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하숙’, 마음까지 푸근한 차승원의 한 끼와 유해진의 금손

[엔터미디어=정덕현] 매일 먹는 밥 한 그릇이지만, 어떨 때는 그 한 그릇이 남다른 포만감을 주기도 한다. 특히 스페인 이역만리에서 수십 킬로를 빵을 씹어 먹으며 며칠씩 걸어온 순례자들이라면 어떨까. 그들에게 느닷없이 제공되는 따뜻한 밥 한 그릇에 제육볶음, 된장찌개는 남다른 포만감을 주지 않을까. 단지 배가 부른 것이 아니라 마음까지 채워지는 포만감.

tvN <스페인 하숙>이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의 어느 작은 마을에 ‘한국식 스타일’로 알베르게를 운영하겠다고 나선 뜻은 아마도 그런 마음의 포만감을 위해서가 아니었을까. 알베르게에 굳이 ‘스페인 하숙’이라고 우리 식의 이름을 떡하니 붙여놓고 하숙집 특유의 정감을 더해놓은 건 그래서일 게다. 실제로 그 한글 푯말을 보고 찾아와 리셉션에서 유해진을 마주한 한 우리네 순례자는 “여기가 한국인줄 알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스페인 하숙’은 그래서 유해진이 새벽이면 일어나 ‘아침마다’ 조깅을 하며 마주하는 이국의 작은 마을 풍광이나, 차승원과 배정남이 그 날의 식단을 위해 마을로 나가 장을 볼 때를 빼놓고 보면 우리나라의 하숙집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유해진의 유쾌한 너스레나 차승원의 아끼지 않고 퍼주는 음식에 고향의 인심이나 정 같은 게 느껴져서 더더욱,

특히 차승원이 하루 종일 준비해서 내놓는 밥 한 끼는 너무나 정성이 느껴져 보는 이들마저 흐뭇하게 만든다. 첫 날 ‘스페인 하숙’을 찾은 한국인 순례자의 저녁 한 끼를 마치 임금님 밥상으로 준비하는 모습이 그렇다. 한국에서 가져온 엿기름 티백을 이용해 디저트용 식혜를 만들고, 재료를 아낌없이 넣어 만든 제육볶음과 된장찌개에 쌈 채소, 직접 만든 쌈장까지 정성이 담겼다. 후식으로 커피는 물론이고 식혜와 과일 그리고 파이까지 내주는 차승원의 모습에서 기분 좋아지는 건 그것이 장사가 아니라 ‘손님 대접’의 마음이 느껴져서다.



새벽에 일어나 밥을 안치고 미역을 불려 고기로 국물 맛을 낸 따뜻한 미역국을 끓여내고, 아침식사를 주문하지 않은 외국인 손님들을 위해 잼을 바른 빵에 치즈와 계란을 넣은 샌드위치를 만들어 정성스런 도시락을 챙겨준다. 그건 우리네 하숙집에서 느껴지던 남다른 풍경처럼 다가온다. 일이기도 하지만 마치 진짜 엄마처럼 하숙생들을 챙겨주기도 하는 한 끼 밥상에 담긴 푸근함 같은.

유해진은 하숙집의 전형적인 아저씨 모습이다. 뭐 불편한 건 없나 살피고 고장 난 거나 없는 걸 뚝딱뚝딱 만들어내는 그런 아저씨. ‘이케요(IKEYO)’라고 이케아를 패러디해 붙인 유해진이 만든 DIY 물건들은 투박하지만 그의 손길이 닿아 어딘지 파는 물건과는 다른 정감이 느껴진다. 식기건조대가 부족하다는 말에 물이 밑으로 빠질 수 있게 나무로 결까지 만들어 넣는 세심함이 그렇고, 그럭저럭 쓸 수는 있지만 어딘지 허술한 물건에서 오히려 느껴지는 편안함이 그렇다. 그를 ‘금손’이라 부르는 건 맥가이버처럼 잘 만들어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손길이 닿은 물건의 특별함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장사가 아니라 대접을 하는 차승원의 한 끼나, 필요한 물건을 사는 게 아니라 그 때 그 때 자신이 직접 만들어내는 유해진의 금손은 바로 <스페인 하숙>이 그 먼 곳까지 가서도 우리식 하숙의 푸근한 느낌을 주는 이유다. 거기에는 자본의 세상에서 살면서 우리가 늘 겪는 거래의 현실을 벗어나, 인간과 인간이 오롯이 마주하는 따뜻한 온기가 느껴진다. 지친 순례자에게 정성을 다하는 대접에 우리가 느끼는 흐뭇함의 정체가 바로 그것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