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공간 대비만으로도 빵빵 터지는 봉준호 감독의 디테일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정말 오랜만에 깔깔 웃었다. 첫 장면으로 등장하는 반지하 창밖으로 보이는 풍경만으로도 웃음이 터졌다. 그것이 봉준호 감독의 칸느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이라는 어마어마한 성취를 한 작품이라는 사실 때문이 아니라, 시작부터 이 영화가 너무 정곡을 콕 찔러서였다. 그 반지하에서 간만에 가족이 모여 맥주 한 잔을 하려 할 때 마침 취객이 나타나 토악질을 해대고 노상방뇨를 하려는 모습을 보며 기택(송강호)이 짜증을 확 내는 장면에서 터지는 웃음. <기생충>은 그런 영화였다. 무언가 비극적 상황의 꼬질꼬질함이 오히려 웃음으로 터져 나오는 블랙코미디.

봉준호 감독이 ‘봉테일’이라 불리는 게 허명이 아니라는 걸 느끼게 되는 대목은 이 영화가 담고 있는 공간, 경계, 침범, 파국 같은 것들이 공간과 빛 같은 시각적, 미술적 장치들만으로도 고개가 끄덕여지기 때문이다. 기택의 가족이 사는 반지하라는 공간은 그래서 자본의 양극화가 만들어낸 계급사회의 한 계급을 상징한다. 영화가 그 반지하 공간에서 바깥세상을 바라보는 장면에서 시작한다는 건 그 시점을 따라 우리 사회의 비극적이지만 우습게도 보이는 계급적 특성을 해부해 보이겠다는 의지처럼 읽힌다.



햇볕이 하나도 들어오지 않는 지하도 아니고 그렇다고 지상이라고 할 수도 없는 반지하라는 공간은 그 경계가 애매하다. 그래서 이 지점이 어떤 다른 계층으로 침범해 들어올 때 그건 ‘계급의 충돌’을 만들어낸다. 이것을 봉준호 감독은 바퀴벌레에 비유한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아 없는 것처럼 치부하며 살아가지만, 분명 저 지하에 존재하는 바퀴벌레가 문제를 만들어내는 건 그 경계를 넘어 지상으로 튀어나왔을 때다.

<기생충>은 이러한 평시에는 잘 보이지 않는 자본의 양극화가 어떤 선을 넘어갈 때 만들어내는 마찰음을 특유의 블랙코미디식 유머로 담아낸다. 기택이 사는 반지하에 마치 왕좌처럼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화장실 변기마저 웃음이 터지는 상징처럼 다가오고, 그 집과 비교되는 글로벌 IT기업 박사장의 대저택은 그 비교점만으로도 우리가 사는 세상을 표징하는 지적 웃음을 준다.



그 공간들을 우 몰려 올라갔다가 우 몰려 내려오는 인물들의 모습은, 마치 넘지 말아야 할 선을 위 아래로 넘나드는 사회구조 속으로의 모험담처럼 보이게도 만든다. 냄새처럼 분명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경계를 침범해 들어온 흔적이 주는 긴장감이나, 물을 뿌리면 숨어있던 바퀴벌레들이 튀어나오듯, 폭우 속에서 인물들이 도망치는 장면은 절박하고 비극적이지만 이상하게도 웃음이 터진다. 높은 지대에 있는 대저택에 사는 사람들에게 내리는 비는 아이가 텐트를 치고 놀 정도로 낭만이 되기도 하지만, 그 시간에 낮은 지대에 사는 이들은 물난리를 겪는 곳. 그곳이 우리가 사는 사회라는 게 하나의 살아있는 블랙코미디처럼 떠오르기 때문이다.

<기생충>은 ‘계획’이란 걸 세워봐야 그 구조 때문에(누구는 높은 곳에 살고 누구는 낮은 곳에 사는) 폭우 하나에도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는 그 양극화된 세상에서 ‘무계획’이 최선의 계획이 된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들은 살아남기 위해서 ‘기생’을 선택한다. 저들 옆에 달라붙어 그들이 던져주는 무언가를 받아먹거나, 혹은 몰래 훔쳐 먹는 삶. 이토록 비극적인 현실을 이토록 웃음 터지게 만들 수 있다는 게 놀라울 따름이다. 역시 봉테일이라는 별명에 걸맞는 거장의 여유로운 손길이 느껴지는 작품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기생충>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