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곤’을 보며 우리가 느끼는 분노의 원천은

[엔터미디어=정덕현] tvN 월화드라마 <아르곤>을 보다 보면 알 수 없는 답답함과 분노감 같은 것들이 느껴진다. 그것은 이 드라마가 그리고 있는 ‘아르곤’이라는 탐사 보도 프로그램이 처한 상황과, 그 안에서 그 누구보다 소신을 지키고 열정적으로 일하는 이들이 어쩐지 제대로 평가받기보다는 오히려 핍박받는 위치에 서 있다는 느낌 때문이다.

HBC에서 보도의 중심은 메인 프로그램인 ‘뉴스9’이다. ‘아르곤’은 탐사 보도 프로그램으로서 특종을 해왔지만(아마도 그랬기 때문에) 잦은 소송과 사과방송까지 하게 되었고 결국은 자정 시간대로 밀려난다. ‘아르곤’이 이렇게 된 것은 그 프로그램이 의미와 가치가 없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소신을 지키고 진실만을 보도하기 위해 성역 없는 취재를 했기 때문이다.

그 중심에 선 인물이 바로 김백진(김주혁) 앵커. 그는 재난보도에서 ‘뉴스9’이 정치적 목적으로 섣부르게 현장소장을 희생양으로 삼아 보도한 것을 백업 보도하지 않는다. 대신 그 보도가 편향되었다는 걸 알고는 이를 바로 반박 보도함으로써 방송사의 경연진들에 눈총을 산다. 팩트에 근거한 진실보도보다 방송사의 이익이 더 중요하다는 그들의 판단 때문이다.



그는 말기암 판정을 받아 ‘뉴스9’을 물러나게 된 최근화(이경영) 앵커의 자리에 들어가겠다고 결심하지만 이 역시 쉽지 않은 길이다. 그의 라이벌로 사사건건 그의 발목을 잡는 유명호(이승준) 보도국장이 그 자리를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동기지만 유명호가 벌써 국장 자리에 오르게 된 건 진실보도에 대한 소신을 지키기보다는 정략적인 보도를 통해 오로지 출세의 길로만 달려온 덕분이다.

유명호는 자신의 출세를 위해 과거 ‘아르곤’이 했던 종교계 비리 보도에 대한 정정보도 건을 다시 끄집어온다. 그 종교단체가 갑자기 김백진을 지목해 소송을 벌인 것. 알고 보면 그것도 유명호가 뒤에서 꾸며낸 계략이었다. 소신 보도의 길을 걷다보니 많아진 소송 건들을 건드려 ‘뉴스9’ 메인 앵커 투표에서 그의 표를 깎아내려 했던 것. 결국 소신을 지키려 하는 이가 출세를 향해 달리는 이들에 의해 핍박받는 현실을 우리는 <아르곤>을 통해 확인하게 된다.

그런데 그런 소신과 열정을 가진 이들이 겪는 어려움은 김백진 같은 리더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 리더와 함께 뛰고 또 뛰는 ‘아르곤’의 기자와 작가들은 그의 옆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모두 똑같이 핍박받는 위치에 서게 된다. 그래서 마침 회사를 나가려 결심한 육혜리 작가(박희본)는 김백진 앵커의 소송을 취하하게 하기 위해 자신이 모든 책임을 뒤집어쓰려 한다. 물론 이 사실을 안 김백진 앵커가 그 모든 책임은 자신에게 있다는 걸 분명히 하지만.



생각해보면 이연화(천우희) 같은 시용기자라는 특수한 계약직이 만들어진 것도 결국은 저런 출세만을 위해 달리는 유명호 같은 인물들 때문이다. 유명호는 자신을 지지하는데 사인을 하지 않은 이연화에게 계약직이라는 위치를 상기시키며 은근히 협박을 한다. 그것이 그들이 시용기자라는 특수한 계약직을 만들어 이용하는 방식이다.

<아르곤>은 사실 드러내 놓고 지금 현재 공영방송에서 벌어지고 있는 언론의 문제를 끄집어내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아르곤>이 그리고 있는 그 대결구도의 풍경 속에서 우리는 지금의 공영방송 언론이 처한 상황을 가늠해낼 수 있다. 사실 소신을 지키고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일하는 기자들이야말로 우리 사회에 소금 같은 존재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그런 이들이 잘 되는 현실이 아니다. 오히려 사익을 추구하는 이들이 더 잘 되는 현실. <아르곤>에서 은근히 느껴지는 분노의 원천은 이렇게 우리네 현실과 맞닿아 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