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 정해인이 마주한 군대와 사회의 폭력, 과연 뭐가 다른가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D.P.>는 우리네 드라마들 속에서 이질적인 느낌을 준다. 한국의 군대만큼 드라마틱(?)한 공간도 없지만, 지금껏 우리네 드라마들이 마치 약속이라도 정한 듯 외면(?)해온 공간을 정면으로 그것도 소름 돋는 리얼리티로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렇게 된 건, 드라마의 주 시청층이 여성이고, 이들을 타깃으로 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암묵적인 동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군대 이야기만큼 그 경험을 한 사람들이 열광하지만, 그렇지 않은 이들에게 시큰둥하다 못해 듣기 싫은 이야기도 없으니 말이다. 특히 여성들에게 군대 이야기는 끌어당기는 메리트를 찾기가 어렵다.

그래서 군대 소재는 드라마가 아니라 예능에서 많이 소비되었다. 그것도 진짜 군대의 실상을 다룬다기보다는 그 그림자가 삭제된 부분만 보여주거나(우정의 무대), 일종의 체험기를 넣어 그 부적응을 웃음의 코드로 활용하고(진짜사나이), 최근에는 서바이벌 코드를 베테랑 군필자들과 연결하는(강철부대) 방식으로 소비됐다. 그 어느 것도 군대의 진짜 현실을 담지 않았다. 그건 대중들이 보고 싶어 하는 것이 아니라는 미명하에.

그런 점에서 <D.P.>의 과감한 선택은 놀라울 정도다. 드라마는 시작부터 입대한 훈련병들에게 다짜고짜 얼차려를 가하고 군화를 집어던지는 장면을 보여준다. 못을 박아 놓은 벽쪽에 훈련병을 세워두고 의도적으로 밀어 뒤통수를 못에 찍게 만드는 선임병의 폭력은 보기만 해도 뒤통수가 찌릿할 정도로 아찔하다. 그저 예능의 웃음거리로 재밋거리로 소비되던 군대에 대한 생각을 그 못 하나의 끔찍함으로 말끔하게 지워놓기라도 하겠다는 듯이.

아마도 군대를 다녀온 군필자들은 그 장면 하나로 전역 후 애써 없었던 경험처럼 지워 놓았던 그 시절의 폭력과 그 살벌한 공기가 되살아났을 수 있다. 전역 후 술 자리에서 영웅담처럼 늘어놓았던 군대 이야기는 사실은 그 고통스러웠던 폭력의 그림자를 애써 기억에서 편집해 놓고 영웅담으로 포장하려던 저마다의 안간힘이었다 여겼을 지도 모를 일이다. <D.P.>는 이처럼 모두가 알고 있지만 모두가 모르는 것처럼 치부해온 군대의 실제 폭력이 일상화된 현실을 우리 눈앞에 꺼내놓으며 시작한다.

하필이면 군대 보직 중 D.P.(군무 이탈 체포조)라는 헌병을 소재로 가져온 건 이 드라마의 영민한 선택이다. 이들은 탈영한 병사들을 추적해 찾아내고 체포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그러니 이들을 주인공을 세우면서 드라마는 군대 안과 밖을 자연스럽게 연결시킨다. 군대 내부에서 벌어지는 가혹행위들과 그래서 탈영하는 병사들의 이야기이고, 이들을 체포하러 사회로 나가는 안준호(정해인)와 한호열(구교환)의 아마추어적이지만 몸으로 뛰는 수사(?)가 일종의 형사물처럼 펼쳐진다.

그런데 안준호와 한호열은 점점 자신들이 추적해 체포하는 탈영병들이 왜 그런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됐는가를 알아가며 때론 공감하게 된다. 탈영병들이 결국은 할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어 자살을 선택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이들의 추적은 체포를 위함이 아니라 그들을 구하는 임무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사회에 나와 안준호와 한호열이 탈영병을 추적하는 과정은 때론 웃음이 터질 정도로 발랄하게 그려지기도 하지만, 그 끝에서 만나는 탈영병의 이야기는 무겁기 그지없다.

