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팬’이 음악예능에 담은 취향, 팬, 발굴

[엔터미디어=정덕현] SBS 음악예능 프로그램 <더 팬>이 카더가든의 우승으로 종영했다. 아무래도 경연이었기 때문에 누가 우승했는가는 중요할 수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이 무대에 올라 팬들을 갖게 된 모든 가수들이 사실상 승자라고 볼 수 있었다. 경연이라고 해도 실력을 겨루는 무대가 아니라, 취향과 취향이 맞붙는 대결이어서다. 우승했다고 해서 누가 우위에 있는 걸 의미하는 게 아니고 그저 팬분들이 더 많은 성원을 해줬다는 의미니 말이다.

사실 카더가든은 이미 인디 쪽에서는 유명 인사나 다름없었다. 인디 밴드의 공연에는 항상 빠지지 않던 카더가든이었고, 그 남다른 음색으로 한번 빠지면 헤어 나올 수 없는 그만의 매력을 가진 아티스트로 정평이 나 있었다. 다만 카더가든이 원한 건 자신을 아는 분들만이 아니라 모르는 분들에게도 자신의 음악을 들려주고 싶은 마음이었다. 그래서 부담이 될 수 있는 <더 팬>이라는 무대에 기꺼이 설 수 있었다.

최종 무대에서 경연을 벌였던 비비 같은 경우, 말 그대로 이번 <더 팬>이 그의 첫 무대나 다름없는 신예였다. 그러니 이런 신인들과 함께 그래도 인디에서 잔뼈가 굵은 카더가든이 부담을 느끼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그리고 실제로 이 부담은 현실로 돌아오기도 했다. 첫 무대에서 탈락후보가 되는 굴욕을 겪었던 것.



하지만 결과적으로 되돌아보면 이 첫 무대에서의 굴욕은 카더가든에게는 약이 되었다. “다시 돌아와 우승하겠다”고 했던 그 의지가 생겨났고, 매 회 그가 들려준 노래들은 그 주의 화제가 되었다. ‘명동콜링’은 이제 원곡을 불렀던 크라잉넛보다 카더가든의 버전이 더 많이 들려지게 되었다. ‘그대 나를 일으켜주면’ 같은 노래는 카더가든 하면 떠오르는 시그니처 음악이 되었다.

카더가든 우승으로 끝난 <더 팬>을 보면 지금 현재 음악 소비와 이를 반영하는 음악예능 프로그램의 흐름이 어떤 방향으로 바뀌어가고 있는가를 가늠할 수 있다. 그 많던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가창력 대결을 통해 우승자를 내던 시절은 이제 지나갔다. 노래는 그렇게 순위를 매길 수 있는 게 아니고, 다만 취향이 다를 뿐이다. 그래서 크건 작건 저마다의 취향에 따른 팬들의 소비가 지금의 음악 소비의 흐름이 되고 있다.

<더 팬>은 바로 이런 변화를 읽어낸 음악예능 프로그램이었다. 스타가 추천한 잘 알려지지 않은 가수들이 소개되고 그렇게 방송을 통해 자신들만의 독특한 음악 세계를 조금씩 보여주면서 팬층을 넓혀나가는 프로그램. 팬마스터로 앉아 있는 유희열이나 김이나, 이상민, 보아도 음악에 대한 품평이나 심사를 하는 게 아니고 자신의 취향을 저격하는 가수에 대한 팬심을 드러내는 역할을 했다.



이 과정을 거쳐 <더 팬>은 꽤 다양한 음악적 스펙트럼을 가진 가수들을 소개해줬다. 사람의 마음을 쥐락펴락하는 요물발라더 용주나 지금 당장 아이돌 그룹의 센터를 맡아도 잘 할 듯한 임지민, R&B 감성을 가진 놀라운 가창력의 소유자 트웰브나, 재즈 싱어의 느낌을 주는 알 수 없는 매력의 소유자 비비, 아이돌 연습생으로서 놀라운 춤과 노래의 기량을 보여준 민재, 휘준 등등. <더 팬>은 음악에 다양성을 여러 개성적인 가수들을 통해 소개해주고 저마다 취향에 맞는 가수를 응원할 수 있게 해줬다.

세상은 넓고 음악은 쏟아져 나온다. 그러니 내 취향에 꼭 맞는 어떤 음악이 있는지조차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더 팬>이 해준 건 그 취향을 꺼내 증폭된 무대로 보여준 것뿐이다. 그리고 이것은 어쩌면 이제 음악예능 프로그램들이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일이 된 것 같다. 적어도 카더가든 같은 취향저격의 가수를 나름의 스토리텔링으로 주목시키는 일.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