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과 안락사 사이, ‘의사요한’이 집어낸 새로운 지점

[엔터미디어=정덕현] 드디어 SBS 금토드라마 <의사요한>이 기존의 의학드라마와는 어떤 다른 지점을 갖고 있는가가 드러났다. 그것은 이 드라마가 소재로 가져온 ‘통증의학과’와 관련이 있다. 흔히 마취를 먼저 떠올리게 하는 통증의학과. 하지만 통증을 관리한다는 의미는 이들이 하는 일이 가진 논쟁적 부분들을 끄집어낸다. 그것은 안락사와 관련된 이슈이기도 하다.

<의사요한>의 시작은 강시영(이세영) 통증의학과 레지던트가 자신의 환자가 죽는 경험을 한 후 의사직을 포기하고 마다가스카르로 떠나려던 지점부터다. 강시영은 삼촌이 교도소장으로 있는 교도소에 아르바이트로 잠깐 갔다가 거기서 환자를 죽게 했다는 사실로 복역 중인 차요한(지성)을 만나면서 조금씩 마음을 되돌린다.



당장 눈앞에 자신이 손을 쓰지 않으면 죽을 수도 있는 환자를 보고 외면하지 못하는 강시영은 자신이 결국 ‘의사’라는 직업을 벗어버릴 수 없다는 걸 알게 된다. 차요한은 그런 강시영을 통해 파브리병이 의심되는 환자의 생명을 구해내려 한다. 하지만 강시영은 차요한이 과거 환자를 죽게 했던 마취과 의사라는 사실을 알아내고 갈등한다. 3년 전 말기 환자에게 치사량의 진통제를 투약해 죽게 했고 그래서 3년 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인 차요한의 정체를 알게 된 것.

하지만 자신을 살인자로 지칭하는 강시영에게 차요한은 반박한다. “환자를 살해한? 왜 그런 표현을 쓰지? 보통 안락사 했다고 하던데?” 강시영은 차요한에게 ‘환자를 포기하고, 버리고, 환자의 숨통을 멈춘 일’이 ‘살해’와 다를 게 없다고 했다. 그런 강시영 역시 비슷한 일을 겪었다는 걸 알아차린 차요한은 되묻는다. “혹시 그 쪽도 해봤냐? 환자를 포기하고, 버리고, 환자의 숨통을 멈췄냐? 살릴 수 있는 환자였냐? 치료할 수 있는 환자였냐? 대답해! 살릴 수 있는 환자였냐?” 결국 강시영은 “아니다. 살릴 수 없었다. 살릴 수가 없었다”며 눈물을 보였다.



이 장면은 향후 <의사요한>이 어떤 특별한 지점의 이야기를 다룰 것인가를 잘 드러낸다. 즉 살릴 수 없는 환자를 그 고통 속에 내버려둬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고통을 없애주는 것이 맞는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다. 흔히들 쉽게 안락사를 ‘살인’과 다를 바 없다고 치부하지만, 고통을 줄여주는 것을 업으로 삼는 통증의학과 전문의의 입장에서 보면 그건 통증을 없애주는 한 방법일 수 있다.

“고통을 멈추는 것 외엔 할 수 있는 게 없다”면 의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의사가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고통은 끝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차요한의 이야기는 그래서 이 드라마가 가진 논쟁적 부분들을 끄집어낸다. 과연 이런 생각을 가진 차요한은 복귀한 병원의 다른 의사들과 얼마나 큰 갈등을 불러일으킬 것인가.



지금까지 의학드라마라고 하면 주로 환자를 살리는 일에만 집중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의사요한>은 정반대로 환자의 ‘존엄’을 위해 그 고통을 없애주는 의사의 또 다른 고민의 지점을 다룬다. 과연 우리는 이 차요한이라는 의사의 선택에서 안락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공감할 수 있을까. 자못 궁금해지는 부분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