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달 연대기’가 담으려는 자연과 문명의 대결

[엔터미디어=정덕현] tvN 주말드라마 <아스달 연대기>에서 와한족은 어떻게 아스달족과 같은 말을 쓸까. 대흑벽을 넘어와 이아르크 정복을 시작한 아스달족의 대칸부대원들은 자신들이 노예로 포획한 와한족이 자신들과 같은 말을 쓴다는 사실에 놀란다. 하지만 그들은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간파하지 못한 채, 다만 말을 쓴다면 더 높은 가격으로 팔릴 수 있을 것이란 사실만 생각한다.

그런데 와한족이 아스달족과 같은 말을 쓴다는 사실은 이미 이들이 이전에 어떤 식으로든 문명의 전파가 있었다는 걸 의미한다. 대흑벽이 아스달과 이아리크를 자연적으로 격리시켜놓은 상황, 와한족의 씨족할머니인 늑대할머니가 바로 그 문명을 전파한 인물. 그는 언어를 주었지만 다만 아스달족이 걸어간 문명의 길과는 다른 길을 걸어가려 했다. ‘씨앗의 지혜를 배우되 기르지 말고, 동물과 이야기를 나누되 길들이지 말라’는 경고가 그것이다. 그건 아스달족이 만들어가는 문명이 가진 파괴적인 폭력성을 말하는 대목이다.



대흑벽이 아스달족에 의해 거대한 사다리로 연결되었다는 건 그래서 자연적인 삶을 살아가는 이아르크에 본격적인 문명의 파괴가 시작됐다는 걸 의미한다. 그 사다리를 보고 한없이 놀라던 은섬(송중기)은 아스달의 저잣거리에서 닭장 가득 닭들이 들어 있는 사실을 보고는 끔찍해한다. 그리고 그 일들이 동물들의 일만이 아니라 그 곳에 잡혀온 전쟁 노예들의 일이라는 사실과, 어른 아이 상관없이 착취된 그들의 노동력에 의해 그 거대한 대흑벽의 사다리가 만들어졌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는다.

이아르크가 자연이라면 아스달은 문명을 의미하고, 그래서 아스달의 노동력을 빼앗기 위한 정복전쟁으로 와한족이 겪는 고통은 문명의 침탈을 의미한다. 그러고 보면 이미 아스달의 계책에 의해 멸종되어 버린 뇌안탈이라는 종족은 이 문명 정복 전쟁의 시작이었던 셈이다. 인간과 뇌안탈의 혼혈인 이그트로서의 은섬은 그래서 이 문명과 자연의 양자를 한 몸에 갖고 있는 존재다. 그는 아스달족처럼 말을 타려 하고, 곡식을 심으려 하지만 와한족의 어머니는 그걸 금기시한다. 하지만 그는 파괴적인 문명에 대한 욕망보다는 자유가 주어지는 자연의 삶을 선택하는 인물이다.



반면 아스달의 대칸부대 수장인 타곤(장동건)은 문명과 야망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그는 이아리크 정복전쟁의 선봉장이고, 아스달 사람들에게 추앙받는 인물. 하지만 그의 섬뜩한 야망의 크기는 심지어 그의 아버지인 산웅마저 두렵게 만든다. 그래서 산웅은 심지어 타곤을 제거하려하고, 타곤은 그런 사실을 알고 산웅과 대립한다. 문명의 끔찍함은 아스달에서는 이처럼 가족 간에도 서로를 이용하려는 모습으로 보여진다.

결국 <아스달 연대기>가 은섬과 타곤이라는 인물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려는 건 자연적인 삶을 침탈해 들어오는 문명과의 마찰음이다. 소유 개념이 생긴 저들은 정복전쟁을 통해 자연적 삶을 살아가던 이들을 노예로 삼고, 이들을 노동력으로 확보해 점점 문명을 키워나간다. <아스달 연대기>는 문화인류학이 연구해왔던 어째서 누군가는 국가로 나아갔고 누군가는 소수 종족으로 머물렀는가를 은섬과 타곤의 대결구도를 통해 담아내려 하고 있다.



물론 판타지적인 설정들이 등장하고, 역사 이전의 상상으로 채워진 이야기들이 전개되고 있지만, <아스달 연대기>가 지금의 시청자들에게 전하려는 건 바로 이 부분이다. 그것은 아주 오래전 태곳적부터 시작된 일이지만, 지금도 여전히 진행 중인 일들이기 때문이다. 거대한 문명국들이라고 하는 이들이 실상 그 힘으로 파괴하고 착취하고 있는 많은 것들을 떠올리게 하는 이야기.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