뜻과 전통적인 신분사회의 틀이 무너져가는 시기의 딴스홀과 모던보이로 대변되는 ‘낭만적 삶’에 대한 욕망은 공존할 수 없는 것일까. <미스터 션샤인>의 인물들은 그래서 조선의 독립이라는 ‘대의’를 향해 ‘각자의 방법으로’ 나가는 중이지만, 동시에 개인의 독립을 향해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중이다.

반가의 여식으로 태어나 ‘애기씨’로 불리며 살아가는 고애신(김태리)은 밤이면 남장을 하고 지붕을 뛰어넘으며 친일하는 자들에게 총을 쏘는 스나이퍼 의병의 길을 걷고 있지만, 또한 당시 조선의 여성들이 운명처럼 받아들여야 했던 어른들이 정한 혼사를 거부하고 자신의 정인이 따로 있음을 밝힘으로써 그 전통적인 조선 여성의 삶으로부터 독립 투쟁을 하고 있는 중이다. 그는 조선을 떠나 더 멀리 훨훨 자유롭게 날고 싶어 한다. 유진 초이(이병헌)와 함께 자신이 선택한 삶을 살고 싶은 것이다.

노비의 자식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부모가 모두 죽음을 맞이하고 조선을 도망쳤던 유진 초이는 고애신과는 정반대의 입장으로 성장하는 중이다. 조선인들에게는 미국인으로 불리고, 미국인들에게는 조선인으로 불리는 그 애매모호한 정체성 속에서 ‘대의’ 따위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개인’으로만 살기를 원한 그가, 차츰 고애신을 만나 그 대의를 같이 걸어가려 한다. 그는 조선 사회의 신분제 속에서 조선에 대해 갖고 있던 뿌리 깊은 분노와 신분에 대해 스스로 갖는 한계를 뛰어넘으려 하고 있다.



부모가 이완익(김의성) 같은 친일파 중의 친일파인 쿠도 히나(김민정)나 악덕지주의 후손이라는 이유로 자신을 낭비하며 살아가는 김희성(변요한)도, 부모와 집안이라는 과거의 족쇄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스스로 독립하는 삶을 선택한다. 쿠도 히나는 글로리호텔을 운영하며 때론 아버지 이완익과도 대립하면서 스스로를 지키는 삶을 선택하고, 김희성은 신문사를 차려 억울한 이들의 진실을 전하는 일을 하려 한다.

<미스터 션샤인>이 다루는 개화기가 용기 있다 여겨지는 건 그 시대를 다룬 콘텐츠들이 역사적 대의 앞에서 삭제하곤 했던 이런 ‘개인적 삶’에 대한 부분들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나라의 독립은 누구나 추구해야할 대의지만, 또한 새롭게 열리고 있는 시대 앞에서 개인들이 저마다 과거로부터 ‘독립’해가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는 것. 이들이 원한 독립은 조선만이 아니었던 것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