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기의 대중문화 트렌드] MBC ‘주병진 토크 콘서트’에 대해 여러 반응이 나오고 있다. 불과 한 회가 방송됐음에도 이미 평가를 내렸다. 여전한 입담이라는 반응과 밋밋하다는 반응이 공존했다. 비연예인 게스트를 흡수할 수 있는 ‘무릎팍도사’의 대안이라는 말도 나왔다.

‘박중훈쇼’는 첫회 게스트로 출연한 장동건을 보면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했지만 ‘주병진쇼’는 첫회만 보고 단정짓기는 어려울 것 같다. 첫 회를 본 나의 소감은 가능성을 보았다는 정도로만 말하고 싶다.

그렇게 말하는 근거를 밝히기 전에 한국 현행 토크쇼의 유형을 보며 주병진쇼가 어디쯤에 위치해 있는지부터 봐야겠다.

한국의 토크쇼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심심한’ 토크쇼와 ‘부산한(바쁜, 또는 정신 없는)’ 토크쇼다. 전자를 ‘정통 토크쇼’라고 하고 후자를 ‘토크 버라이어티 예능’이라고 한다.

‘심심한’ 토크쇼에는 박중훈쇼, 최수중쇼가 속하며 ‘바쁜’ 토크쇼에는 ‘라디오스타’ ‘강심장’이 해당한다. ‘놀러와’와 ‘해피투게더’, ‘승승장구’는 둘을 적당히 섞은 것이다. ‘놀러와’와 ‘해피투게더’는 ‘승승장구’에 비해 ‘바쁜’ 방향으로 조금 더 간 상태다.

요즘의 트렌드는 ‘바쁜’ 토크쇼가 ‘심심한’ 토크쇼를 이기는 형국인 것 같다. 하지만 반드시 이 원칙이 지켜지지는 않는다. ‘바쁜’ 토크쇼, 또는 ‘정신 없는’ 토크쇼는 집단 MC, 캐릭터 MC 체제를 취하는 경우가 많고 토크 외에도 춤과 노래, 성대모사 등 개인기, 게임 등 별 짓을 다 보여준다.

‘주병진쇼’는 크게 분류하면 ‘심심한’ 토크쇼다. 하지만 심심하지 않게 하는 장치가 있다. 주병진의 언변과 보조장치를 통해서다. 개그맨 출신인 주병진은 말을 천천히 해 답답한 듯하면서도 유연성을 갖췄다.

첫회 게스트 박찬호가 실수로 “야”라고 하자, “우리 편하게 하자”고 짐짓 반발로 진행하는 순발력을 보인다. 이는 주병진이 과거 노사연과 함께 꾸민 ‘일밤’의 ‘배워봅시다’ 코너 등을 통해 단련된 순발력에 바탕하고 있다. 주병진은 노사연에게 “살 좀 빼”라고 구박했고 노사연은 자학개그로 웃음을 주기도 했다.
 
주병진은 슬로우 템포로 나이 많은 사람들을 흡수하면서도 사이사이 순발력과 유연함으로 젊은 사람들의 눈길도 놓치지 않는다. 물론 주병진이 아직 요즘 세대들과 호흡할 수 있는 감각을 충분히 지니고 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지난번 ‘무릎팍도사’에 게스트로 나왔을 때의 언변과 감각만으로 볼 때는 복귀한다면 쉽지 않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주병진은 ‘심심한’ 토크쇼와 ‘정신 없는’ 토크쇼’의 장단점 속에서 요즘 대중이 식상해하는 지점과 목말라 하는 점을 파악해 공략한다면 승산이 있을 것 같다.

주병진의 토크는 심심해 미지근하며 잔 재미를 주지는 못한다. 하지만 따뜻한 느낌은 준다. 말을 잘라먹고, 분량 확보를 위해 수시로 툭툭 끼어들어야 하는 예능체제에 염증을 느끼는 시청자들도 제법 많기 때문에 안정감 있는 주병진의 대화법에서 한결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주병진이 12년전 토크쇼에서 선보였던 토크와 유머를 그대로 활용한다면 지루하고 늘어지는 느낌이들 수 밖에 없다. 박찬호편에서 그런 우려가 엿보이기도 했다. 박찬호가 주병진에게 “제구력이 무슨 뜻인지 아냐”고 하자 “내구력, 너구력”이라고 한 것은 유머이기는 하지만 왠지 올드한 느낌이 들었다.

주병진쇼는 치열한 토크 경쟁을 벌이지 않는 거의 1인MC 체제이므로 주병진 의존도가 매우 높다. 주병진은 치열한 토크경쟁에서 오는 예측불가능한 토크를 상쇄할만한 그 무엇을 보여주어여 한다. 따뜻함만으로는 부족하다. 중간에 박찬호와 방청객이 강속구 대결을 벌이고 박찬호의 노래를 들어보는 것으로도 밋밋했다.

안정감과 따뜻함이라는 베이스가 깔려있으면 심심하게 갈 게 아니라, 조금 더 부산한 장치를 첨가해도 될 것 같다.



칼럼니스트 서병기 < 헤럴드경제 선임기자 > wp@heraldm.com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