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홀’ 공포에 삼켜질 것인가, 맞설 것인가

[엔터미디어=정덕현] 이제 우리에게도 좀비 장르 같은 이질적인 괴물이 등장하는 드라마는 익숙해졌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인 <킹덤> 같은 작품이 전 세계적인 성공 사례가 됐고, <스위트홈> 같은 크리처물까지 이제는 우리네 드라마의 한 범주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스릴러를 중심으로 장르물의 파이를 키워온 OCN은 아마도 이런 변화의 최전선에 서 있는 채널일 게다. <써치> 같은 DMZ를 배경으로 하는 좀비 장르의 시도가 OCN만큼 잘 어울리는 채널도 없다 여겨지는 건 그래서다. 새로 시작한 <다크홀>에 대한 기대감도 바로 여기서 생겨난다. 거대한 다크홀과 그로부터 생겨나는 미스터리한 사건들, 이를 풀어가며 생존하기 위해 사투를 벌이는 이들의 이야기.

물론 <다크홀>의 첫 회는 어디선가 많이 봤던 작품들의 그림자들이 곳곳에서 느껴진다. 좀비 장르의 색깔도 있지만 촉수가 따라다니며 공격하는 장면에서는 크리처물의 요소가 보인다. 거대한 다크홀은 어딘지 지구를 공격하는 외계종족이 튀어나올 것 같은 기시감을 만들고, 굿을 하는 무당이나 도로로 갑자기 튀어나온 눈동자가 검게 변한 사내가 다시 산으로 들어가는 장면에서는 <곡성>의 오컬트 장르가 겹쳐진다. 물론 얼굴에 하얀 보자기가 씌워진 채 웃는 형상을 그려놓는 연쇄살인범은 OCN에서 그토록 많이 다뤘던 범죄 스릴러의 한 장면이다.

너무 많은 작품들의 조각들이 <다크홀>이라는 한 작품 첫 회에 등장하기 때문에 시청자들로서는 이 드라마가 어떤 장르를 보여줄 것인가를 가늠하기가 어렵다. 아직 확실한 한 줄기를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이것저것 장르적 요소들을 가져와 모자이크를 한 듯한 인상마저 준다. 시청자들에게는 산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이유다.

그래서 기대만큼 첫 회가 충분한 만족감을 줬다 보긴 어렵지만, 이 다양한 장르들이 뒤섞여 만들어내는 공포와 두려움을 하나로 꿰고 있는 지점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건 다크홀에서 흘러나온 어떤 것을 들이마신 사람들이 각자 갖고 있는 트라우마의 늪에 빠져든다는 사실이다. 그 트라우마 속에 어떤 속삭임이 들려오고, 그건 트라우마를 만든 대상에 대한 공격성을 불러일으킨다.

결국 좀비, 크리처, 외계종족, 오컬트, 범죄가 모두 이 한 작품에서 느껴지는 이유는 이 드라마가 공포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가 아닐까 싶다. 결국 우리와는 다른 어떤 존재에 대한 공포가 이 드라마가 끄집어내는 스릴러의 실체이고, 평범했던 사람을 다른 존재로 만들어버리는 건 어떤 촉매제(외부적 자극)에 의해 끄집어내진 그 사람의 내면 깊숙이 숨겨진 트라우마(공포)라는 사실 때문이다.

흥미로운 건 이 드라마의 주인공인 이화선(김옥빈)이 다크홀 앞에서 거기서 흘러나온 연기를 마신 후 눈동자가 검게 변하지만, 다른 피해자들과 달리 어둠 속에서 누군가와 대적하는 모습이다. 결국 이 드라마는 외부적 존재에 의해 생겨난 공포를 다루지만, 그것이 자극하는 건 자기 안의 공포라는 점이 특이하다.

거대한 다크홀은 그래서 마치 우리의 심연을 표징하는 듯한 모습으로 보여진다. 그 안을 들여다보고 공포에 질려 빨려 들어가든지, 아니면 그 공포와 마주해 싸우던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다크홀은 말하는 듯하다. 여러 장르들이 뒤섞여 다소 산만하게 느껴지긴 하지만, 그것들을 하나로 묶어내는 다크홀이라는 공포와 이를 마주하는 이들의 이야기. 이 드라마를 조금 더 보고 판단하고픈 이유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OCN]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