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달 푸른 해’가 되돌아보게 만든 교육문제와 아동학대

[엔터미디어=정덕현] “난 달라. 당연히 다르지. 난 우리 빛나가 잘되라고 한 거잖아. 조금만 참으면 미래가 달라지는 데. 애가 자꾸 다른 짓을 하니까.” MBC 수목드라마 <붉은 달 푸른 해>에서 민하정은 자신이 딸 이빛나(유은미)를 학대해왔다는 사실을 부정했다. 그는 자신이 한 행동이 ‘사랑’이라고 믿고 있었다. 아이가 더 잘되라고 한 행동이라는 것.

모든 것들에 이유를 달고 있었지만 그 행동은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명백한 아동학대였다. 집중력을 높여준다는 이유를 내세워 아이를 감금하고, CCTV까지 달아서 아이의 행동을 감시했다. 그리고 자신의 뜻대로 행동하지 않는 아이에게는 ‘사랑의 매’라며 체벌을 가했다. 그 사실을 차우경(김선아)에게 고백한 빛나는 온 몸에 난 상처들을 드디어 보여줬다.



왜 그런 이야기를 하지 않았느냐는 차우경의 질문에 아이는 이렇게 말했다. “엄마니깐. 엄마가 하는 일은 다 옳고, 다 날 사랑해서 하는 거니까요. 회초리로 맞는 것도 상처가 나는 것도 대학만 가면 다 끝나는 일이니깐. 근데 그 전에 내가 죽을 것 같아요.” 아이는 그 모든 학대조차 엄마이기 때문에 감내하고 있었다. 이 부분은 아동학대가 가진 특별한 지점을 드러낸다.

아동학대는 피해자와 가해자가 있지만, 그 관계가 부모 자식 간이라면 안타깝게도 피해자 스스로 이를 받아들이기도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실제 학대가 벌어져도 사건화 되지 않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특히 ‘교육과 미래를 위해서’ 같은 명분이 붙을 때는 그것이 학대인지조차 가해자도 피해자도 인지하지 못하는 일까지 벌어진다.



민하정이 자신의 행동을 아동학대라 여기지 못했다는 건, 그가 “짐승”이라고 했던 해찬이 아빠가 한 짓과 자신이 한 짓이 다르지 않다는 걸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드러난다. 그는 아이러니하게도 아동학대를 하는 누군가에 분노하고 있었지만 자신이 그 짐승이라 부르던 아동학대자였다는 걸 모르고 있었다.

결국 뒤늦게 자신이 해왔던 짓이 아이를 학대해온 거라는 걸 깨달은 민하정이 그래서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건 어찌 보면 논리적이다. 그는 아동학대자에게 분노한 바 있고, 그게 바로 자신이라는 걸 확인하게 되고는 이제 자기 자신이 그 분노의 대상이 된 것이다. 그래서 스스로 자신을 처단하는 선택을 하게 된 것.



<붉은 달 푸른 해>는 복잡한 이야기 구조를 갖고 있지만, 뚜렷한 일관된 메시지를 제시해왔다. 그건 바로 아동학대의 심각성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 민하정과 이빛나의 이야기에는 <붉은 달 푸른 해>가 바라보는 아동학대에 대한 통찰이 담겨있다. 아동학대라고 하면 그저 특별한 범죄자들만의 이야기라고 생각하지만 그저 평범해 보이는 집안에서도 벌어질 수 있다는 것. 특히 치열한 경쟁체제에 내몰리고 있는 잘못된 교육 시스템 속에서 어쩌면 아이들은 저마다 학대당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라는 것이다.

다 너 잘되라고 한 일이라거나 사랑해서 그랬다거나 하는 그럴 듯한 합리화를 들이대지만 잘 들여다보면 우리네 교육이 ‘미래를 위해서’라며 감내하라 말하는 그 보이지 않는 체벌이 지금도 아이들에게 상처를 입히고 있는 건 아닌지 한번쯤 돌이켜봐야 하지 않을까. 아이는 호랑이를 그래도 가면을 쓴 엄마라고 받아들이려 노력하고 있지만, 실상 이런 비뚤어진 경쟁시스템 속에서 어른들은 엄마 가면을 쓴 호랑이가 되어가는 건 아닌지.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