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빠른 기획의 승리, ‘미생물’의 관전포인트

[엔터미디어=이만수 기자] <미생물>은 그 제목만으로도 충분히 시청자들의 관심을 끈다. 신드롬을 만들었던 <미생>에 ‘물’ 하나를 더했을 뿐이지만 그 느낌은 패러디가 주는 기대감을 만들어내기에 부족하지 않다. <미생>이 무언가 삶에 대한 관조적이고 진중한 느낌을 준다면, 거기서 하나를 틀어버린 <미생물>은 그 무거움을 가볍게 일소할 수 있는 느낌을 준다.

이것은 ‘개그콘서트’나 ‘SNL코리아’ 같은 콩트 코미디의 장편 버전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밀회’의 인기에 붙여 ‘개그콘서트’에서 ‘쉰밀회’가 아직까지도 인기를 끌고 있고, ‘SNL코리아’는 그 때 그 때의 화제가 되는 콘텐츠들을 거의 빠짐없이 패러디의 세계로 끌어온 바 있다.

패러디의 힘은 원작의 힘에 비례할 수밖에 없다. 원작이 그만큼 화제가 됐다면 그것을 소재로 갖고 오는 패러디도 그만큼의 힘을 바탕에 깔고 가는 셈이다. <미생>이 방영되던 그 같은 시간대에 떡 하니 <미생물>이 2부작으로 만들어진 건 그 편성의 힘을 이어가려는 의도다.

패러디가 코미디의 영역이라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과도하게 웃기려고 안간힘을 쓸 필요는 없어 보인다. 오히려 그저 <미생>이라는 원작에 충실하다면 그 달라진 캐스팅과 연기, 그리고 대사의 변용만으로도 큰 웃음을 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생>은 장그래부터 오차장, 김대리, 안영희, 한석율, 장백기 같은 캐릭터가 확실한 매력을 가진 드라마였다. 그러니 그 역할을 그대로 가져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개그맨들이 자못 진지하게 따라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재미를 준다. 장수원이 연기하는 장그래, 황현희가 연기하는 오상식이 벌써부터 관심을 끄는 건 그 때문이다.



여기서 발연기는 오히려 관전 포인트가 된다. 의도적이건 의도하지 않건 연기의 어색함은 드러날 수밖에 없다. 그것은 이미 그 같은 역할을 한 임시완이나 이성민 같은 연기와 비교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의외로 진지한 연기를 하든, 아니면 역시나 어울리지 않는 발연기를 선보이든 그것은 모두 <미생물>에게는 웃음의 포인트가 된다는 점에서 무리함이 없다.

게다가 <미생>은 유독 명대사들이 많았던 작품이다. 패러디로서는 이런 작품들이 변용하기가 훨씬 수월하다. 멋진 명대사를 살짝 뒤트는 것만으로도 그 비교점을 만들어 웃음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미생>이라는 원작이 주었던 그 감흥을 되살려내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미생물>은 여러모로 ‘기획의 승리’다. 아직 방영되지도 않았지만 벌써부터 화제가 되고 관심을 끌어 모을 수 있다는 것. 원작이 어떤 신드롬을 만들었을 때 발 빠르게 그것을 예능 코드로 전환시키는 이 기획은 만일 어떤 성과를 보이게 된다면 향후 제작의 새로운 방식으로 도입될 가능성도 높다.

이렇게 기획이 유연해진 것은 과거 드라마나 예능 사이에 놓여져 있던 어떤 경계의 벽이 무너져버렸기 때문이다. 이 역할을 한 작품은 <응답하라> 시리즈다. tvN은 먼저 이 작품을 통해 드라마든 예능이든 대중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다면 장르와 상관없이 도전할 수 있다는 하나의 실례를 만들었다. 이제 <미생>에 이은 <미생물>의 등장은 그래서 향후 제작기획의 한 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흥미로운 시도로 보인다.

이만수 기자 leems@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