안준호와 한호열이라는 두 인물은 서로 상반된 성격을 가진 캐릭터들이다. 안준호는 어려서부터 폭력적인 아버지에 맞는 엄마를 보고 자랐고 그럼에도 도망치지 않은 엄마를 원망한다. 그만큼 무거울 수밖에 없는 이 인물은 드라마 내내 무표정으로 웃는 얼굴이 보이지 않는다. 반면 그와 함께 임무를 수행하는 한호열은 선임이지만 끊임없이 너스레를 떨며 장난을 치는 가벼운 모습을 보인다. 그래서 두 사람의 이 상반된 캐릭터는 이 드라마가 가진 묵직한 주제의식을 끌고 가면서도 그 과정에 지치지 않게 해주는 균형감을 만든다.

그런데 안준호나 한호열이 겉으로 보기엔 무거움과 가벼움으로 비춰지지만 어딘지 두 사람은 모두 처연한 느낌을 준다. 그건 이들이 하는 임무들의 허망함 때문이다. 탈영병을 체포하러 다니지만 그들을 잡는 것이 이 모든 군대에서 벌어지는 폭력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어서다. 군대가 애써 탈영병을 잡아오는 이유는 그들이 왜 그런 선택을 했고, 그 뒤에 어떤 폭력들이 존재했는가를 밝히기 위함이 아니다. 다만 자신들의 진급 같은 것에 혹여나 흙탕물을 튀기지 않기 위함이다. 그래서 탈영병을 잡아와도 그를 그렇게 만든 가해자들은 유야무야 다른 부대로 옮겨질 뿐 피해자들은 여전한 폭력 앞에 놓인다.

더 나쁜 건 이처럼 절망적인 시스템 앞에서 피해자들은 심지어 그 폭력을 대물림하는 가해자로 변모하기도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렇게 시스템은 공고하게 계속 굴러가고, 심지어 군대를 나와 사회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작동한다. 드라마 시작과 함께 안준호가 입대하기 전 아르바이트 사장한테 이유 없이 당하는 폭력과, 입대 후 군대에서 “얼굴이 마음에 안든다”며 당하는 폭력을 병치하는 건 그런 의미다. 또 안준호가 도망치듯 입대해 휴가에도 집에 가지 않는 것도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폭력적인 집을 ‘탈영하듯’ 도망쳐 군대로 왔지만 안준호는 그 안에서도 집에서 겪었던 그 폭력을 목도한다. 어디도 도망갈 곳은 없다.

지금껏 우리네 드라마에서 좀체 다루지 않았던 군대 이야기를 다룬 <D.P.>가 넷플릭스라는 플랫폼을 통해 시도되었다는 건 꽤 상징적이다. 넷플릭스가 이런 과감한 선택을 한 건, 모든 시청자를 아우르기보다는 특정 시청자층이라도 공감대가 확실한 시청자를 타깃으로 하는 이 글로벌 플랫폼의 특징과 잘 맞아 떨어져서다. 게다가 이 글로벌 플랫폼 속에서 한국의 군대 이야기만큼 유니크한 로컬의 맛을 보여주는 것도 없다.

국내에서 군대이야기가 그저 한 때의 경험으로 치부되며 영웅담처럼 포장됐던 건 어쩌면 일종의 집단적인 외면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래서 넷플릭스라는 글로벌 플랫폼의 특징 때문에 오히려 더 적나라하게 그려진 이 드라마의 군대이야기는, 그 외면을 관심으로 바꾸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그 관심이야말로 지금도 군대에서 계속 터져 나오지만 마치 없는 일처럼 치부하며 넘어가는 폭력적 상황을 바꾸는 첫 단추가 될 수도 있을 테니 말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넷플릭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